$\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비의 부숙 과정 중 추출물이 종자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on Seed Germination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6 no.4, 2007년, pp.407 - 414  

강상재 (상주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이창희 (경북대학교 농화학과) ,  서상현 (경북대학교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슬러지퇴비의 제조과정에서 2, 6, 8, 12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가지 식물의 종자 발아율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시료 중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퇴비화 6주째까지는 그 함량이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은 퇴비 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감소하다가 퇴비화 후반부에서는 중성 부근을 나타내었으며 EC는 6주째에는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점차 그 함량이 증가하다가 퇴비화 12주째에는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변화는 총질소의 변화와 같은 양상이었으며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와의 비율은 8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12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비화 초기 단계보다 퇴비화 후반부에서 모든 양이온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pH 6.48정도를 나타내었으며 EC는 퇴비화 2주째는 $3.43dS{\cdot}m^{-1}$에서 12주째 $1.72dS{\cdot}m^{-1}$로 낮게 나타났다. 배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상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비해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퇴비화 과정 중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콩과 보리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 콩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극히 미약했다. 반면 보리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 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퇴비화 2주, 6주, 8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퇴비의 수용성 추출액의 저해작용은 식물의 종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종자 발아와 뿌리 생육에 대한 저해는 퇴비의 부숙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부숙 초기 퇴비의 수용성 물 추출액이 종자 발아와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크게 나타났으며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ludge compost and to identify the effects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in 2, 6, 8, 12 weeks of decomposing process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cabbage, lettuce, soybean and barley plants was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퇴비 제조시 주원료나 제조 방법이 외국과는 상이하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퇴비의 평가 기준이 필요하며 이를 정립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제조되는 퇴비의 제조 과정에서 퇴비화 단계 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종자 발아와 뿌리의 생장 시험 을 통해서 퇴비의 부숙도에 따른 식물 독성(phytotoxicity)을 평가하여 보다 토양환경에 유익하고 고품질 의 퇴비생산 및 적정 시용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rtoldi, M.D., U. Citemesi, and M. Griselli. 1975. Bulking agent in sludge composting. Compost Science 21:32-36 

  2. Chen, Y. and T. Aviad. 1990. Effect of humic substances on plant growth. In: P. MacCarty, C. E. Clapp., R. L. Malcolm and P. R. Bloom (eds.) Humic substances in soil and crop science: Selected readings. Proceedings of a symposium cosponsored by the International Humic Substances Society, Chicago, IL. p. 161-186 

  3. Chen, K.S., Y.G. Lo, C.H. Chang, and S.S. Yang, 1997. Utilization of thermophilic actinomycetes in agricultural waste treatment. In: Abstract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Chemistry and Geochemistry in the Tropics. p. 24. Ed. by Tahir, N. M. Kuala Lumpur, Malaysia 

  4. Cheng, Y.H., M.H. Wong, and N.F.Y Tam, 1989. Root and shoot elongation as an assessment of heavy metal toxicity and 'Zn equavalent value' of edible crops. Hydrobiol. 188:377-383 

  5. Finstein, M.S. and F.C. Miller. 1985. Principles of composting leading to maximization of decomposition rate, odor control, and cost effectiveness. In: Composting of Agricultural and Other Wastes, p. 13-26. Ed. by Gasser, J. K. R.,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London 

  6.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1987. Seed germination and root enlong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echnical assistance document 4.06. The centre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and the centre of veterinary medic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 C 

  7. Han, K.H. 1978.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for organic fertilizer use. Kor. Soc. of Soil and Fert. 11:195-206 

  8. Hong, C.W, Y.G. Jung, C.S. Park, and Y.S. Kim. 1973. The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effect of a residual by-product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I.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the growth of corn. Kor. Soc. of Soil and Fert. 6:159-163 

  9. Jeong, G.Y., J.S. Shin, Y.S. Park, and K.H. Han. 1981. Use of industrial wastes as sources of organic fertilizer I. Resource survey 14:83-87 

  10. Kirchmann H. and P. Widen. 1994. Fatty acid formation during composting of separately collected organic household waste. Compost Science and Utilization 2:17-19 

  11. Morel, J.L., F. Colin, J.C. Germon, P. Godin, and C. Juste. 1985.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the maturity of municipal refuse compost. In Composting of Agricultural and Other Wastes, ed. J. K R. Gasser. Elsevier Applied Science, New York, USA, p. 56-72 

  12. Oh, W.K., B.L. Cho, and K.E. Lee. 1971. The effect of soil addition to oil-cake on decaying of the oil-cake and its efficiency as a fertilizer. Kor. Soc. of Soil and Fert. 4:137-141 

  13. Oh, W.K, J.S. Oh, and G.H. Lee. 1975. Studies on the use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um in agriculture. Kor. Soc. of Soil and Fert. 8:97-103 

  14. Oh, WK, C.S. Lee, and H.K. Kwak. 1984. Effect of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yield in paddy soil. Kor. Soc. of Soil and Fert. 17:134-140 

  15. Riffaldi, R., R. Levi-MinZi, and A. Pera. 1983. Humic fraction of organic wastes. Agric. Ecosyst. 10:353-359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6. Methods of fertilizer chemical analysis and sampling 

  17. Seo M.C., K. Kuroda, D. Hanajima, and K. Haga. 1998. Effect of thermophilic ammonium tolerant bacteria on malodors emission of composting of pig manure. Kor. Soc. of Soil and Fert. 31:77-84 

  18. Seo M.C., K.H. So, and W.M. Park. 1999. Assays of maturity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 during the animal manure composting process. Kor. Soc. of Soil and Fert. 321:285-294 

  19. Shin, J.S., D.K. Lim, and KS. Seong. 1983. Use of industrial wastes as sources of organic fertilizer II. Effect of activated sludge from alcohol fermentation on rice. Kor. Soc. of Soil and Fert. 16:256-259 

  20. Shin, J.S. 1984. Use of industrial wastes as sources of organic fertilizer III. Effect of lime added sludge on upland crop of com. Kor. Soc. of Soil and Fert. 17:51-54 

  21. Shiralipour, A., D.B. McConnell, and W.H. Smith. 1997. Phytotoxic effects of a short-chain fatty acid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length of Cucumis Sativus cv. 'Poinset'. Compost science & Utilization 5:47-52 

  22. Sohn B.K., J.H. Hong, and K.J. Park. 1996. Comparative studies on static windrow and aerated static pile composting of the mixtures of cattle manure and rice hulls I.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Kor. Soc. of Soil and Fert. 29:403-410 

  23. Tiquia, S.M., N.F.Y. Tam, and I.J. Hodgkiss. 1996. Effects of composting on phytotoxicity of spent pigmature sawdust litter. Environ. Pollut. 93:249-256 

  24. Uhm, D.I. and K.W Han. 1983.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won organic fertilizer (by product of amino acid fermentation to the ginseng cultivation) I. The application effect of miwon organic fertilizer on the germination rate of ginseng seed, growth of ginseng pl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Kor. Soc. of Soil and Fert. 16:274-279 

  25.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1982. Seed germination/ root elongation toxicity test. EG-12. Office of Toxic substances. Washington. D. C., USA 

  26. Wang, Wand P.H. Keturi. 1990. Comparative seed germination tests using ten plant species for toxicity assessment of a metal engraving effluent sample. Wat. Air Soil Pollut. 52: 369-376 

  27. Wong, M.H. 1985. Effects of animal manure composts on tree(Acasia confusa) seedling growth. Agric. Waste 13:261-272 

  28. Yuk, C.S., and S.J. Cho. 1985. Effect of beer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red pepper. Kor. Soc. of Soil and Fert. 18:113-120 

  29. Zucconi, F., A. Para, and M. Forte. 1981. Biological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ioCycle 7:27-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