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 배유 조성 탄수화물 특성과 식미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hydrate Components in Rice Endosper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2 no.4, 2007년, pp.421 - 428  

김채은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재근 (경북대학교 식물생명과학부) ,  강미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8품종의 쌀을 시료로 하여 전분분자의 미세구조 및 전분입자 막 조성 탄수화물의 특성과 식미치와의 상관을 분석함으로써 밥맛에 영향을 미치는 탄수화물 성분 특성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사용한 8품종 가운데 식미치는 고품벼가 가장 높았다. 2.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최고 점도(Peak viscosity)와 강하 점도(breakdown)는 히토메보레가 가장 높았고, 미향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이들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과 식미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3. 전분분자 중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품종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토요식미기에 의해서 분석된 아밀로오스 함량과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아밀로오스 분자의 구조적인 특성과 식미치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4.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 중 B/A의 값이 가장 큰 품종은 새추청벼였고, 가장 작은 품종은 팔공벼였다. 그러나 이들 수치와 식미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5. DSC에 의한 전분입자의 호화특성도 품종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호화엔탈피는 품종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호화엔탈피 역시 식미치와는 상관이 없었다. 6. 쌀 배유전분분획의 헤미셀룰로오스성 다당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는 rhamnose, fucose, ribose, arabinose, xylose 등이었으며, 총 단당류 함량은 새추청벼가 가장 높았고, 팔공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팔공벼를 제외한 양질미에서는 식미치와 상관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varieties of milled rice showing different palatabilities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hydrate components and their fine structure. Gopumbyeo showed the highest palatability value among the eight varieties tested. Both peak vis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전분입자의 형태적인 차이가 식미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향후 전분입자의 막조성 탄수화물과 전분입자 막 주위에 존재하는 단백체들의 취반에 따른 거동에 대한 검토를 수반하면서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전분입자 속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분자의 이화학적 특성을 품종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전분분자의 미세구조 및 DSC에 의한 호화특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밥맛이 좋다고 알려진 고품벼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6품종의 양질미, 그리고 밥맛이 특히 나쁘다고 알려진 팔공벼 등 8품종의 쌀을 시료로 하여 전분 분자의 미세구조 및 전분입자 막 조성 탄수화물의 특성과 식미치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밥맛에 영향을 미치는 탄수화물 성분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 , 2002)고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도 8품종 쌀의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특성 비교(표 2) 및 식미치(표 1)와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8품종의 쌀들은 호화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호화온도 69℃ ~83℃의 범위였으며, 특히 미향벼와 남평벼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서 호화시간이 유의적으로 길었다.
  • 즉 전분질 식품이나 타내는 호화특성이란 공존하는 성분들의 단순한 함량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 아니고, 공존하는 성분들의 분자구조에 대한 검토도 병행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에 쌀 배유구성 성분 중 그 함량이 가장 많은 탄수화물 성분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 그러므로 식미치에 대해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8품종 쌀 배유구성 성분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미 간에는 어떠한 상관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겠다. 이에, 우선 쌀 배유구성 성분 중 그 함량이 가장 높은 탄수화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식미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ssoka, M., K. Okuno, S. Sawada, Y. Sugimoto, J. Kawakami, and H. Fuwa. 1984. Effe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during development of rice plants on some properties endosperm starch. Staerke. 36 : 189-194 

  2. Banks, W., C. T. Greenwood, and D. D. Muir. 1974. Studies on starches of high amylose content; part 17. A review of current concepts. Staerke. 26 : 289-300 

  3. Bogracheva, T. Y., V. J. Morris, S. G. Ring, and C. L. Hedley. 1988. The granular structure of C-type pea starch and its role in gelatinization. Biopoly. 45: 323-332 

  4. Choi, G. C, H. S. Na, G. S. Oh, S. K. Kim, and K. Kim. 2005.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waxy black rice star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 : 87-92 

  5.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 15-32 

  6. Choi, H. C, H. C. Hong, and B. H. Nahm. 1997.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rain associated with palatability in japonica rice. Korean J. Breed. 29(1) : 15-27 

  7. Fitzgerald, M. A., M. Martin, and R. M. Ward. 2003. Viscosity of rice flour: A rheological and biological study. J. Agric. Food Chem. 51 : 2295-2299 

  8. Han, X. and B. R. Hamaker. 2000. Functional and microstructural aspects of soluble corn starch in pastes and gels. Starch. 52 : 76-80 

  9. Han, X. and B. R. Hamaker. 2001. Amylopectin fine structure and rice starch paste breakdown. J. of Cereal Sci. 34 : 279-284 

  10. Hans N. Englyst, Michael E. Quigley, G. J. Hudson, and J. H. ummings. 1992. Determination of dietary fibre as non-starch polysaccharide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Analyst. 117 : 1707-1714 

  11. Hizukuri, S. 1971. X-ray diffractometric studies on starches. Agric. Biol. Chem. 25 : 45-52 

  12. Hizukuri, S. 1985.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chain-length of amylopectin and the crystalline-structure of starch granules. Carbohydr. Res. 141 : 295-306 

  13. Ikawa, Y., D. V. Glover, Y. Sugimoto, and H. Fuwa. 1981. Som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arches of maize having a specific genetic background. Staerke. 33 : 9-13 

  14. Ikawa, Y., M. Y. Kang, Y. Sugimoto, and H. Fuwa. 1983. Some properties of starches of job's tears. J. Jpn. Soc. Starch Sci. 30 : 5-12 

  15. Inouchi, N., D. V. Glover, Y. Sugimoto, and H. Fuwa. 1984. Developmental changes in starch properties of several endosperm mutants of maize. Staerke. 36 : 8-13 

  16. Jennifer, M. C. D. and C. Les. 2004. Genotype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Cereal Chem. 81(4) : 486-489 

  17. Kainuma, K. and D. French. 1971a. Naegeli amylodextrin and its relationship to starch granule structure (I). Biopoly. 10 : 1673-1681 

  18. Kainuma, K. and D. French. 1971b. Naegeli amylodextrin and its relationship to starch granule structure (II). Biopoly. 11 : 2241-2249 

  19. Kang, M. Y. and H. C. Choi. 1993. Varietal variation in 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ice endosperm starch. Korean J. Crop Sci. 38(6) : 413-523 

  20. Kang, M. Y., Y. Sugimoto, and H. Fuwa. 1985. Some properties of large and small starch granules of barley endosperm. Agric. Biol. Chem. 19 : 1291-1297 

  21. Kang, H. J., I. K. Hwang, K. S. Kim, and H. C. Choi. 2003. Comparativ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rice, and its mutant, Suweon 464. J. Agric. Food Chem. 51(22) : 6598-6603 

  22. Kim, K. S., H. J. Kang, I. K. Hwang, H. G. Hwang, T. K. Kim, and H. C. Choi. 2004.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rice, and its mutant, Suweon 464: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tron microscopy studies. J. Agric. Food Chem. 52(12) : 3876-3883 

  23. Kim, K. Y. and S. M. Kim.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rch by measuring DSC and GPC. J. Basic Sci. Sungshin. 18 : 59-79 

  24. Kim, Y. D., U. G. Ha, Y. C. Song, J. H. Cho, E. I. Yang, and J. K. Lee. 2005. Palatability evalu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50(S) : 24-28 

  25. Klucinec, J. D. and D. B. Thompson. 2002. Amylopectin nature and amylose-to-amylopectin ratio as influences on the behavior of gels of dispersed starch. Cereal Chem. 79 : 24-35 

  26. Kwak, Y. M., C. E. Kim, J. K Sohn, and M Y. Kang. 2006. Grain quality of commercial brand rice produced in kyungpook province. Korean J. Crop Sci. 51(7) : 645-651 

  27. Leelayuthsoontorn, P. & A. Thipayarat. 2006. Textural and mor-phologocal changes of Jasmine rice under various elevated cooking conditions. Food Chemistry. 96(4) : 606-613 

  28. Lii, C. Y., M. L. Tsai, and K. H. Tseng. 1996.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y of rice starch. Cereal Chem. 73 : 415-420 

  29. Lisle, A. J., M. Martin, and M. A. Fitzgerald. 2000. Chalky and translucent rice grains differ in starch composition and structure and cooking properties. Cereal Chem. 77 : 627-632 

  30. Saitoh K., T. Yamami, T. Ishibe, Y. Matsue, T. Ogata, and T. Kuroda. 2002. Effects of organic fertilization and pesticide Application o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Jpn. J. Crop Sci. 71(2) : 169-173 

  31. Shinde, S. V., J. E. Nelson, and K. C. Huber. 2003. Soft wheat starch pasting behavior in relation to A- and B-type granule content and composition. Cereal Chem. 80 : 91-98 

  32. Sugimoto, Y., K. Nishihara, M. Inoue, and H. Fuwa. 1982. Some properties of starch granules from different plant species. J. Jpn. Soc. Starch Sci. 29 : 19-26 

  33. Tran, U. T., H. Okadome, M. Murata, S. Homma, and K. Ohtsubo, 2001. Comparison of Vietnamese and Japanese rice cultivars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Sci. Technol. Res. 7 : 323-330 

  34. Yoon, M. R., C. E. Kim, H. J. Koh, and M. Y. Kang.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kernels affected on palatability. Korean J. Crop Sci. 52(1) : 45-50 

  35. Yui, T., K. Imada, N. Shibuya, and K. Ogawa. 1995. Conformation of an arabinoxylan isolated from the rice endosperm cell wall by X-ray diffraction and a conformational analysis. Biosci. Biotech. Biochem. 59(6) : 965-9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