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비만 집단의 탄수화물 급원 식품 섭취 분포 및 노출 위험도: 대규모 한국인유전체 역학 자료 활용
Distribution and Exposure Prevalence of Carbohydrate-based Food Intake among Obese Korean Adults Based on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2, 2017년, pp.159 - 170  

한유리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권성옥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이상아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exposure prevalence of total carbohydrate intake and the carbohydrate-based foods such as rice, noodles, sweet potatoes, sweet drinks, milk and fruits and to characterize intake patterns among obese Korean adults. Methods: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성인에 있어 비만한 사람들의 식이 섭취 특성 중 탄수화물 섭취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만한 사람들에 대한 탄수화물 급원 식품의 섭취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많은 연구들은 식이 요인이 비만 발생에 미치는 연구들에 집중이 되어 있으며, 실제 비만한 사람들의 올바른 식이 접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노년 한국인의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건강 검진 코호트 연구를 위하여 모집된 대상자들의 단면 연구를 통하여 비만한 사람들의 식이 섭취 특성 중 탄수화물 섭취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비만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탄수화물 급원 식품의 섭취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계획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성인의 비만도에 따른 탄수화물 섭취 분포 및 노출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단면 연구로서 모집 당시 비만한 대상자들의 식사 섭취 특성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이다. 비만한 대상자들의 총 탄수화물 섭취도는 정상인에 비해 오히려 감소되어 있으며, 복부 비만을 지니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비만인의 탄수화물 섭취에 가장 기여도가 높은 밥류 및 빵/떡류 등의 섭취는 낮은 것으로 관찰되는 반면, 면류의 섭취는 복부비만을 비롯한 일반 비만한 대상자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중 증가에 억제에 효과적인 식품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생활 습관 요인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며[7],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 습관 요인 중 식이 요인은 비만 예방 및 관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체계적인 문헌 고찰 연구에서, 통곡류(whole grain), 식이섬유, 유제품은 체중 증가에 억제하는 역할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반면, 정제된 곡류(refined grain) 및 디저트의 높은 섭취도는 체중 증가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9].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The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데이터를 바탕으로 1965년부터 2011년까지 영양소 섭취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 섭취는 총 칼로리의 45%에서 34%로 감소한 반면에 탄수화물의 섭취는 39%에서 51%로 증가하였다.
비만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생활 습관 요인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며[7],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 습관 요인 중 식이 요인은 비만 예방 및 관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체계적인 문헌 고찰 연구에서, 통곡류(whole grain), 식이섬유, 유제품은 체중 증가에 억제하는 역할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반면, 정제된 곡류(refined grain) 및 디저트의 높은 섭취도는 체중 증가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9].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The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데이터를 바탕으로 1965년부터 2011년까지 영양소 섭취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 섭취는 총 칼로리의 45%에서 34%로 감소한 반면에 탄수화물의 섭취는 39%에서 51%로 증가하였다.
비만의 유발 요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생활 습관 요인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며[7],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 습관 요인 중 식이 요인은 비만 예방 및 관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체계적인 문헌 고찰 연구에서, 통곡류(whole grain), 식이섬유, 유제품은 체중 증가에 억제하는 역할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반면, 정제된 곡류(refined grain) 및 디저트의 높은 섭취도는 체중 증가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lakumar P, Maung-U K, Jagadeesh G. Prevalence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Pharmacol Res 2016; 113(Pt A): 600-609. 

  2. Flegal KM, Kit BK, Orpana H, Graubard BI. Association of allcause mortality with overweight and obesity using standard body mass index catego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13; 309(1): 71-82. 

  3. Carmienke S, Freitag MH, Pischon T, Schlattmann P, Fankhaenel T, Goebel H et al.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parameters and their combination in relation to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Eur J Clin Nutr 2013; 67(6): 573-585. 

  4.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4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7 Apr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mh/publications/ncd-status-report-2014/en/ 

  5.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cited 2017 Apr 4].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Interne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Mar 3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7. Nguyen DM, El-Serag HB.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0; 39(1): 1-7. 

  8. Mozaffarian D, Hao T, Rimm EB, Willett WC, Hu FB. Changes in diet and lifestyle and long-term weight gain in women and men. N Engl J Med 2011; 364(25): 2392-2404. 

  9. Fogelholm M, Anderssen S, Gunnarsdottir I, Lahti-Koski M. Dietary macronutrients and food consumption as determinants of long-term weight change in adult popul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od Nutr Res 2012; 56: 1-45. 

  10. Cohen E, Cragg M, deFonseka J, Hite A, Rosenberg M, Zhou B. Statistical review of US macronutrient consumption data, 1965-2011: Americans have been following dietary guidelines, coincident with the rise in obesity. Nutr 2015; 31(5): 727-732. 

  11. Murakami K, McCaffrey TA, Livingstone MB. Associations of dietary glycaemic index and glycaemic load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general and central obesity in British adults. Br J Nutr 2013; 110(11): 2047-2057. 

  12. Aller EE, Abete I, Astrup A, Martinez JA, van Baak MA. Starches, sugars and obesity. Nutr 2011; 3(3): 341-369. 

  13. Youn S, Woo HD, Cho YA, Shin A, Chang N, Kim J. Association between dietary carbohydrate,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men and women. Nutr Res 2012; 32(3): 153-159. 

  14.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et al.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2007; 61(12): 1435-1441. 

  15. Kim JH, Lee JE,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and the association with general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women. J Acad Nutr Diet 2012; 112(10): 1550-1559. 

  16. Serra-Majem L, Bautista-Castano I. Relationship between bread and obesity. Br J Nutr 2015; 113(S2): S29-S35. 

  17. McKeown NM, Troy LM, Jacques PF, Hoffmann U, O'Donnell CJ, Fox CS. Whole-and refined-grain intakes a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ity in healthy adults: the Framingham Heart Study. Am J Clin Nutr 2010; 92(5): 1165-1171. 

  18. Pauline KB, Rimm EB. Whole grain consumption and weight gain: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potential mechanism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Proc Nutr Soc 2003; 62(1): 25-29. 

  19. Atkinson FS, Foster-Powell K,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s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8. Diabetes Care 2008; 31(12): 2281-2283. 

  20. Radhika G, Van Dam RM, Sudha V, Ganesan A, Mohan V. Refined grain consump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urban Asian Indians (Chennai Urban Rural Epidemiology Study 57). Metab 2009; 58(5): 675-681. 

  21.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 2010; 121(11): 1356-1364. 

  22. Zuniga YL, Rebello SA, Oi PL, Zheng H, Lee J, Tai ES et al. Rice and noodl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aemia in an Asian population. Br J Nutr 2014; 111(6): 1118-1128. 

  23. Cheung BM. The cardiovascular continuum in Asia: a new paradigm for the metabolic syndrome. J Cardiovasc Pharmacol 2005; 46(2): 125-129. 

  24. Pereira MA. Sugar-sweetened and artificially-sweetened beverages in relation to obesity risk. Adv Nutr 2014; 5(6): 797-808. 

  25. Ha K, Chung S, Lee HS, Kim CI, Joung H, Paik HY et al. Association of dietary sugars and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with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 2016; 8(1): 31. 

  26. Joo NS, Yang SW, Park SJ, Choi SJ, Song BC, Yeum KJ. Milk consumption and Framingham risk score: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2008-2011). Yonsei Med J 2016; 57(1): 197-202. 

  27. Wang W, Wu Y, Zhang D. Association of dairy products consumption with risk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ults: a metaanalysis of mainly cross-sectional studies. Ann Epidemiol 2016; 26(12): 870-882. 

  28. Bertoia ML, Mukamal KJ, Cahill LE, Hou T, Ludwig DS, Mozaffarian D et al. Changes in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weight change in United States men and women followed for up to 24 years: Analysis from three prospective cohort studies. PLoS Med 2015; 12(9): e1001878. 

  29. Rizzoli R, Bischoff-Ferrari H, Dawson-Hughes B, Weaver C. Nutrition and bone health in women after the menopause. Womens Health 2014; 10(6): 599-6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