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피부 과다색소침착에 미치는 영향
Action of Rodgersia podophylla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Ski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6, 2007년, pp.434 - 436  

공연희 (한국식품연구원) ,  이평재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최상윤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라닌 생합성은 tyrosinase의 작용으로 인한 tyrosine의 산화로부터 시작되어 dopaquinone 및 dopachrome가 생성되고 dopachrome는 다시 dihydroxyindole과 dopachrome tautomerase에 의한 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Alaluf et al.; 2001).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기전을 검정하기 위하여 melan-a 세포에서의 tyrosinase 및 TRP-2 발현량을 western immunoblotting하여 측정한 결과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TRP-2 발현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tyrosinase의 발현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따라서 이전의 연구와 종합하여 볼 때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의 초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모두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brown guinea pig 피부에서 3% 농도로 도포 시 발적이나 이상 징후를 일으키지 않고 자외선으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감소 시켜 피부 미백 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써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vious study, we repor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Rodgersia podophylla root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melan-a cells. However, mechanism of the inhibitory activity and in vivo assay were not yet examined. This study performe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최근에는 이의 대체 소재로써 천연자원을 이용한 미백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미 미백활성이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천연자원인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 활성 및 자외선 차단효과, 멜라닌 생성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등을 발견하여 보고한 바 있다. (Choi et al.
  • , 2004). 이번 연구에서는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색소억제 기전 및 생체상에서의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tyrosinase 및 dopachrome tautomerase (TRP- 2) 발현량, UV로 유도된 brown guinea pig 피부의 과다색소침착에 미치는 영향 등을 측정하였고 이의 활성을 확인하여보고 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B: 3% RP in 70% ethanol treated skin site. C: The degree of pigmentation decrease (AL-valu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laluf S, Heath A, Carter N, Atkins D, Mahalinggam H, Barrett K, Kolb R, Smit N (2001) Variation in melanin content and composition in type V and VI photoexposed and photoprotected human skin: the dominant role of DHI. Pigment Cell Res. 14:337-347 

  2. Ando H, Ryu A, Hashimoto A, Oka M, Ichihashi M (1998) Linoleic acid and a-linolenic acid lightens ultraviolet-induced hyperpigmentation of the skin. Arch. Dermatol. Res. 290:375-381 

  3. Aroca P, Urabe K, Kobayashi T, Tsukamoto K, Hearing VJ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25650-25655 

  4. Cardinalli G, Ceccareli S, Kovacs D, Aspite N, Lotti LV, Torrisi MR, Picardo M (2005) Keratinocytes growth factor promotes melanosome transfer to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125: 1190-1199 

  5. Chin YW, Kim JW (2004) Four novel lignans from Rodgersia podophylla. Tetrahedron Letters. 45:339-341 

  6. Chin YW, Lim SW, Kim YC, Choi SZ, Lee KR, Kim J (2004) Hepatoprotective flavonol gyl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Rodgersia podophylla. Planta Med. 70:576-577 

  7. Choi SY, Kang NJ, Kim HC (2006) Inhibitory effects of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rodgersia podophylla A. gray. J. Medicinal Crop Sci. 14(1):27-30 

  8. Chun HJ, Choi EY, Yoon SC, Nam HW, Beak SH, Woo WH (2001)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e alba on melanin biosynthesis. Yakhak Hoeji 45(3): 269-275 

  9. Hwang EY, Choi SY (2006)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parts of panax ginseng C.A. Meye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J. Medicinal Crop Sci. 14(3):148-152 

  10. Lin JY, Fisher DE (2007) Melanocyte biology and skin pigmentation. Nature 445:843-850 

  11. Miyamura Y, Coelho SG, Wolber R, Miller SA, Wakamatsu K, Zmudzka BZ, Ito S, Smuda C, Passeron T, Choi W, Batzer J, Yamaguchi Y, Beer JZ, Hearing VJ (2006) Regulation of human skin pigmentation and responses to ultraviolet radiation. Pigment Cell Res. 20:2-13 

  12. Parvez S, Kang M, Chung HS, Cho C, Hong MC, Shin MK, Bae H (2006) Survey and mechanism of skin depigmenting and lightening agents. Phytother. Res. 20:921-934 

  13. Pawelek JM (1991) After dopachrome? Pigment Cell Res. 4:53-62 

  14. Slominski A, Tobin DJ, Shibahara S, Wortsman J (2004)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84:1155-1228 

  15. Sulaimon SS, Kitchell BE (2003) The biology of melanocytes. Veterinary Dermatology 14: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