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황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phedra sinica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1 no.2 = no.51, 2005년, pp.153 - 159  

유영근 (한국화장품(주) 기술개발연구소) ,  정민석 (한국화장품(주) 기술개발연구소) ,  최종완 (한국화장품(주) 기술개발연구소) ,  김중회 (한국화장품(주) 기술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방제제의 구성 약재인 마황이라는 천연한방소재로부터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마황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마황추출 과정을 세분화하여 methylene chloride 및 물분획물을 얻었으며 이들을 가지고 다시 tyrosinase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층부분에서만 $0.2\%$ 농도에서 $60.6\%$의 tyrosinase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후 수층부분만을 농축하여 L-DOPA 산화억제 실험 및 B-16 melanoma를 이용한 미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황추출물 $0.5\%$ 농도에서 $87\%$의 L-DOPA 산화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0.75\%$에서는 $98.8\%$의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B-16 melanoma에서는 $0.05\%$에서 $70.2\%$, $0.075\%$에서는 $79.9\%$의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수층부분만을 농축한 마황추출물의 in vivo상에서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마황추출물 $0.5\%$를 함유한 제형으로 미백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황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에서 10주 경과 후에 육안 및 기기평가 모두에서 미백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an extract from Ephedra sinica which has been composed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whitening ingredient. The extract of Ephedra sinica which was obtained from the mixture of methanol and water (1:1)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Th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미백제는 실제 인체에 적용할 경우 피부투과, 세포독성 및 제형 내에서의 안전성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어 동 물실험을 거친 후 임상실험을 실시하고 있으나, 보다 경 제적이고 효율적인 미백제 개발을 위하여 이미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많이 이루어진 천연한방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7, 17]. 따라서 본 연구도 여러 천연한방성 분들 중에서 mushroom tyrosinase를 이용한 검색법을 이용하여 마황에 대한 미백활성의 가능성을 찾아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마황추출물에 대한 미백화장품 원료로서의 적용여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Urbach and Frederick, The biologic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emphasis on skin,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kin & cancer, hospital temple university health science, Pergamon, N.Y. (1969) 

  2. A. Libert, Use of alpha-melanocyte-stimulatinghormone analogue to improve alpha-melanocytestimulating-hormone receptor binding assay in human melanoma, Pigment cell Res., 2, 510 (1989) 

  3. G. Prota, Melanins, and Melanogenesis, Academic Press, N.Y. (1992) 

  4. V. J. Hearing and M. Jimenez, Analysis of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Pigment cell Res., 2, 95 (1989) 

  5. H. Matsuda, M. Higashino, Y. Nakai, M. Iinuma, M. Kubo, and F. A. Lang, Studies of cuticle drugs from natural sources. IV. inhibitory effects of some Arctostaphylos plants on melanin biosynthesis, Bio. Pharm. Bull., 19(1), 153 (1996) 

  6. T. Tsuruga, Y. T. Chun, Y. Ebizuka, and U. Sankawa, Bi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of Melaleuca leucadendron: inhibitors of 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Chem Pharm Bull., 39(12), 3276 (1991) 

  7. F. Qiu, K. I. Komatsu, K. I. Saito, K. Kawasaki, X. Yao, and Y. Kano,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medicine. XIII. pharmacokinetic study of mulberroside A and its metabolites in rat, Biol. Pbarm. Bull., 19(11), 1463 (1996) 

  8. T. Ikeda and T. Tsutsumi, Function and skin depigmental activity of crude drugs, Fragrance J., 6, 59 (1990) 

  9. T. Yokota, H. Nishio, Y. Kubota, and M. Mizoguchi, The inhibitory effect of glabridin from licorice extracts on melanogenesis and inflammation, Pigment Cell Research, 11, 355 (1998) 

  10. A. J. Ramsay, F. Lynn, N. A. Iscoe, and H. J. Kahn, MIB-1 proliferative activity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rimary thick cutaneous melanomas, J. Invest. Dermatol., 105(1), 22 (1995) 

  11. Y. Yada, K. Higuchi, and G. Imokawa, Effects of endothelins on signal transduction and proliferation in human melanocytes, J. Biol Chem., 266(27), 18352 (1991) 

  12. J. R. Gruber, S. Ohno, and R. M. Niles, Increased expression of protein kinase C alpha plays a key role in retinoic acid-induced melanoma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67(19), 13356 (1992) 

  13. K, Maeda and M. Fkuda,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 J. Soc. Cosmet. Chem., 42, 361 (1991) 

  14. S. Pavel, Dynamics of melanogenesis intermediates, J. Invest. Dermatol., 100(2), 1523 (1993) 

  15. K, Maeda and M. Fkuda,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a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American Soc. Pharm. Exp. Therapeutics, 276(2), 765 (1996) 

  16. K, Maeda and M. Fkuda,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 J. Soc. Cosmet. Chem., 42, 361 (1991) 

  17. Y. Masamoto, S. Iida, and M. Kubo, Inhibitory effect of Chinese crude drugs on tyrosinase, Planta. Med., 40(4), 361 (1980) 

  18. Y. Ishihara, M. Oka, M. Tsunakawa, K. Tomita, M. Hatori, H. Yamamoto, H. Kamei, T. Miyaki, Koni, and T. Oki, Melanostat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properties,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J. Antibiotics, 44, 25 (1991) 

  19. H. S. Mason and E. W. Peterson, Melanoproteins reactions between enzyme-generated quinones and amino acids. Biochem Biophys. Acta, 111, 134 (1965) 

  20. P. R. Gorden, C. P. Mansur, and B. A. Gilchrest, Regulation of human melanocyte growth, dendricity and melanization by keratinocyte derived factors, J. Invest. Dermatol., 92, 565 (1989) 

  21.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J. Immunol. Methods, 65, 55 (1983) 

  22. A. Garcia and J. E. Fulton, The combination of glycolic acid and hydroquinone or kojic acid for the treatment of melanoma and related conditions, Dermatol. Surg., 22(5), 443 (1996) 

  23. C. Cotellessa, K. Peris, M. T. Onorati, M. C. Fargnoli, and S. Chimenti, The use of chemical peelings in the treatment of different cutaneous hyperpigmentations, Dermatol. Surg., 25(6), 450 (1999) 

  24. 김상태, 서기석, 채영수, 엄상철, Arbutin, glycolic acid, kojic acid 및 pentadecenoic acid가 in vitro 및 in vitro 에서 UVB 조사에 의한 색소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 피부과학회지, 32(6), 29 (1994) 

  25. J. Serup and T, Agner, Colorimetric quantification of erythema: a comparison of two colorimeters with a clinical scoring scheme and laser-dopper flowmetry, Clin. Exp. Dermatol., 15, 267 (1990) 

  26. V. J. Hearing and K. Jsukamoto, Enzymatic control of pigmentation in mammals, FASEB J., 5, 2902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