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노인에서 식품불안정과 사회경제적 지표,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0 no.8, 2007년, pp.762 - 768  

권성옥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오세영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the associations of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condition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mong 458 older adults(mean age=$73.2{\pm}4.5$) from 5 clusters of low-income areas in Seoul, Korea. Using an adapted version of the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원래 식품 불안정 측정에 미국 국민건강조사에서 사용된 핵심식품 안정조사지 (Core Food Security Survey Module) 18문항 중 어린이 관련 문항을 제외한 10문항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예비조사 결과 설문 문항의 의미가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설문이 노인에게는 다소 길다고 판단되어 6문항의 간이 핵심식품안정조사지를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층에 적합하다고 사료되는 식품 불안정 측정 척도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지를 진단하고, 저소득층 노인가구의 식품 불안정 분포와 식품 불안정 정도와 사회경제적, 건강, 식이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URL: www.stat.go.kr: 200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2006 

  3.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l. Health 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J Korean Community Nutr 1997; 2: 556-567 

  4. Chang NS, Kim JM, Kim EJ. Nutritional state and dietary behavior of the free-living elderly women. J Kor Dietary Culture 1999; 14: 155-165 

  5. Jeong MS, Kim HK.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J Korean Dietary Culture 1998; 13: 159-168 

  6. Kim JH, Kang SA, Ahn HS, Jung IK, Lee IH.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pattern in Korean elderly women. Korean J Nutr 1998; 31: 1457-1467 

  7. Han MJ, Koo SJ, Lee YS. The study offood habit and degree of depression in nursing home and private home living elderly. J Korean Dietary Culture 1998; 13: 475-486 

  8. Lim YS, Cho KJ, Nam HJ, Lee KH, Park HY.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 (2) : 257-267 

  9. Anderson SE. Core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us for difficult to sample population. J Nutr 1990; 120: 1559-1599 

  10. USDA. Guide to measuring household food security. USDA; 2000 

  11. USDA.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URL: http://www.ers.usda.gov/briefing/foodsecurity/ 

  12. Oh SY, Kim MY, Chung HR, Hong MJ. Food security and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of the households supported b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Korean J Nutr 2002; 35 (6) : 650-657 

  13. Blumberg SJ, Bialostosky K, Hamilton WL, Briefel RR. The effectiveness of a short form of the Household Food Security Scale. Am J Public Health 1999; 89(8): 1231-1234 

  14. Oh SY, Hong MH.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ary intakes for the Korean elderly. Ecology of Food and Nutrition 2002: 41: 533-548 

  15. Cook TD, Cambell DT. Quasi-experiementation. Boston: Houghton Mifflin Co.: 1979 

  16. Cody RP, Smith JK. Applied statistics and the SAS programming language. 5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2005 

  17. 정경희. 노인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노인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에 관한 심포지엄 2005년 4월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Studdert LJ, Frongillo EA Jr, Valois P. Household food insecurity was prevalent in Java during Indonesia's economic crisis. J Nutr 2001; 131 (10): 2685-2691 

  19. Kendall A, Olson CM, Frongillo EA. Relationship of hunger and food security to food availability and consumption. J Am Diet Assoc 1996; 96: 1019-1024 

  20. Tarasuk VS.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hunger is associated with women's food intakes, health and household circumstances. J Nutr 2001; 31: 2670-26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