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를 위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선발 및 동정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Bio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5 no.2, 2007년, pp.121 - 127  

이상엽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홍성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김용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김홍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73종의 식물에서의 흰가루병균에서 중복기생균인 Ampelomyces 속 308 균주를 분리하였다. 팥의 흰가루병균에서 분리한 AQ94013 균주는 오이 흰가루병균에 가장 기생력이 우수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94013 균주의 병자각은 담갈색이나 다갈색이며, 구형이나 긴 서양배 모양으로, 그 크기는 $52.5{\sim}82.5{\times}35.0{\sim}47.5$(평균 $62.5{\times}40.5){\mu}m$이다. 병포자는 옅은 갈색의 단세포이며, 세포안에 유적이 보이고, 곧은 원통모양의 방추형이며, 크기는 $5.0{\sim}8.0{\times}2.5{\sim}4.3$ (평균 $6.0{\times}3.0){\mu}m$이다. 그러므로 AQ94013 균주는 형태학적 및 분자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Ampelomyces quisqualis로 동정하였다. 또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균주는 기 상업화한 Ampelomyces sp. AQ10균주 등의 rDNA ITS sequence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 다른 균주임이 증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08 isolates of Ampelomyces sp. were isolated from powdery mildew fungi of 73 plant species in Korea for selection of biocontrol agents. An isolate 94013 isolated from powdery mildew fungus of red bean was selected as an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in greenh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선발한 8 균주에 대하여 최종 우수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8 균주의 배 양은 500 ml 삼각플라스크에 보리쌀을 100g씩 담아서 2회 멸균한 다음, PDA 배지에서 배양한 후 8 균주의 포자현탁액(7.0X 10%” 농도)을 3 ""씩 접종하였다. 접종된 플라스크를 24℃ 배양기에서 15일간 배양 후 멸균수를 넣고 포자를 회수한 다음 헤마사이트메타를이용하여 포자현탁액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 선발된 Ampelomyces sp. 94013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ribosomal 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했다. Genomic DNA 를 추출하기 위해 선발균주를 potato dextrose broth(PDB) 배지에 접종하고, 24℃에서 140rpm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 94013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ribosomal 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했다. Genomic DNA 를 추출하기 위해 선발균주를 potato dextrose broth(PDB) 배지에 접종하고, 24℃에서 140rpm으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체는 수거하여 동결건조하고, 잘 마쇄한 후 DNeasy kit(QIAGEN, Germany)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고, -20℃에 보존하면서 사용하였다.
  • (1990)의 universal primer ITS 1 (5'-TCCGTAGGTGAACCGCGG-3, )과 I* TS4(5'-TCCTCCGCTTATTGATATGC-3') 사용하였다. PCR 증폭을 위해 2.5 mM dNTP 1.6 jul, 10X buffer 2 ㎕, 100 //M primer 1과 4 긱각 0.5 μI, 5 unit/ Taq DNA polymerase 0.2 pl, genomic DNA 1 ㎕ 및 증류수 14.2 μl를 첨가하여 총 20 ㎕ 부피의 PCR 반응혼합액을 제조하였다. ITS 증폭을 위한 PCR 반응조건은 94℃ 에서 5분간 predenaturation, 94℃에서 50초간 denaturation, 52℃에서 90초간 annealing, 72℃에서 1분간 extension을 35회 반복하였고,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post extension 하였다.
  • , 1994)을 사용하여 정렬하였다. Phylogenetic t* ree 작성하기 위해 ITS1, 5.8S 및 ITS2 염기서열을 모두 사용하였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Mega v3.
  • 진균의 병자각을 떼어냈다. 광학현미경으로 병자 각과 병포자의 형태를 조사하여 Ampelomyces 속균을 확인한 다음(Fig. 1C, ID), 병포자를 백금이로 떼어내어 크로람페니콜 50ppm이 첨가된 com meal agar 배지에 도말하여 25℃ 항온기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Fig. IE).
  • quisqualis 308균주를 감자포도당한천배지 (PDA)에서 24℃에서 15일간 배양하여 병자각을 형성시킨 후 멸균수를 넣고 포자 현탁액(IX 10*7 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오이재배는 온실에서 바로커상토와 원예용장기육묘용 상토를 1 : l(v/v) 비율로 혼합하여 직경 10 cm 포트에 담은 후 은성백다다기오이를 파종하여 제 3 본엽이 출아하였을 시기에 이병 된 식물체로부터 수거한 흰가루병균(Saeneca fused)을접종하여 7일 후 병반이 형성된 오이식물체에 중복기생균의 포자현탁액(I X[()을 분무처리 한 다음 제 I 본엽을 직경 2.5 cm 크기로 잘라내어 직경 9 cm의 유리 페트리디쉬에 살균수를 적신 여과지 3매를 깔고, 잘라낸 오이잎을 넣었다. 중복기생균을 처리한 오이잎 절편을 샤레에 4매씩 균주당 3 페트리디쉬씩 처리한 다음, 25℃ 항온기에서 형광등을 매일 12시간주기로 조사하면서 처리 12일 후 해부현미경(40배)하에서 흰가루병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여 8 균주를 선발하였다.
  • Phaeosphaeria spp. Coniothyrium cereales 등을 포함하여 NCBI GenBank에서 얻어진 총 18개의 곰팡이 균주들의 ITS 염기서열을 함께 분석하여 Neighbour-joining tree를 작성하였다. ITS 염기서열을 분석 비교한 결과에서 선발균주인 AQ94013 균주는 흰가루병의 생물방제제(aqu)R)로서 상업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Khat(G ed의 흰가루병균(0m sp.
  • , Phaeosphaeria spp. 및 Coniothyrium cereales 등을 포함하여 NCBI GenBank에서 얻어진 총 18개의 곰팡이 균주들의 ITS 염기서열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 배양 후 단포자에서 뻗어 나온 균사를 감자포도당한천사면배지에 옮겨 25℃ 항온기에서 배양한 후(Fig. IF), 저온항온기 (10℃)에 보관하면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 분리한 Ampelomyces 속균 308균주 중에서 1차로 실내에서 오이 잎 절편법을 이용하여 선발된 8균주를 공시하였다. 온실에서 오이 흰가루병균이 발생한 오이포트에 처리한 다음 8일 후에 A.
  • 여러 흰가루병균에서 분리한 중복기생균들중에서 기생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분리한 A. quisqualis 308균주를 감자포도당한천배지 (PDA)에서 24℃에서 15일간 배양하여 병자각을 형성시킨 후 멸균수를 넣고 포자 현탁액(IX 10*7 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오이재배는 온실에서 바로커상토와 원예용장기육묘용 상토를 1 : l(v/v) 비율로 혼합하여 직경 10 cm 포트에 담은 후 은성백다다기오이를 파종하여 제 3 본엽이 출아하였을 시기에 이병 된 식물체로부터 수거한 흰가루병균(Saeneca fused)을접종하여 7일 후 병반이 형성된 오이식물체에 중복기생균의 포자현탁액(I X[()을 분무처리 한 다음 제 I 본엽을 직경 2.
  • 접종된 플라스크를 24℃ 배양기에서 15일간 배양 후 멸균수를 넣고 포자를 회수한 다음 헤마사이트메타를이용하여 포자현탁액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온실에서 바로 커 상토와 원예용 장기육묘 상토를 1 : l(v/v) 비율로 혼합하여 직경 25 cm 포트에 담은 후 은성백다다기 오이를 파종하여 4.5 엽기의 식물체로 재배하여 흰 가루 병균을 접종하여 병을 발생시킨 다음, 선발한 8 균주의 포자 현탁액(6.0X 을 균주당 10주씩의 오이 식물체에 분무 처리하고, 처리 8일 후에 흰가루병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 5 cm 크기로 잘라내어 직경 9 cm의 유리 페트리디쉬에 살균수를 적신 여과지 3매를 깔고, 잘라낸 오이잎을 넣었다. 중복기생균을 처리한 오이잎 절편을 샤레에 4매씩 균주당 3 페트리디쉬씩 처리한 다음, 25℃ 항온기에서 형광등을 매일 12시간주기로 조사하면서 처리 12일 후 해부현미경(40배)하에서 흰가루병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여 8 균주를 선발하였다.
  • ITS 증폭을 위한 PCR 반응조건은 94℃ 에서 5분간 predenaturation, 94℃에서 50초간 denaturation, 52℃에서 90초간 annealing, 72℃에서 1분간 extension을 35회 반복하였고,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post extension 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1.5% agarose와 0.5 X TBE bufifer(0.045 M Tris-borate, 0.001 M EDTA)를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Gel extraction kit(Bioneer)를 사용하여 겔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ABI 3100 DNA sequencer!-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8S 및 ITS2를 포함하는 rDNA-ITS 영역뿐만 아니라 18S 와 28S의 일부분을 증폭하기 위해 White et al.(1990)의 universal primer ITS 1 (5'-TCCGTAGGTGAACCGCGG-3, )과 I* TS4(5'-TCCTCCGCTTATTGATATGC-3') 사용하였다. PCR 증폭을 위해 2.
  • 1994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적으로 흰가루병에 걸린 73종의 식물체를 채집하여 분리한 중복기생균/e/o/wyces 속균)을 총 308균주 분리하였다. 분리한 중복기생균을 흰 가루 병균의 속별로 구분하면, Erysiphe속 12종에서 토대황등 14종의 식물체로부터 25균주, Sphaerotheca속 5종에서 곰취 등 35종의 식물체로부터 232균주, Microsphaerae-6종에서 갈참나무 등 6종의 식물체로부터 7균주, Phyllactinia속 1종에서 오동나무로부터 1균주, Podosphaera 속 1종에서 쥐똥나무로부터 1균주, Oidiume 2종에서 수세미오이 등 10종의 식물체로부터 25균주, Golovinmyces 속 1 종에서 삼잎국화 등 3종의식물체로부터 8균주, Uncinuliellae- 1종에서 배롱나무로부터 2균주, Uncinula속 1종에서 찔레꽃으로부터 1균주, Arfhrocladiella속 1종에서 구기자나무로부터 6균주로서 총 흰가루병균의 10속 31종에서 분리되었다.
  • 1994년부터 2005년까지 흰가루병에 감염된 식물체를 전국적으로 채집하여 해부현미경하에서 흰가 루병균에 기생한 진균의 병자각을 떼어냈다. 광학현미경으로 병자 각과 병포자의 형태를 조사하여 Ampelomyces 속균을 확인한 다음(Fig.

이론/모형

  •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여 Hanlin et a/.(1984), Sutton (1980), Clare(1964)의 분류방법에 따라서 동정하였다. 선발된 Ampelomyces sp.
  • Gel extraction kit(Bioneer)를 사용하여 겔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ABI 3100 DNA sequencer!-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DNA 염기서 열은 DNASTAR 프로그램의 sequman을 사용하여 편집하고, CLUSTAL W 분석법 (Thompson et al., 1994)을 사용하여 정렬하였다. Phylogenetic t* ree 작성하기 위해 ITS1, 5.
  • 8S 및 ITS2 염기서열을 모두 사용하였다. 정렬된 염기서열은 Mega v3.1 (Kunmar et al., 200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Neigibor-Joining(NJ)법으로 분석하였고, 분류군간 sequence distance 는 Tamura-Nei법으로 계산되었고, Bootstrap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상엽, 류재당, 김홍기. 2005.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배양적 특성. 식물병연구 11: 173-178 

  2. 中澤靖彦, 大塚範夫. 1994. ウリ類うどんこ病菌. 植物防疫 48: 36-38 

  3. 中澤靖彦. 1995. キュウリうどんこ病菌の藥劑 感受性. 今月の農業 4: 114-118 

  4. Asari, S. Horie, H. and Nakazawa, Y. 1994. Current status in sensitivity of Sphaerothecafuliginea to DMI in Kanto-Tosan District, Japan. Proc. Kanto-Tosan Plant Protec. Soc. 41: 69-75 

  5. Belanger, R. R., Dik, A. J. and Menzies, J. M. 1998. Powdery mildews recent Advances toward integrated control. Pp 89-126. In: Boland, G. J. and Kuykendall, D. L. Eds. Plant-microbe Interactions and Biological Control, Marcel dekker, New York, USA 

  6. Belorger, B. R., Labbe, C. and Jarvis, W. R. 1994. Commercial scale control of rose powdery mildew with a fungal antagonist. Phytopathology 78: 420-424 

  7. Braun, U. 1987. A Monograph of the Erysiphales (Powdery Mildews). Stuttgart, Borntraeger Publisher. 700p 

  8. Clare, B, G. 1964. Ampelomyces quisqualis (Cicinnobolus cesatii) on Queensland Erysiphaceae. Univ. Queensland Papers, Dept. Bot. 4: 147-149 

  9. Emmons, C. W. 1930. Cicinnobolus cesatii, a study in host parasite relationships. Bull. Torrey Bot. Club. 57: 421-441 

  10. Erickson, E. O. and Wilcox, W. F. 1997. Distributions of sensitivities to three sterol demethylation inhibitor fungicides among populations of Uncinula necator sensitive and resistant to triadimefon. Phytopathology 87: 784-791 

  11. Hanlin, R. T. and Tortolero, O. 1984. Brasiliomyces, a new host for Ampelomyces. Mycotaxon 21: 459-462 

  12. Hawksworth, D. L. 1981. A survey of the fungicolous conidial fungi. Pp 171-244. In: G. T. Cole and B. Kendrick. Eds. Biology of Conidial Fungi, vol. 1. Academic Press, London, UK 

  13. Hijwegen, T. 1992a.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with Tilletiopsis minor under greenhouse conditions. Neth. J Plant Pathol. 98: 221-225 

  14. Hijwegen, T. 1992b. Glycolytic activities in some fungicolous fungi. Neth. J. Plant Pathol. 98: 91-98 

  15. Hijwegen, T. and Buchenauer, H. 198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perparasitic fungi associated with Erysiphaceae. Neth. J. Plant Pathol. 90: 79-84 

  16. Hofstein, R. 1996. Ampelomyces quisqulis, a new biofungicide to control powdery mildew in grapes. in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Pests and Diseases, vol. 1: 34-40.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UK 

  17. Kiss, L. 1997. Genetic diversity in Ampelomyces isolates, hyper-parasites of powdery midew fungi, inferred from RFLP analysis of the rRNA ITS region. Mycol. Res. 101: 1073-1080 

  18. Kiss, L., Russell, J. C., Szentivanyi, O., Xu, X. and Jeffries, P. 2004. Biological and biocontrol potential of Ampelomyces mycoparasites, natural antagonist of powdery mildew fungi. Biocontrol Sci. Technol. 14: 635-651 

  19. Kiss, L. and Vajna, L. 1994. New approaches in the study of the genus Ampelomyces. Abstracts of the 3rd EFPP Conference, Poznan, p83 

  20. Kiss, L. and Vajna, L. 1995. New approaches in the study of the genus Ampelomyces, hyperparasites of powdery mildew fungi. Pp 301-304. In: Manka, M. Ed. Environmental biotic factors in integrated plant disease control. Polish Phytopathological Society, Poznan, Poland 

  21. Klecan, A. L., Hippe, S. and Somentlle, S. C. 1990. Reduced growth of Erysiphe graminis f. sp. hordei indiced by Tilletiopsis pallescens. Ecol. Epidemiol. 80: 325-331 

  22. Koji Amano. 1986. Host rang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powdery mildew. Japan societies press, Tokyo, Japan 

  23.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4.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4rd. ed. JungHangSa, Korea 

  24. Kumar, S., Tamura, K. and Nei, M. 2004. MEGA3: Integrated software for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nd sequence alignment. Brief Bioinform. 5: 150-163 

  25. Lee, B. H. 1976. Mycoparasitic fungi in Korea. part 1. Mycoparasitic fungi on the pathogen of powdery mildew. Bull. Appl. Nat. Sci. (Konkuk Univ.) 2: 7-11 

  26. Lyr, H., Russell, P. E. and Sisler, H. R. 1996. Modem fungicides and antifungal compounds. Intercept Limited, Andover, UK 

  27. Menzies, J. G., Ehret, D. L., Glass, A. D. M., Helmer, T., Koch, C. and Seywerd, F. 1991. Effects of soluble silicon on the parasitic fitness of Sphaerotheca fuliginea on Cucumis sativus. Phytopathology 81: 84-88 

  28. Nelson, M. D. and Gubler, W. D. 1995. Evaluation of biological and chemical agents for control of strawberry powdery mildew, Sphaerotheca macularis f. sp. fragariae. Phytopathology 85: 1041 (Abstr.) 

  29. Pasini, C., D'quila, F., Curir, P. and Gullino, M. L. 1997. Effectiveness of antifungal compounds against rose powdery mildew (Sphaertheca pannosa var. rosae) in glasshouses. Crop Protection 16: 251-256 

  30. Philipp, W. D. and Cruger, G. 1979. Parasitismus von Ampelomyces quisqualis auf Echten Mehltaupilzen an Gurten und anderen Gemusearten. Z. PjIanzenkrankh. Pjlanzensch. 86: 129-142 

  31. Rudakof, O. L. 1979. Fungi of the genus Ampelomyces Ces. Es Schlecht. In Russian, Mikol. Fitopatol. 13: 104-110 

  32. Shin, H. D. and Kim, K. H. 1994. Isolation of hyperparasitic fungi to powdery mildews and selection of superior isolates for bio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RDA J. Agr. Sci. 36: 141-151 

  33. Shin, H. D. 1994b.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Kor. J. Mycol. 22: 229-246 

  34. Spencer, D. M. 1978. The Powdery Mildew. London. Academic Press 

  35. Sullivan, R. F. and White, J. F. 2000. Phoma glomerata as a mycoparasite of powdery mildew. Appl. Environ. Microbiol. 66: 425-427 

  36. Sundheim, L. and Krekling, T. 1982. Host-parasite relationships of the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and its powdery mildew host Sphaerotheca fuliginea. Z. Phytopathol. 104: 202-208 

  37. Sutton, B. C. 1980. The Coelomycetes. CMI Kew, Surrey, England 

  38. Sztejnberg, A., Galper, S., Mazar S. and Lisker, N. 1989. Ampelomyces quisqualis for biological and integrated control of powdery mildews in Israel. J. Phytopath. 124: 285-295 

  39. Szentivanyi, O., Kiss, L., Russell, J. C., Kovacs, G. M., Varga, K., Jankovics, T., Lesemann , S., Xu, X.-M. and Jeffries, P. 2005. Ampelomyces mycoparasites from apple powdery mildew identified as a distinct group based on 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analysis of the rDNA ITS region. Mycol. Res. 109: 429-438 

  40. Thompson, J. D., Higgins, D. G. and Gibson, T. J.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 Acids Res. 22: 4673-4680 

  41. Urquhart, E. J., Menzies, J. G. and Punja, Z. K. 1994. Growth and biological control activity of Tilletiopsis species against powdery mildew (Sphaertheca fuliginea) on greenhouse cucumber. Phytopathology 84: 341-351 

  42. hite, T. J., Bruns, T. D., Lee, S. and Taylor, J, W.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p 315-322. In: Innis, M. A., Gelfand, D. H., Sninsky, J. J. and White, T. J.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