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내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 도입 효과분석
An Effect Analysis on the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System for Bus Compan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5 no.5, 2007년, pp.43 - 55  

김점산 (경기개발연구원) ,  조혜정 (경기개발연구원) ,  박준식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는 대중교통의육성및이용촉진에관한법률 제18조(대중교통운영자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와 동법 시행령 제21조 -25조를 근거로 2005년부터 매년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 결과는 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함과 동시에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제51조에 의한 버스재정지원금 중 운영개선지원금과 경영 및 서비스평가 인센티브 산정에 적용하고 있다. 경영 및 서비스평가는 많은 인력과 재원이 투입되고 버스업체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에 대한 저항이 존재하는 만큼 제도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도입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경영 및 서비스평가 도입효과를 정성적 방법정량적 방법을 병행하여 평가한 결과 도입효과를 긍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정량적 평가는 버스업체에 대한 일반현황 조사, 유관기관 조사, 그리고 행정기관 조사에 의한 결과를 제도가 최초 도입된 2005년과 2006년을 대상으로 전후비교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제도 도입에 따른 도입효과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평가는 행정기관 버스재정지원담당자, 버스업체 운영자(경영자), 운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분석되었으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모든 조사항목에서 평가제도 도입효과에 대해 긍정적 답변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에 대하여 설문대상자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가지표의 적정성, 평가의 실효성에 문제에 대한 대응논리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서비스 향상을 위한 평가항목의 보완 및 평가항목별(분야별) 목표 값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yeonggi-do has conducted bus management and service evaluation of bus operating company since 2005 under the law for promot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evaluation results are used for improving bus service, making policy, and estimating incentives to bus companies. A lot of cost and man-month ar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시내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 평가제도의 도입에 따른 도입 효과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대중교통의육성및이용촉진에관한법률 제18조에 따라 도내 버스업체에 대하여 경영 및 서비스 평가를 시행하여 합리적인 재정지원 기준을 마련하고 버스서비스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영 및 서비스평가 제도 도입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가항목별 평가 값 비교분석 통한 정량적 평가와 이해당사자의 제도도입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정성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또한 경기도의 버스업체에 대한 경영및 서비스평가 평가항목 및 세부평가항목별 중요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정원가제란? 인정원가제는 운송원가의 비용항목 중 서비스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용항목(유류비 등)의 단위 구입비의 상한선(인정단가)을 적용하여, 단위 구입비가 이를 초과할 경우 실적단가가 아닌 인정단가로 적용하는 제도이다.
서울시에서 시내버스업체 평가를 시행한 이유는? 서울시는 2005년 7월 버스개혁시민위원회에서 평가 지표, 성과이윤 규모, 지급방법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결과를 토대로 시내버스업체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2005년부터 시내버스업체 평가를 시작하였다.
경기도 시내버스업체에 대한 경영 및 서비스평가제도의 도입에 따른 도입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국내외 경영 및 버스서비스 평가 제도를 검토하였다. 둘째, 경기도의 경영 및 서비스평가 제도를 평가의 체계, 조사의 내용 및 방법, 평가방법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셋째, 경기도의 경영 및 서비스평가 도입효과를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병행하여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건교부(2006), '대중교통운영자 경영 및 서비스평가 매뉴얼' 

  2. 경기도(2005), '시내버스 서비스 평가' 

  3. 서울시(2005), '05년도 시내버스 업체 평가계획' 

  4. 서울시(2005), '05년도 시내버스 업체 평가지표' 

  5. 서울시(2005), '시내버스 표준원가에 따른 운송비용 정산지침' 

  6. 서울시(2006), '06년 시내버스 표준원가에 따른 운송비용 정산지침'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버스체계개편에 따른 모니터링 연구' 

  8. 한국교통연구원(2001), '시내버스운송사업조정의 기준 및 방법' 

  9. U.S. DOT(2006), '2006 Status of the Nation's Hightways, Bridges, and Transit: Conditions & Performance' 

  10. Singapore Public Transport Council, 'http://www.ptc.gov.sg' 

  11. U.S. DOT, 'http://www.dot.gov'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