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 분석을 통한 역세권 개발 입지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for Rail Station Area Development Site Using AHP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2, 2015년, pp.447 - 453  

심상우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 연구센터) ,  이규진 (아주대학교 TOD기반 지속가능 도시.교통 연구센터)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전성민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 개발 입지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평가 지표 및 가중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역세권 개발 입지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는 정량화 가능 여부, 신설 역사 적용 가능성, 자료 수집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간 상관관계 및 전문가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선정하였고, 그 결과 철도 및 지하철 수요, 공시지가 비율 등 8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수요, 사업성, 지역성으로 분류하여 선정된 평가 지표를 계층화한 후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중치는 수요(0.486), 사업성(0.369), 지역성(0.145)의 순으로 나타나 지역성보다는 수요 및 사업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75개 철도역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수도권은 수요, 지방지역은 사업성이 높은 철도역의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역세권 개발 입지는 수요와 사업성을 기반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역세권 개발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evaluation indices and weights for objectively evaluating the validity of rail station area development site. In this study, evaluation indices were selected by quantification, application of a new rail station, sustainability of data collection, correlation of indices and exp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세권 개발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 역세권 개발에 대한 입지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지표 및 가중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에서 검토된 지표를 대상으로 역세권 개발 입지 선정 평가를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 역세권 개발 입지 평가를 위한 지표 후보군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철도 및 도시철도 역세권 관련 연구 및 시설물 입지 선정 관련 연구에서 활용한 지표를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 개발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 일반철도나 KTX 역사의 역세권 개발에 대한 입지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지표 및 가중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일반철도 및 KTX역을 기반으로 역세권 개발이 이루어지나 모든 철도역을 대상으로 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이 위치한 행정구역(시·군·구)의 배후지역에 대한 평균인구(70만명)보다 많은 행정구역에 위치한 75개 철도역을 대상으로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 지표 및 가중치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배출 절감을 위한 글로벌 차원의 대응은? 지구온난화의 주요 요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해 교통의정서, Rio+21 등의 국제간 기후협약을 체결하여 글로벌 차원의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송부문이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도로부문의 여객수송 분담율은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는 어떤 사항을 정의하고 있는가? 국내에서는 역세권 개발을 활성화하고 역세권에 인접한 도시환경을 개선하는데 이바지하기 위하여 2010년 4월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었으며, 해당 법률에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역세권 개발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역세권 개발의 경우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파급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지선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부재한 상황이며, 광역지방자치단체장(시장 및 도지사)이나 국토교통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시행을 할 수 있다.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도로 부문의 여객수송 분담률은 약 80%를 차지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은? 국내의 경우 수송부문이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도로부문의 여객수송 분담율은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도로부문 교통수단에 비해 탄소 배출 및 에너지 소비가 적은 철도의 여객수송 분담율을 2020년까지 약 20% 증대시킬 계획이다. 이에 KTX 정차도시를 중심으로 거점도시권의 발전 전략을 구상하고, KTX 역세권을 지역발전의 중심으로 육성하는 등 철도역 중심의 국토 공간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ong, S. and Park, S. (2003). "Analyzing the location of urban neighborhood parks using GIS and AHP techniques." J. of the Korean Georaphical Soc., Vol. 38, No. 5, pp. 849-860 (in Korean). 

  2. Kim, D., Ryu, Y. and Choi, H. (2002). "A study on the setting up method of subway access/egress area by walking and its application." J. of Korea Plan. Association, Vol. 37, No. 5, pp. 177-186 (in Korean). 

  3. Kim, N. (2012). "Estimating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by the distribution of walking distance and the changes of housing sale prices." J. of Korea Plan. Association, Vol. 47, No. 6, pp. 29-38 (in Korean). 

  4. Kim, S., Eom, S. and Lee, M. (2013). "A study on spatial range of Seoul subway station area on characteristics of land use." J. of Korea Plan. Association, Vol. 48, No. 1, pp. 23-37 (in Korean). 

  5. Kim, T., Koo, J. and Park, J. (2008). "A comparative study on land prices and influencing factor in subway station area based on walking-distance: Focusing on Established Town and New Town in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Urban Res., Vol. 9, No. 3, pp. 93-105 (in Korean). 

  6. Lee, G., Shin, J. and Shin, S. (2010). "The research on the location suitability analysis of the city museum using the GIS-based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A Case Study of Incheon." J.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 Vol. 13, No. 3, pp. 89-105 (in Korean). 

  7. Lee, Y. and Sohn, D. (2012). "A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ubway transit demand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subway station area." J. of Urban Des. Inst. of Korea, Vol. 13, No. 4, pp. 23-32 (in Korean). 

  8. Lew, S. and Kang, J.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land value by urban spatial constitution." J. of the Korean Soc. Civil Eng., Vol. 31, No. D1, pp. 61-69 (in Korean). 

  9. Shin, J., Yim, C., Ryu, H. and Park, J. (2004). "A study on the planning strategy of super tall building for improving publicness." J. of Architectural Inst. of Korea, Vol. 20, No. 10, pp. 33-42 (in Korean). 

  10. Shon, D. and Kim, J. (201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it centers and transit ridership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J. of Architectural Inst. of Korea, Vol. 27, No. 6, pp. 177-184 (in Korean). 

  11. Song, J. and Hwang, H. (2006). "Assessment indexes of proper functions in rapid transit railway area and a case study for O-song area." J.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 Vol. 9, No. 2, pp. 31-40 (in Korean). 

  12. Tae, K. and Rhim, B. (2011). "A modeling of commercial location using the center of gravity: Focusing on the Case of Hypermarket in Seoul." J. of the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Vol. 17, No. 1, pp. 5-2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