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안 대구, Gadus macrocephalus TILESI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in East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43 no.4, 2007년, pp.320 - 328  

차형기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팀) ,  이성일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팀) ,  윤상철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팀) ,  김영섭 (서해수산연구소 연구지원팀) ,  전영열 (동해수산연구소 심해연구센터) ,  장대수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팀) ,  양재형 (동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aptured in East Sea of Korea from April 2006 to July 2007.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November, and reached maximum between December and January.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분포하는 대구의 재생산에 관련된 생식생태를 밝히고자 최근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조사된 결과로 월별 성숙비율, 생식소숙도지수, 포란수 등을 파악하여자원의 합리적 이용 및 관리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구가 주로 분포하는 해역은? 대구(Gadus macrocephalus)는 우리나라 전해역과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라스카만, 북미 캘리포니아 연안까지 매우 광범위한 해역에서 분포하며, 연직적으로 대륙붕과 대륙사면 상부에서식하는 냉수성어류이다(Westrheim, 1996).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대구는 자망, 동해구기선저 인망, 정치망어업 등에서 주로 어획되며, 동해에서의 어획량은 1970-2000년까지 600톤 미만으로 소량이 어획되다가 2001년 이후부터 763-2,023톤으로 높은 어획수준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대구는 주로 어떤 방법으로 어획이 되는가? 대구(Gadus macrocephalus)는 우리나라 전해역과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라스카만, 북미 캘리포니아 연안까지 매우 광범위한 해역에서 분포하며, 연직적으로 대륙붕과 대륙사면 상부에서식하는 냉수성어류이다(Westrheim, 1996).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대구는 자망, 동해구기선저 인망, 정치망어업 등에서 주로 어획되며, 동해에서의 어획량은 1970-2000년까지 600톤 미만으로 소량이 어획되다가 2001년 이후부터 763-2,023톤으로 높은 어획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최근 대구자원의 어획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자원을 지속적이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원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동해산 대구의 산란기와 산란성기가 추정되는 시기는? 수컷도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월별 난소와 정소의 성숙상태와 월별 생식소 숙도지수의 변화로부터 대구의 산란기는 11-2월간으로, 산란성기는 12-1월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최다 9,311,520개, 최소 753,985개로 계측되었고, 개체 크기(체장, 체중)가 클수록 절대 및 상대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암컷의 50% 성숙 체장은 전장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 H.K., Y.M. Choi, J.H. Park, J.Y. Kim and M.H. Sohn, 2002.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Houttuyn in Korean Waters. J. Korean Soc. Fish. Res., 5, 24-33 

  2. Chung, T.Y and Y.U. Kim, 1971.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of the Yellow Sea. Bull. Kor. Fish. SOC., 4, 103-104 

  3. Hattori, T., Y. Sakurai and K. Shimazaki, 1993. Maturation and reproductive cycle of female Pacific cod in water adjacent to the southern coast of Hokkaido,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58, 2245-2252 

  4. Hattori, T., Y. Sakurai and K. Shimazaki, 1995. Fecundity of spawning Pacific cod(Gadus macrocephalus) in Matsu Bay, Japan. Bull. Tohoku Natl. Fish. Res. Inst. Tohoku Suiken Ho, 57, 1-5 

  5. Klovach, N.V, O.A. Rovnina and D.V Kol-tsov, 1995. Biology and exploitation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Anadyr-Navarin region of the Bering Sea. J. Ichthyol. Vopr. IKHTIOL., 35, 9-17 

  6. Lee, C.S., Y.H. Hur, J.Y. Lee, W.K. Kim, S.H. Hong, S.J. Hwang and S.H. Choi, 2005.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 Sea. J. Kor. Fish. Soc., 38(4), 245-250 

  7. Love, M.S. and W.V. Westphal, 1981. Growth, reproduction and food habits of olive rockfish, Sebastes serranoides, off Central California. Fisheries Bulletin, 79, 533-543 

  8.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5.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major commercial species in the Korean waters. Ye-Moon Publsh. Co., Busan, pp. 383 

  9. Park, B.H., 1965. On the race cods(Gadus macrocephalus) between Yellow Sea and Chin Hae Bay of Korea. Fish. Res. Dev. Agen. Rep. Fish. Res., 6, 107-115 

  10. Park, Y.C., B.Y. CHA and H.K. CHA, 1999.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in Korean Waters. J. Korean Soc. Fish. Res., 2, 84-91 

  11. Westrheim, S.J., 1996. On the Pacific Cod(Gadus macrocephalus) in British Columbia waters, and a comparison with Pacific cod elsewhere, and Atlantic cod(G. morhua). Can. Tech. Rep. Fish. Aquat. Sci., 2092, pp. 39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