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1, 2020년, pp.27 - 35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전복순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재원 (강원도립대학교) ,  이정훈 (독도수산연구센터)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이해원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has seen a sharp decline in their catch, we must strive for continuous resource management. We investigated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T. modestus by trawl net and set net from January 2018 to November 2019, off Jeju Is. and in coastal waters of North Gyeongsang Pro...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1991년 이후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한 후 말쥐치를 주 대상으로 어획하는 업종은 없으며, 2016년에 수산자원 관리법이 개정되면서 포획금지기간과 포획금지체장이 처음으로 규정되었고 2017년 다시 개정된 후, 금지기간은 5-7월(단, 정치망 및 연안어업은 6-7월), 금지체장은 18 cm이하로 정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말쥐치 어획량이 높았을 때의 산란과 성숙에 대한 연구결과(Park, 1985)를 토대로,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한 때의 연구결과(Kim et al., 2016; Nam et at., 2018)와 산란시기를 금어기로 선정한 이후의 말쥐치의 성숙과 산란특성을 비교하고자 2018년과 2019년 어획된 말쥐치를 대상으로 체장분포, 생식소 중량지수 변화, 조직학적 변화 그리고 난경 및 포란 수 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쥐치의 특징은?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의 연간어획량이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쥐치류의 연간어획량은 연도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2005). 쥐치류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ck GW, Park JM, Jeong JM, Ye SJ and An YS. 2012. Feeding habits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 of Geomun-do, Korea. Korean J Ichthyol 24, 272-277. 

  2. Hwang Sd, Park YJ, Choi SH and Lee TW. 1997.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J Korean Fish Soc 30, 105-113. 

  3. Jung S and Cha HK. 2013. Fishing vs. Climate change: an example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J Mar Sci Tech 21, 15-22. https://doi.org/10.6119/JMST-013-1219-3. 

  4. Jeong SB, Hwang DN, Kim YJ, Shin HH and Son YU. 2005.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es collected by a bottom trawl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summer, 2004. Bull Korean Soc Fish Tech 41, 35-45. 

  5. Kim AR, Bae HJ, Kim GH and Oh CW. 2016. Age and growth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Gunther, 1877) off Jeju Island of Korea. Ocean Sci J 51, 355-362. https://doi.org/10.1007/s12601-016-0031-y. 

  6. Kim IS, Choi Y, Lee CY,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Hwang JS, ed. Kyo 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478. 

  7.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kosis.kr/index/index.do on Dec 5, 2019. 

  8. Kwon HC, Lee JB, Zhang CI, Lee DW and Choi YM. 2011. Maturation and spawning of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in the East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23, 111-118. 

  9. Lee SJ, Go YB, Lee YD, Jung JH and Han CH. 2000.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ol 12, 71-84. 

  10. Nam KM, Yoo JT, Kim JW, Park JH and Baeck GW. 2018. Maturation and spawning of femal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4, 089-095. http://dx.doi.org/10.3796/KSFOT. 2018.54.1.089. 

  11.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2017.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NIFS, Busan, Korea, 411. 

  12. Park BH. 1985.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in the Korean waters. Bull Fish Res Dev Agency 34, 1-64. 

  13. Yamada U, Tagawa M, Kishida S and Honjo K. 1985.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Nihon Shiko Printing, Nagasaki, Japan, 5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