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중부해역에 출현하는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femal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4 no.1, 2018년, pp.89 - 95  

남기문 (부경해양생물연구소) ,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  김재원 (강원도립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박종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in the coastal waters off Middle East Sea, Korea.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 was the highest in June. The spawning periods lasted from Ma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자원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산란생태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연구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쥐치의 산란생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암컷 생식소의 월별 중량지수 변화, 조직학적 변화, 군성숙 전장, 포란수 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쥐치는 어떤 식품으로 가공되는가? , 2007). 말쥐치는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 객주리(Aluterus monoceros) 등과 같은 쥐치과 어류와 마찬가지로 건어포, 회, 탕, 조림 등의 다양한 식품으로 이용될 만큼 우리나라에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이다.
말쥐치는 무엇인가?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복어목(Tetraodontiformes) 쥐치과(Monacanthida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북해도 이남, 동중국해, 남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Yamada et al., 2007). 말쥐치는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 객주리(Aluterus monoceros) 등과 같은 쥐치과 어류와 마찬가지로 건어포, 회, 탕, 조림 등의 다양한 식품으로 이용될 만큼 우리나라에서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이다.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동해 중부해역에 출현하는 말쥐치의 성숙과 산란생태에 대하여 조사결과 암컷의 GSI, 군성숙전장, 난경의 범위, 절대포란수는?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동해 중부해역에 출현하는 말쥐치의 성숙과 산란생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GSI)는 6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란기는 3월부터 9월까지로 나타났다. 암컷의 50% 군성숙전장은 18.02 cm로 추정되었다. 난경의 범위는 0.40~0.58 mm였다. 절대포란수는 185,648~9,747,250개로 나타나 전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0.0297TL5.4835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derson RO and Gutreuter SJ. 1983.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Nielson LA and Johnson DL(eds.) Fisheries Technique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aryland, 468. 

  2. Bagenal TB. 1978.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water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300. 

  3. Kim AR, Bae HJ, Kim GH and Oh CW. 2016. Age and growth of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Gunther, 1877) off Jeju Island of Korea. Ocean Sci J 51, 355-362. (DOI:10.s12601-016-0031-y) 

  4. Kim S and Zhang CI. 1994. Fish Ecology. Seoul Press. Seoul, 274. 

  5. Kim SH, Park SW, Bae JH and Kim YH. 2009. Mesh selectivity of Drift gill net for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coastal sea of gageo-do. Kor J Fish Aquat Sci 42, 518-522. 

  6. Kim SH, Park SW, Lee K and Yang YS. 2012. The estimation of optimum mesh size selectivity of a drift net for yellow croaker(Larimichthys polyactis) using by the SELECT model. J Korean Soc Fish Technol 48, 010-019. (DOI:10.3796/KSFT.2012.48.1.010) 

  7. King MG. 2007. Fisheries Biology,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ed. Blackwell Publ Oxford, 382. 

  8. Kitashima C, Kawanishi M and Takeuchi T. 1964. Egg development and post-larval of a filefish, Navodon modestus(Gunther, 1877). Suisanzoushoku 12, 49-54. 

  9. Kwon HC, Zhang CI, Lee DW and Choi YM. 2011. Maturation and spawning of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in the East Sea of Korea. Korean J Ichthyol 23, 111-118. 

  10. Lee SJ, Go YB, Lee YD, Jung JH and Han CH. 2000.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Korean J Ichthyol 12, 71-84. 

  11. Mancera-Rodriguez NJ and Castro-Hernandez JJ. 2015. Reproductive biology of the planehead filefish Stephanolepis hispidus(Pisces: Monacanthidae) in the Canary Island area. Ichthyol Res 62, 258-267. (DOI:10.1007/s10228-014-0435-6) 

  12. Ministry od Ocean and Fisheries(MOF). 2017.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http://www.fips.go.kr/. Accessed 15 Dec. 2017. 

  13. Park BH. 1985.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in the Korean waters.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64. 

  14. Wu PQ, Wu HJ and Yang J. 1989. Reproduction ecology of fishes in the Jiaozhou Bay Waters. Chin J Oceanol Limnol 3, 183-195. 

  15. Yamada UY, Tokimura H, Horikawa H and Nakada T. 2007. Fishes and Fisheries of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Tokai University Press, 1172-1182. 

  16. Yeon I, Lee DW, Choi KH, Hong BK, Kim JI and Kim YS. 2010. Long-term changes in the small yellow croaker, Lirimichthys polyactis, Population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Korean Soc Fish Technol 46, 392-405. (DOI:10.3796/KSFT.2010.46.4.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