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6 = no.196, 2007년, pp.593 - 599  

이홍숙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택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6일차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14종, 에스테르 13종, 유기산 5종, 알데하이드 3종, 아민 7종, 기타 2종으로 최대 44종이 검출되었다. S. coreanus구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ethan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methyl pentanol, 1,3-butanedi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 ethanol의 알코올 7종과 ethyl lactate, di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의 에스테르 3종, acetic acid, isopentanoic acid, hexanoic acid의 유기산 3종, acetaldehyde의 알데하이드 1종, 1,3-cyclohexane diamine의 아민 1종 등 총 15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알코올(96.758-99.387%), 에스테르(0.081-0.968%), 유기산(0.040-0.640%), 알데하이드(0.266-0.959%), 아민(0.011-0.047%)으로 나타났다. Methylpentan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ethanol, isoamyl acetate, diethyl succinate, ethyl non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stearate, hexadecanoic acid 성분은 특별히 S. coreanus구에서 타시험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1-propanol, isobutyl alcohol 성분은 S. ellipsoideus구에서 isoamyl alcohol, 1-pentanol, dimethyl ketol 성분은 S. carlsbergensis구에서 1,3-butanediol, diethyl butanoate, phenylethyl formate 성분은 S. rouxii 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탁주 술덧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 coreanus구가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에서 S. rouxii는 외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such as Saccharomyces coreanus, S. ellipsoideus, 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Baker's yeast), and S, rouxii by GC and GC-MS. Fourteen alcohols, 13 esters, 5 acids, 3 aldehydes, 7 am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외에 In 등(19)의 전통 방법으로 담금 한 소주 제조중의 퓨젤유 및 향기 성분, Lee 등(20)의 GC-MS를 이용한 전통 민속소주의 향기 성분분석과 다변량 통계해석 등이 있을 뿐이다. 술은 사용원료, 작용 효모 및 발효와 숙성조건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기성분이 형성되는데 그동안 작용효모에 관한 연구보고가 거의 없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탁주의 품질을 좌우하는 여러 요인 중 효모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acc/zaromyces속에 속하는 효모 중에서 그 종류를 달리하여 주모를 담금 하였고 술덧을 제조하여 발효 과정 중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GC, GC-MS로 분석 동정한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 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SR. Korean Fermented Foods. Ewha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22-294 (1986) 

  2. Kim CJ,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Korea. pp. 79-103 (1990) 

  3. Kim CJ.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akju brewing. J. Korean Agr. Chem. Soc. 10: 69-100 (1968) 

  4. Jin TY, Kim ES, Eun JB, Wang SJ, Wang MH.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2007) 

  5. Lee J. Studies on the qualities of takju with various koji strai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94) 

  6. Chung JH.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he fermented mash of the takju mad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J. Korean Agr. Chem. Soc. 8: 39-43 (1967) 

  7. Hong SW, Hah YC, Min KH.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mashes and takju. Korean J. Microbiol. 8: 107-115 (1970) 

  8. Kim CJ.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organic acid and sugar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J. Korean Agr. Chem. Soc. 8: 33-42 (1963) 

  9. Lee WK, Kim JR, Lee MW. Studies of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 Chem. Soc. 30: 323-327 (1987) 

  10. Lee WK. Studies on the qualitie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86) 

  11. Kim CJ. Studies on the components Korean sake (part 2). Detection of the free amino acids in takju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J. Korean Agr. Chem. Soc. 9: 59-64 (1968) 

  12.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96) 

  13.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 Chem. Soc. 39: 249-254 (1996) 

  14.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15. Han EH, Lee TS, Noh BS, Lee DS.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mash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1997) 

  16. Lee TS, Han EH. Volatile components in mash of takju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000) 

  17. Lee TS, Han EH.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mash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66-372 (2001) 

  18.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005) 

  19. In HY, Lee TS, Lee DS, Noh BS.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1995) 

  20.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994) 

  21. So MH, Lee YS, Han SH, Noh WS. Analysis of major flavor compounds in takju mash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421-426 (1999) 

  22. Encyclopedia Chimica Vol. 11. p. 110, 811, 847, Vol. 2, p. 481 Kyolis Publishing & Printing Co., Ltd., Tokyo, Japan (1964) 

  23. Yuda J.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Jpn. Soc. Brew. 71: 818-830 (1976) 

  24. Merck Index,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12th ed. p. 1130, 1270, 552, 547, 1129, 737, 88, 97, 149, 326, 8, 243, 220, 752. Merck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USA (1992) 

  25. Nishiya T. Composition of soju. J. Jpn. Soc. Brew. 72: 415-432 (1977) 

  26. Kim JL. Studies on the quantitative changes in amines and minerals of takju fermentation.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86) 

  27. Merck Index: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chemical. p. 220, 1271, 1416. Merck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USA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