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피로와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생활습관 및 직업적 요인
Socio-demographic, Life Style and Work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and Fatigue of White Collar Worke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4 no.3, 2007년, pp.61 - 71  

한상렬 (인제대학교 대학원) ,  김휘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  이채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  안진홍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  이종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  이채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  김대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과 & 산업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ocio-demographic, life style and work related factors of stress and fatigue, and correlation between them in the white collar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targeted on white collar workers of medium-sized company in Kimhae city including 24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및 피로와 관련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사회 인구학적 특성, 생활습관, 직업관련 특성별 스트레스와 피로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아울러 스트레스와 피로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피로를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진욱외 7명.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피로 및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5;17(2):129-137 

  2.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작업에 따른 피로자각 증상. 예방의학회지 1991;24(3):305-313 

  3. 김남진, 서일. 직장인들의 운동실천 정도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 21(2):100-116 

  4. 김남진.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된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7;24(1):17-28 

  5. 김대환, 김휘동. 남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습관.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2;19(2) :45-55 

  6. 김석환, 윤계수. 연구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피로에 관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1): 105-115 

  7. 대한예방의학회.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서울: 대한예방의학회,2000 

  8. 박경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3;20(3):91-108 

  9. 박내경, 김정윤, 조영채, 이동배.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피로 자각증상과 일상 생활요인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2):214-226 

  10. 안동성, 이영호, 정영조. 남자 직장인에서 홉연과 우울. 스트레스와 다른 물질 사용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4;33(6):1409-1424 

  11. 유기철, 이태용, 박암. 지하상가와 지상상가 근무자들의 피로도 비교. 충남의대잡지 1993;20(1): 103-112 

  12. 이명근, 이명선, 박경욱. 병원근무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61-73 

  13. 이명선. 작업환경과 조건이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2; 19(3):107-120 

  14. 이해진, 김택준, 전정일, 구정완, 정치경. 약사의 피로자각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26-39 

  15. 장세진외 16인.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협회지 2005;38(1)25- 37 

  16. 장준호외 5명. 일부 남성 금속제품 조립작업자들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관련 요인. 대한 산업의학회지 2004;16(2):155-165 

  17. 최정애. 일부 산업장 근로자의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 결과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2;15(1):219- 227 

  18. Bultmann U, Kant IJ, Kasl S, Beurskens A, Van den Brant P. Fatigu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working population: psychometrics, prevalence, and correlates. J Psychosom Res 2002;52(6):445-52 

  19. Chen MK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Prev Med 1986; 15:74-81 

  20. David A, Pelosi A, McDonald E.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1990;301: 1199-1202 

  21. Lennon MC. Work condition as explanations for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nd psychological disorder. Epidemiol Rev 1995; 17(1): 120-127 

  22. Matthews KA et al. Stressful work condition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mong blue collar factory workers. Am J Epidemiol 1987; 126:280-290 

  23. Morgan M. Marital status, health, illness, and service u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80; 14:633-643 

  24. Sadeh A, Keinan G, Daon K. Effects of stress on sleep: the moderating role of coping style. Health Psychol 2004;23(5):542-5 

  25. Saito K. Measurement of fatigue in industries. Industrial Health 1999;37: 134-142 

  26. Schroer C. The increase of work disability due to mental disorders. TBV 1997;5:16-23 

  27. Sherbourne CD, Hays RD. Marital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transitions in chronic disease pati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0;31:328-343 

  28. Van der Hurst M. Long workhours and Health.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3;29(3): 171-188 

  29. Vandenberg R, Park K, Dejoy D, Wilson M. Griffin-Blake C. The healthy work organization model: Expanding the view of individual health and well being in the workpl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ing 2002;2: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