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에서 영양상태 평가 및 수질 변수를 이용한 경험적 모델 구축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Korean Reservoirs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1, 2007년, pp.14 - 30  

박희정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영양화도 지수(TS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호소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에 의한 호소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수질 자료(2000, 2001)는 환경부 DB시스템에서 획득하였으며 이용된 변수는 용존산소(DO),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총인 (TP), 총질소 (TN), 부유물질 (SS), 투명도(SD), 엽록소-${\alpha}$ (CHL), 전기전도도 (Cond.)였다. 이런 수질 변수의 농도는 측정된 수계 및 계절에 따라 변이양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영양상태(Trophic state)는 상류로부터 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계절적 변이는 여름 장마기 (7${\sim}$8월)동안 크게 발생했다. TP의 주된 유입은 장마기 (r=0.656, p=0.002)동안 일어났고, 이런 현상은 SS(r=0.678, p<0.001)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HL, TP, SD 및 TN을 포함한 수질변수는 계절에 따른 수계내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적용되었다. Carlson(1977)의 부영양화도지수(TSI)에 기초한 수계 내 TSI(CHL), TSI(TP)및 TSI(SD)는 중영양-부영양 상태를 보였다. 한편, TSI(TN)은 계절에 관계없이 전체 호소 내에서 TN농도가 풍부한 부영양-과영양 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인은 호소 내 영양 상태를 조절하는 주요인자가 된다. CHL와 다른 수질 변수(TP, TN,그리고 SD)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이 개발되었다. 로그-전환 회귀분석에서 CHL-TP는 장마 전기 $R^2$ 값이 031(p=0.017)이었으나 장마 후기에는 0.69(p<0.017)로 장마 후기 인이 조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SD는 TP, CHL증가에 대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TN은 모든 기간 동안 CHL와 약한 관계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이 제시하듯이 TP는 CHL을 예측하는 핵심 인자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rophic conditions of various Korean reservoirs using Trophic State Index (TSI) and predict the reservoir conditions by empirical models. The water quality dataset (2000, 2001) used here were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

주제어

참고문헌 (55)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pp. 64-65 

  2. 김미숙, 정영륜, 서의훈, 송원섭. 2002. 낙동강 부영양화와 수질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Algae 17(2): 105-115 

  3.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육수지. 37(2): 205-212 

  4. 김용재. 2004. 낙동강 중.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화. Algae 19(4): 329-337 

  5. 김재윤. 2003. 총인부하량을 이용한 인공호의 부영양화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2(7): 689-695 

  6. 김호섭, 황순진. 2004. 육수학적 특성에 따른 국내 저수지의 부영양화 유형분석-엽록소 a와 수심을 중심으로. 육수지. 37(2): 213-226 

  7.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1.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 

  8. 서동일. 1998.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9): 1219-1234 

  9. 신재기. 1998. 낙동강 부영양화에 따른 담수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02 

  10. 신재기, 조경제. 2000. 생물검정에 의한 남조류 Microcystis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9(3): 267-273 

  11. 신재기, 조주래, 황순진, 조경제. 2000. 경안천-팔당호의 부영양화와 수질오염 특성. 육수지. 33(4): 389-394 

  12.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육수지. 38(1): 54-62 

  13. 유전재, 김종구, 권태연, 이석모. 1999. 금강의 부영양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8(2): 155-160 

  14.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 추이 및 상.하류 이질성 분석. 육수지. 53(1): 36-44 

  15. 임창수, 신재기, 조경제. 2000. 금강 중.하류에서 오염양상과 수질평가. 육수지. 33(1): 51-60 

  16. 허무명, 김범철, 박원규. 낙동강 수계의 계절별 인, 질소, Chl. a와 영양염류 농도 분포. pp. 103-110 

  17. 한국수자원공사. 2006. http://www.kowaco.of.kr 

  18. 환경부. 2006. http://water.nier.go.kr 

  19. An, K-G. 2000. Dynamic change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Korean J. Limnol. 33(3): 213-221 

  20. An, K-G. 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ean J. Limnol. 33(3): 222-229 

  21. An, K-G. 2000. The impact of monsoon on seasonal variability of basin morphology and hydrology. Korean J. Limnol. 33(4): 342-349 

  22. An, K-G. 2000. An influence of point-source and flow events on inorganic nitrogen fractions in a large artificial reservoir. Korean J. Limnol. 33(4): 350-357 

  23.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189 

  24. An, K-G. and J.R. Jones. 2000a. Significance of an intensity of the Asian monsoon on reservoir functional changes along longitudinal gradients (in press). Freshwater Biology 

  25. An, K-G. and J.R. Jones. 2000b. Factors regulating bluegreen dominance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2: 37-48 

  26. An, K-G. 2001. Hydrological significance on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tions, anions, and conductivity in a large reservoir ecosystem. Korean J. Limnol. 34(1): 1-8 

  27. An, K-G. and J.R. Jones. 2002. Reservoir response to the Asian monsoon with an emphasis on longitudinal gradients. Journal of Freshwater Ecology 17(1): 151-160 

  28. An, K-G. and S.S. Park. 2002. Indirect influence of the summer monsoon on chlorophyll-a total phosphorus models in reservoirs: a case study. Ecological Modelling 152(2-3): 191-203 

  29. An, K-G. and S.S. Park. 2002. In situ experimental evidence of phosphorus limitation on algal growth in a lake eco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A 37(5): 913-924 

  30.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1-4): 27-49 

  31. An, K-G., S.S. Park, K.-H Ahn and C.G. Urchin. 2003. Dynamics of nitrogen, phosphorus, algal biomass, and suspended solids in an artificial lentic ecosystem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of regional hydrology on trophic status.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4(1): 29-38 

  32. An, K-G. and S.S. Park. 2003. Influence of seasonal monsoon on the trophic state deviation in an Asian reservoir.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5: 267-287 

  33. Canfield, D.J. and R.W. Bachmann. 1981. Prediction of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chlorophyll-a and 8ecchi depths in natural and artificial lakes. Can. J. Fish Aquat. Sci. 38: 414-423 

  34. Carlson, R.E. 199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 Limnology Oceanogr 22: 361-369 

  35. Dillon, P.J. and F.H. Rigler. 1974. The phosphorus-chlorophyll relationship in lakes. Limnol. Oceanogr. 19: 767-781 

  36. Dodds, W.K., J.R. Jones and E.B. Welch. 1998. 8uggested classification of stream trophic state: Distributions of temperate stream types by chlorophyll,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Water Resources 32(5): 1455-1462 

  37. Ford, D.E. 1990. Reservoir transport process. p. 15-41.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K.W. et al. eds.), John Wiley & Sons, New work 

  38.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ogia 89: 189-207 

  39. Grim, N.B. and S.G. Fisher. 1986. Nitrogen limitation in a Sonoran desert stream. J. N. Am. Benthol. Soc. 5: 2-15 

  40. Havens, K.E. 1994.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in nutrient limitation in a shallow sub-tropical lake (lake Okeechobee, FL) as evidenced by trophic state index deviations. Arch. Hydrobiologia 131: 39-53 

  41. Hoyer, M.W. and J.R. Jones. 1983.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 between phosphorus and chlorophyll a in midwestern reservoirs. Can. J. Fish Aquat. Sci. 40: 192-541 

  42. Jones, J.R., M.F. Knowlton and K-G. An. 1997. Developing a paradigm to study and model the eutrophication proces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 Limnol. Special Issue 82: 1-9 

  43. Jones, J.R., M.F. Knowlton and K-G. An. 2003. Trophic state, seasonal patterns and empirical models in South Korean Reservoirs.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9(1): 64-78 

  44. Kratzer, C.R. and P.L. Brezonik. 1981. A carlson-type trophic state in 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Water Resources Bullentin 17: 713-717 

  45. Kimmel, B.L. 1990. Reservoir Primary Production. p.133-199.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KW. et al., eds.), Wiley Interscience 

  46. Nurnberg, G.K. 1996. Trophic state of clear and collored, soft- and hardwater lak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nutrients, anoxia, phytoplankton and fish.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2: 432-447 

  47.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p. 154. Paris 

  48. Perkins, B. and J.R. Jones. 1994. Temporal variability in a midwestern stream during spring. Verh. Internat. Verein. Limnol. 25: 1471-1476 

  49. Sakamoto, M. 1966.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community in some Japanese lakes and its dependence on lake depth. Arch. Hydrobiologia 62: 1-28 

  50. Soballe, D.M., Bachmann, R.W. 1984. Influence of reservoir transit on riverine algal transport and abundance. Can. J. Fish Aquat. Sci. 41: 1803-1813 

  51. Thornton, K.W. 1990. Perspectives on reservoir limnology. p. 1-4.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K.W. et al, eds.). John Wiley & Sons, New work 

  52. U. S. 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ing of an EPA sponsord symposium, EPA-600(3-76-079): 185 

  53. Vollenweider, R.A. 1968. The scientific basis of lake and stream eutrophi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osphorus and nitrogen as eutrophication factors. Tech, Rep. DECD. Paris. DAS/CSI/68. 27: 1-182 

  54. Vollenweider and Kerekes. 1980. The loading concept as bases for controlling philosophy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OECD programme on eutrophication. Prog. Wat. Tech. 12: 5-38 

  55.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s: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p. 227-238.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K.W. et al., eds.). John Wiley & Sons, New w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