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의 인자로서 TOC의 적용성 검토
Examin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OC to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3, 2019년, pp.271 - 277  

김범철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  공동수 (경기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_{KO}$) was developed in 2006, and was composed of COD ($COD_{Mn}$ based on permanganate method), Chlorophyll a (Chl.a) and total phosphorus (TP). However, $COD_{Mn}$ usually represents only 50-60% of total organic matter in stream or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경부의 물환경측정망 대상의 81개 호소 중 전기전도도가 700 μS cm-1미만이고 COD/TOC 비가 2미만인 69개 호수의 2013 ~ 2017년 전층의 평균수질을 기반으로 CODMn과 TOC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TOC를 인자로 하는 한국형 부영양화지수인 TSIKO(TOC)를 도출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DMn은 지표항목에 있어 어떤 한계가 있는가? CODMn이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총량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TSIKO의 지표항목으로 반영된 것은 TSIKO가 개발되던 2004 ~ 2006년 당시의 제도적인 여건에서 비롯되었다. 즉 TSIKO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주요호소의 영양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제도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지수인데, 환경부 물환경측정망의 대상 호소에서 TOC가 측정된 것은 2008년부터이고 호소생활환경기준으로 TOC가 도입된 것은 2012년이다.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는 무엇인가?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는 체류시간이 짧고 외부기원 유기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 우리나라 호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SD를 제외하고 대신에 COD를 지표항목으로 반영한 지수이다(NIER, 2006). 아직까지 이 지수에 대한 개발 과정과 구체적인 사항이 학술적으로 보고되어 검증된 바는 없으나, 동 지수는 2013년부터 환경부고시로 지정된 주요 호소의 영양상태에 대한 평가에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를 적용한 연구사례도 증가하고 있다(Ahn et al.
TSIKO가 각 항목별 분포로부터 독립적으로 산출된 이유는 무엇인가? a에 대한 TSI의 기본식을 고안하고 항목 간 회귀식을 기본식에 대입하여 다른 항목의 TSI를 도출하였으나 TSIKO는 각 항목별 분포로부터 독립적으로 산출된 것이다. 이는 회귀식의 적용 시 문제점으로 지적된 “상관성이 낮은 비선형 관계에서 대수치 변환여부에 따른 적합도의 차이, 이례적인 수치 또는 특정 구간에 측정치가 몰리는 경우 회귀선의 왜곡(Kong and Kim, 2019)”을 피한 것으로서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D. H., Han, S. K., and Lim, M. (2013).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Geumgang river area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21(3), 13-20. [Korean Literature] 

  2. Aizaki, M., Otsuki, A., Fukushima, T., Kawai, T., Hosomi, M., and Muraoka, K. (1981).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phic state index to Japanese lakes and its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s related to trophic state, Research Repor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23, 13-31. [in Japanese] 

  3. Carlson, R. 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2), 361-369.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1992). The use of saline waters for crop production, 1-133. 

  5. Jung, H. J., Lee, B. M., Lee, K. H., Shin, H. S., and Hur, J. (2016). Influen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refractory organic matters on organic carbon oxidation rates measured by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and a UV-sulfate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1), 98-107. [Korean Literature] 

  6. Kim, B., Ahn, T. S., and Cho, K. S. (1988). A comparative study of the eutrophication in reservoirs of the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1(3), 151-163. [Korean Literature] 

  7. Kim, B., Jung, S., Jang, C., and Kim, J. K.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29(6), 640-643. [Korean Literature] 

  8. Kim, B., Park, J. H., Choe, K., and Hwang, G. (2001). Eutrophication of reservoirs in South Korea, Limnology, 2(3), 223-229. 

  9. Kim, E., Sim, K., Kim, S., and Choi, H. I. (2012).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reservoirs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1), 78-83. [Korean Literature] 

  10. Kim, S. J., Kim, S., Chon, K. M., Lee, E., Sarper, S., Lee, S., Kim, D., and Cho, J. (2007).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measuring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eawater, Proceedings of the 2007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8-372. [Korean Literature] 

  11. Kong, D. (1997).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Supplement), 524-535. 

  12. Kong, D. (2019). Statistical analysis on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rge lak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5(2), 165-180. [Korean Literature] 

  13. Kong, D. and Kim, B. (2019). Suggestion for trophic state classification of Korean lak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5(3), [in press]. [Korean Literature]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6).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s of water environment - Eutrophication -, 1-282. [Korean Literature]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accessed May. 2018). [Korean Literature] 

  16. Park, J., Kal, B., Lee, C., Hong, S., Choi, M., and Seo, H. (2018). Analysis of the 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SoOak river watershed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0(4), 330-33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