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청호 수질오염 평가를 위한 부영양도 지수산정, 공간적 구배 특성 및 경험적 모델
Trophic State Index (TSI), Spatial Gradient Characteristics and the Empirical Models for Eutrophication Evaluations in Daecheong Reservoir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9, 2014년, pp.1537 - 1549  

권혁현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reservoir trophic state, based on Trophic State Index (TSI), spatial variation patterns of three zones (riverine, transition, and lacustrine zone), and empirical models through 20-years long-term data analysis. Trophic variables of TP and CHL-a were hig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형태적으로 길고 복잡한 대청호의 형태적 특성 (유수대, 전이대, 정수대)을 고려하여 20여년간의 장기적인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대한 변화 분석을 통해 부영양화의 연별, 공간별 특성과 부영양화도 지수(Trophic State Index, TSI)를 이용한 영양상태 평가와 변이 분석(TSI Deviation), 부영양화 변수를 이용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의 분석을 통해 수질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의 이해 및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영양화에 의한 수질 악화로서, 이런 물이 주로 음용수/식수로 이용된다는 측면에서 특히 효율적인 수질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의 부영양화는 대부분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과다 유입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영양화를 조절하는 주요인자는 총인(TP)으로 보고되고 있다(An과 Park, 2002a; An, 2003).
대청호는 어느 지역에 식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가? 8 km2, 저수용량 15억 ton 및 유역면적 4134 km2로서 우리나라 인공호중 3번째로 큰 규모의 호수이다. 1980년 대청댐이 완공되면서 대전광역시 및 청주시의 식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어, 수질관리가 특히 요구되는 호수이다. 대청호의 기존연구에 따르면, 대청호의 조류 생장은 다른 수계의 인공호들과 마찬가지로 인(P)이 중요한 핵심 제한요인으로(Kong 등, 2009; Lee과 Lee, 1987; Lee 등, 2006; Lee, 2010) 알려져 있고, 하절기 몬순강우의 강도, 빛, pH 역시 조류 생장에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An과 Jones, 2000).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외의 인공호 연구에 따르면, 인공호의 부영양화는 수체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수계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의 분포, 수체 자체의 형태적 특성(Morphometry) 및 수계의 토지이용도(Landuse pattern)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연 총강수량 1,267억 m3로 충분한 수자원을 보유하나, 평균 이용량은 약 26%로 이용률이 낮다(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n, K.G., 2000a, Dynamic change of dissolved oxygen during summer monsoon, Korean J. Limnol., 33(3), 213-221. 

  2. An, K.G., Jones, J.R., 2000, Factors regulating bluegreen dominance in a reservoir directly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2, 37-48. 

  3.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ean J. Limnol., 33, 222-229. 

  4. An, K.G., Seo, J.W., Park, S.S.,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4, 327-336. 

  5. An, K.G., Park, S.S., 2002a, Indirect influence of the summer monsoon on chlorophyll-total phosphorus models in reservoirs: a case study, Ecol. Model., 152, 191-203. 

  6. An, K.G., Park, S.S., 2002b, Influence of seasonal monsoon on the trophic state deviation in an Asian reservoir, Water Air Soil Poll., 145, 267-287. 

  7. An, K.G., Kim, D.S., 2003, Response of reservoir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Soil Poll., 149, 27-49. 

  8. An, K.G.,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ies of nutrient limitation based on in situ experiments of nutrient enrichment bioassay, J. Environ. Sci. Heal. A, 38, 687-882. 

  9. An, K.G., Shin, I.C., 2005, Influence of the Asian monsoon on seasonal fluctuations of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stream, Korean J. Limnol., 38(1), 54-62. 

  10. An, K.G., Kim, J.K., Lee. S.J., 2008, Reservoir trophic state and empirical model analysis, based on nutrients, transparency, and chlorophyll-a along with their relations among the parameters, Korean J. Environ. Biol., 26(3), 252-263. 

  11. Bae, D.Y., Yang, E.C., Jung, S.H., Lee, J.H., An, K.G., 2007, Nutrients and chlorophyll dynamics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of D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40(2), 285-293. 

  12. Canfield, D.J., Bachmann, R.W., 1981, Prediction of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chlorophyll-a and secchi depths in natural and artificial lakes, Can. J. Fish. Aquat. Sci., 38, 414-423. 

  13.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 Limnol. Oceanogr., 22, 361-369. 

  14. Carlson, R.E., 1991, Expanding the trophic state concept to identify non-nutrient limited lakes and reservoirs, Enhancing the States's Lake management Programs, 59-71. 

  15. Dillon, P.J., Rigler, F.H., 1974, The phosphoruschlorophyll relationship in lakes, Limnol. Oceanogr., 19, 767-781. 

  16. Dodds, W.K., Jones, J.R., Welch, E.B., 1998, Suggested classification of stream trophic state; distributions of temperate stream types by chlorophyll,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Water Resources, 32(5), 1455-1462. 

  17. Forsberg, C., Ryding, S.O.,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18. Grim, N.B., Fisher, S.G., 1986, Nitrogen limitation in a Sonoran desert stream, J. N. Benthol. Soc., 5, 2-15. 

  19. Han, J.H., Lee, J.Y., An, K.G., 2010,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erms of size dimension on multi-purpose Korean Dam Reservoir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Korean J. Loimnol., 43(2), 319-337. 

  20. Havens, K.E., 1994,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in nutrient limitation in a shallow sub-tropical lake (lake Okeechobee, FL) as evidenced by trophic state index deviations, Arch. Hydrobiol., 131, 39-53. 

  21. Havens, K.E., 2000, Using Trophic State Index (TSI) values to draw inferences regarding phytoplankton limiting factors and seston composition from routine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Korean J. Limnol., 33(3), 187-196. 

  22. Kennedy, R.H., Thormton, K.W., Carroll, J.H., 1981, Suspended sediment gradients in Lake Red Rock,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1318-1328. 

  23. Kennedy, R.H., Nix, J., 1987, Proceedings of the DeGray Lake Symposium, Technical Report, E-87-4. 

  24. Kim, J.Y., 2003, The evaluation of the eutrophication for the lakes by phosphorus loading, J. Environ. Sci. Int., 12(7), 689-695. 

  25. Kimmel, B.L., Groeger, A.W., 1984, Factors controlling phytoplankton production in lake and reservoirs, U.S. EPA 440/5/84-001 277-281. 

  26. Kong, K.H., Lee, J.H., An, K.G., 2009,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suspended solids effects against transparency of major artificial reservoirs in Korea, Korean J. Limnol., 42(2), 221-231. 

  27. Kratzer, C.R., Brezonik, P.L., 1981, A carlson-type trophic state in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J. Am. Water Resour. As., 17, 713-715. 

  28. Lee, H.J., Lee, H.K, 1987, A study on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 for Dae Chung Reservoir, J. Kor. Wat. Pollut. Res. Contr., 3, 17-29. 

  29. Lee, H.W., An, K.G., Park, S.S., 2002, Long-term annual trend analysis of epilimnetic water quality and their longitudinal heterogeneities in Lake Soyang, Korean J. Limnol., 35(1), 36-44. 

  30. Lee, J.W., Kim, J.Y., Hyun, K.S., 2010,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influence factors for eutrophication in Daecheong Lake, Jour. KWSWST, 18(4), 39-46. 

  31. Lee, S.H., Sin, Y.S., Jang, N.I., Kim, J.M., Kim, H.K., Cho, Y.G., Jeong, J., 2006,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in major lakes of the sumjin and Youngsan River system, Korean J. Limnol., 39(3), 296-309. 

  32.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Update, 64-65. 

  33. Nurnberg, G.K., 1996, Trophic state of clear and colored, soft-and hardwater lakes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nutrients, anoxia, phytoplankton and fish,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2, 432-447. 

  34.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Paris, 154pp. 

  35. Park, H.J., An, K.G., 2007,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Korean reservoir, Korean J. Limnol., 40(1), 14-30. 

  36. Park, J.G., 2005,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trophic states in lake Daecheong, Korean J. Limnol., 38(3), 382-392. 

  37. Sakamoto, M., 1966,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community in some Japanese lakes and its dependence on lake depth, Arch. Hydrobiol., 62, 1-28. 

  38. Thornton, K.W., 1990, Perspectives on reservoir limnology,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1-13. 

  39. Thornton, K.W., Kennedy, R.H., Carrol, J.H., Walker, W.W., Gunkel, R.C., Ashby, S., 1981, Reservoir sedimentation and water quality-an heuristic model,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654-661. 

  40. Vollenweider, R.A., 1968, The scientific basis of lake and stream eutrophi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osphorus and nitrogen as eutrophication factor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DAS/CSI/68, 27, 1-182. 

  41. Vollenweider, R.A., Kerekes, J., 1980, Loading concept as basis for controlling eutrophication philosophy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OECD programme on eutrophication, Progress in Water Technology, 12, 5-38. 

  42.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s: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New work, 227-2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