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재해 발생 위험과 피해규모를 재해연보상의 다양한 유형으로 재구성하고 시설물별 재해 저감능력 및 예방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는 기상학적, 수문학적 취약성과 재해 발생 확률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GIS 기반의 DB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시설물별 저감능력 대비 피해규모를 매칭하여 지역안전도를 진단하였다. 개발된 안전도 지표는 지역의 인명을 보호하고, 피해를 감소하며, 방재 시설물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재해 유형별 피해유형분석을 GIS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constructed the community disaster risk and patterns of damage magnitude using 'Annual Report of National Disaster Data'. And we developed the inspection index for damage reduction capacity of each facility or each damage prevention measure. The inspection indices include climatic and hydr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isaster and Emergency Reference Center (1998)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를 "어떤 지역의 재해 위험성과 위험 발생확률을 산정하기 위해 지역 의 재해 위 험 (hazards)과 취약성 (vulnerability) 을결정하는 것" 이라고 하였다. 다양한 재해 유형에 따른 위험 분석을 통해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게되는데 이를 위해서 과거 피해 자료 중 피해 유형별자료와 발생확률을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위험 지역이라는 의미에는 이미 재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기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피해 유형별위험 지구를 선정하고, 피해 유형별 발생 확률을 유형의 등급에 따라 분류하여 그 지역의 재해 유형별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 또한 이러한 해당사항 없음에 대해서 평가자가 자의적으로 해석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안전도 등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사항 없는 항목이최소화 되도록 진단 지표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추가적으로 지역의 재해 유형별 지역 시설물의 피해저감능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표를 개발하였다. 즉, 지역별 특성의 고려를 지역별 시설물 피해현황을 근거로 시설물별 피해액과 시설물별 피해 저감 지표의 매칭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역 방재역량 개선과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진단 기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진단 지표의 프로세스별 (예방, 대응, 복구) 진단 지표를 공통지표로 유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지역별 안전도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과거에는 총 53개 항목에 대하여 예방, 대응, 복구와 같은 프로세스별로 풍수해와 설해 한파 분야로 총 1000점 만점으로 배점을 하였으나 개선된 지표 (표 5)에서는 유발시설과 편의시설로 구분한 시설물별 지표와 공통 지표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기 개발된 안전도 진단 기법을 2006년시범진단을 통해 평가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제시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진단 방법에서의 재해유형을 재해연보상의 모든 유형을 반영하도록 개선하였다.
  • 지역안전도의 진단은 과거 피해자료를 기초로 지역의 피해원인, 피해 유형, 피해 패턴 등을 파악하여 그 지역의지형학적 여건에 따른 재해 발생 위험을 진단할 수 있고, 재해에 대한 지역의 피해저감노력 등을 평가하여진단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안전도 진단을위하여 기존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지역 안전역량 평가를 더욱 정확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안정성을 확보를 어떤 특정한 재해에 관하여 위험도가 허용할 수 없을 만큼 크다면 이를 허용할 수 있는 크기까지 개선하고 관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안전도가 높으면 위험도가 낮고, 위험도가 높으면 안전도가 낮다.
  • 사회적 취약성 분석은 재해 발생시 피해가 더 가중되거나 피해에 민감한 사회구조적인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사회 구조상 나타나는 빈곤층 가정의 주거지, 고소득 가정의 주거지 등을 분석하여 사회적 다양성에 따른 취약지수를 고려하여 고소득층과 빈곤층의 생활지역에 따른 재해 취약성을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별 재해 발생 위험과 피해규모를 재해연보상의 다양한 유형으로 재구성하여 지역별 피해 자료를 모두 활용하고, 시설물별 저감능력 진단지표를 개발하여 시설물별 저감 능력 대비 피해규모를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따라서 지역안전도 진단에 있어서 재해피해 저감을 위한 노력의 정도가 전체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감 노력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부분을 반영할 수 있도록 실제로 지역 안전도 진단 시범 평가에 재해경감노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사항 없는 항목이최소화 되도록 진단 지표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추가적으로 지역의 재해 유형별 지역 시설물의 피해저감능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표를 개발하였다. 즉, 지역별 특성의 고려를 지역별 시설물 피해현황을 근거로 시설물별 피해액과 시설물별 피해 저감 지표의 매칭을 통하여 실질적인 지역 방재역량 개선과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진단 기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해 유형별(태풍, 호우 등) 발생확률에 따른 안전도 진단이 가능하도록 다음과같은 식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2004) 도시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 및 피해액 평가기술 

  2. 소방방재청 (2005) 지역별 안전도 평가기법 개발 연구 보고서 

  3. 소방방재청 (2006) 지역별 안전도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세부 평가 수행방안 연구 보고서 

  4. Clarke, L. (1999) Mission Improbable: Using Fantasy Documents to Tame Disaster,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Disaster and Emergency Reference Center (1998) Unintended damaging event, industrial mishap 

  6. Djillali Benouar and Ahcene Mimi (2001) Improving Emergency Management in Algeria, International Workshop on Disaster Reduction convention, 2001 

  7. European Spatial Observation Network (ESPON-project 1.3.1) (2006) The spatial effects and managemen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in general 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8. Founier d'Albe (1979) Objectives of Volcanic Monitoring and Prediction, J. of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Vol. 136, pp. 321-326 

  9.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Coastal Services Center (2004) Coastal Storms Initiative-Florida Pilot/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10. Wolfgang Kron (2002) Flood Risk hazard x Exposure x Vulnerability. 2002 Flood Def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