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Public Transport Network Connectivity using GIS-based Space Syntax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v.9 no.3, 2007년, pp.25 - 33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통체증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대도시들은 대중교통 위주의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중교통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근성의 분석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존(zone) 레벨에서 이루어진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버스루트나 정류장과 같이 세부레벨에서의 대안적인 접근성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시종점 경로를 구성하는 수단들의 최적의 조합을 산출하고 이들의 접근성을 토폴로지에 기반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시종점루트와 최적조합을 산출하는데에는 GA(유전자알고리즘)가 사용되었으며, 접근성 산출에는 space syntax 이론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그려지는 space syntax의 axial line 대신 GIS의 nodelink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접근성은 O-D 데이터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하였으며, 서울 강남지역에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cal governments of major cities in Korea are giving focus on public transportation to reduce congestion and improve accessibility in city areas. In this regards, the proper measurement of accessibility is now a key policy requirement for reorganizing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Public tran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개별적 경로기반의 접근성을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를 제시한다. 기본적인 개념은, 더 많은 환승이 발생할수록 이동성, 또는 접근성이 어렵거나 ‘깊어’지며, 그 지역으로의 접근이 불리해진다는 것에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산출하는 대안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Space syntax의 깊이의 개념과 대중교통의 환승간에는 토폴로지적인 유사성이 있음에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space syntax 이론을 간략 하게 살펴본 후, GIS의 node‐link 기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방법론을 서울 강남구 일대에 적용하여 예시하였으며 여기에는 버스와 지하철을 포함한 GIS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 실내공간간의 전이는 대중교통에서 환승으로 대응시킬 수 있으며, 이 때는 두개의 서로 다른 루트의 연결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유사성에 기반하여,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물리적인 거리가 아닌, 위상 구조에 근거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본 절에서는 현재까지 소개한 방법론을 서울시의 강남구 일대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특정 정류장의 depth 또는 접근성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그 정류장에서 대상지의 다른 모든 정류장까지의 각 depth들을 구하는 과정이 수반되며, 이 때 각 정류장간 루트는 최적 비용의 경로가 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정류장간의 최적 루트 조합을 산출하는데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에 관해서는 다수의 문헌에 소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의 대중교통에의 적용에 관해서는 저자의 글(Jun 2005) 등을 참고하기 바란다.
  • 동일한 접근성을 갖는 두 지역은 동일한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두 지역의 대중교통 이용객 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현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D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깊이 기반의 접근성 산출값을 보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ace syntax은 어디에 사용되어온 이론인가? 본 연구에서는 space syntax란 이론에서 도출한, ‘깊이 기반 (depth‐based)’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Space syntax 는 도시공간이나 건축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어온 이론이다 (Hillier 1996). 중심 이론은, 공간구조를 ‘축선(axial lines)’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깊이(depth)에 기반하여 한 공간이 다른 공간들과 갖는 관계를 측정한다는 것이다.
대중교통에서 최적 경로를 구하는 과정은 자가운전자의 네트웍의 경우보다 복잡한데, 그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최적 비용 경로를 시종점간의 최단 또는 최소시간 경로 중 환승 수가 최소인 경로로 정의하였다. 대중교통에서 최적 경로를 구하는 과정은 자가운전자의 네트웍의 경우보다 복잡한데, 이는 네트웍이 루트가 정해진 여러 수단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환승시에는 이동시간, 대기시간과 같은 시간 제약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운송 수단이 미리 정해진 운행시간이 있을 경우에는 그 수단으로의 환승은 정해진 출발시간에 의해 제약되어지며, 최소 시간의 경로를 찾기 위해서 이들 출발시간 들을 비교해야 한다 (Desrochers et al.
대중교통에서는 환승시의 상황에 따라 비용을 다르게 주어야 하는 이유는? 그러나 대중교통에서는 환승시의 상황에 따라 비용을 다르게 주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정류장까지의 이동거리나 대기시간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류장에 관한 비용을 식 (6)과 같이 수단 선택에 따라 분해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