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류장 단위의 미시적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 - KTX 서울역 사례연구 -
Micro-scale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by Stations - KTX Seoul Station Case Study -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6년, pp.9 - 16  

최승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조성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대중교통 접근성은 교통체계 설계에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할 때 실질적인 이동경로를 반영하기 위해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네트워크상의 다른 모든 지점에 대하여 얻은 최단거리 및 시간을 이용해 정류장 단위의 세밀한 접근성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접근성 계산을 위해 환승횟수에 따른 페널티와 다수 노선들의 대기시간을 반영하여 개선한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KTX 서울역을 대상으로 다층 네트워크로 구현한 서울시 지하철 버스 네트워크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KTX 서울역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정류장 단위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eed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syst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creases,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ransportation system design. When analyzing the accessibility, shortest path algorithms can be utilized to reflect the actual mov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데이터 수집・처리 기술의 발달로 교통카드 데이터 등을 활용한 미시적 분석이 활발해지고 있어, 기존의 행정구역 단위 분석보다 세밀한 단위에서 대중교통 분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체계를 미시적인 단위로 분석하기 위해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중교통 접근성을 정류장 단위로 분석하였다. 최단거리 알고리즘으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환승횟수에 대한 부담을 반영하고 이동경로를 운행하는 노선들을 탐색하여 평균 대기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접근성을 산출하였다.

가설 설정

  • 도보링크 이동시간은 기본적으로 링크의 직선거리 / 성인 평균 보행 속도(4km/시)로 계산하고 지하철↔버스 및 지하철↔지하철 환승링크는 지하철↔버스, 지하철↔지하철 환승링크는 수직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수도권 환승여건 실태조사를 참고하여 평면거리에 역 별 수직이동시간을 더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서울시의 경우 교통체증이 심하고 배차간격이 비교적 짧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승객들이 특별히 미리 도착 시간표를 참고하지 않고 정류장에 무작위로 도착함을 가정하여 노선별 평균대기시간을 배차간격의 절반으로 설정하였다. 평균 대기시간은 교통카드 데이터의 버스 차고지 출발시각을 이용해 노선별 첫차ㆍ막차 시간과 버스 운행 횟수를 이용하여 평균적인 배차간격을 구하고 그 절반을 대기시간으로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색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이유는? 도시 환경오염 및 교통체증으로 인한 도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녹색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국가기간교통망계획(2011) 및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대한 종합발전방안(2014) 등을 통해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상호간 긴밀하게 연계된 교통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중인 교통정책은? 도시 환경오염 및 교통체증으로 인한 도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녹색 교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국가기간교통망계획(2011) 및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대한 종합발전방안(2014) 등을 통해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상호간 긴밀하게 연계된 교통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중교통 체계 계획 시 지역 간 거리 및 시간 등 지리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대중교통접근성은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이며, 특히 도시철도접근성은 교통 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주어 도시개발을 촉진하고 부동산 가격에 큰 영향을 주는 효과가 있다(Choi et al.
대중교통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할 때 실제 이동경로를 반영하기 위해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최단거리 알고리즘을 활용할 경우 한 지점을 기준으로 네트워크상의 다른 모든 지점에 대한 최단거리 및 시간을 얻을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정류장 단위의 세밀한 접근성을 도출할 수 있다(Lei and Church, 2010).또한 정류장 단위로 산출된 이동시간들을 통해 같은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지리적 분포를 등시간선으로 지도상에 표현할 수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O'Sullivan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enson, I., Martens, K., Rofe, Y. and Kwartler, A., 2011, Public transport versus private car GIS-based estimation of accessibility applied to the Tel Aviv metropolitan area,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 47, No. 3, pp. 499-515. 

  2. Boccaletti, S. et al., 2014,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multilayer networks, Physics Reports, Vol. 544, No. 1, pp. 1-122. 

  3. Choi, C. U., Son, J. W. and Lee, C. H., 2009, Land value analysis using GIS in Haeundae gu of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2, pp. 3-9. 

  4. Choi, J. S. et al., 2015, Specialized development of KTX economic area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Urban Information Service, No. 398, pp. 3-27. 

  5. Djurhuus, S., Hansen, H. S., Aadahl, M. and Glumer, C., 2016, Building a multimodal network and determining individual accessibility by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Vol. 43, pp. 210-227. 

  6. Farber, S., Morang, M. Z. and Widener, M. J., 2014, Temporal variability in transit-based accessibility to supermarkets, Applied Geography, Vol. 53, pp. 149-159. 

  7. Kim, D. Y. et al., 2013, Analysis of changes in accessibility due to the opening of the Su-seo station,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660-1665. 

  8. Kim, K. S. and Kim, S. H., 2007, A study on the access travel area of the KTX Dong-Daegu station, Seoul Studies, Vol. 8, No. 2, pp. 133-144. 

  9. Kim, S. H., Lee, C. M. and Ahn, K. H., 2001, The influence of walking distance to a transit stop on modal choice,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6, No. 7, pp. 297-307. 

  10. Kivela, M. et al., Multilayer networks, 2014, Journal of Complex Networks. Vol. 2, No. 3, pp. 203-271. 

  11. Lee, G. J., Park, C. H. and Jeon, G. S., 2003, Estimating transfer penalties considering transfer condition (A case of subway in Seoul), Proc. of the KOR-KST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44, pp. 1-6. 

  12. Lei, T. L. and Church, R., 2010, Mapping transit-based access: integrating GIS, routes and schedul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24, No. 2, pp. 283-304. 

  13. Mavoa, S., Witten, K., McCreanor, T. and O'Sullivan, D., 2012, GIS based destination accessibility via public transit and walking in Auckland, New Zealan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20, No. 1, pp. 15-22. 

  14.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5, Joint business of up-to-date of Seoul metropolitan passenger O/D traffic in 2014. 

  15. O'Sullivan, D., Morrison, A. and Shearer, A., 2000, Using desktop GIS for the investigation of accessibility by public transport: an isochrone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4, No. 1, pp. 85-104. 

  16. Park, B. H. and Oh, S. J., 2001, Effects of transfer penalty in the public transit assignment, Social Science Studies, Vol. 17, No. 2, pp. 65-92. 

  17. Peng, Z., 1997, A methodology for design of a GIS-based automatic transit traveler information system,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21, No. 5, pp. 359-372. 

  18. Salonen, M. and Toivonen, T., 2013, Modelling travel time in urban networks: comparable measures for private car and public transpor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31, pp. 143-153. 

  19. Sung, H., 2011, A study on estimating the potential impac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on housing price, Journal of the KRSA, Vol. 27, No. 2, pp. 63-76. 

  20.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4, KTX opening 10 years, what would been different. 

  21. Yang, C. H. and Son, U. Y., 2000, Estimation of transfer related values of Seoul subway users using stated preference and revealed preference analy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8, No. 4, pp. 19-30. 

  22. Yang, S. and Hang, F. L., 2015, GIS-based analysis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definition and display, CICTP 2015, Chinese Overseas Transportation Association, pp. 1213-1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