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A Characteristic of Hyeonmoyangcheo-discourse for Education of Girls' School in the 1950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19 no.4, 2007년, pp.137 - 151  

김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부)

초록

1950년대 현모양처가 구성되는 조건은 매우 다양했다.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본 1950년대의 현모양처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1950년대 가사교과서에 나타난 현모양처론은 일제시기와 달리, 유교적 여성 규율을 배제함으로써 성별분업에 근거한 '근대적' 전업주부상을 이상화하였다. 1950년대 가사교과서는 일제시기 여학생 수신교과서에 등장하는 '순종', '정절', '삼종지도' 등과 같은 유교적인 여성덕목이 사라지고 직분론에 근거한 '근대적' 주부상을 강조하였다. 이는 '민주주의'를 표방한 신생 대한민국의 국가 이념이 여성교육에 차별적으로 적용된 결과였다. 둘째, 가사교과서에서 여성 직업에 관한 내용을 강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1950년대 현모양처론은 여성에게 가사 관리자 뿐 아니라 생계 담당자의 역할도 아울러 부과하였다. 기혼여성의 직업활동은 현모양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었지만, 가사교과서는 이것을 가정경제를 운용하는 '현대적' 현모양처의 임무로 수렴하였다. 셋째,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과 생활관교육과 같은 실제 교육 내용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은 '근대적' 주부상과 '전통적' 규범을 내재한 여성상을 접목한 것이었다.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은 순종적 부덕보다는 '민주주의'에 부합하는 여성 인재의 양성에 목표를 두었지만, 실제 교육은 여전히 현모양처주의를 중시했다. 교육이념과 실제 교육의 이중성은 50년대 처음 시도되었던 생활관 교육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생활관 교육은 가사의 합리적 설계자로서 '근대적' 전업주부를 이상적 모델로 하면서도 '전통적' 여성 규범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50년대 현모양처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은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이념에서 유교적 여성규범을 일면 강조했던 일제시기의 그것을 탈피하면서도 실제 교육 내용은 여전히 '전통적 부덕'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1950년대 현모양처는 가정개량과 양육을 책임지는 '근대적' 전업주부 모델이었지만, 또 한편으로 '서구화'에 물들지 않고 '전통적 부덕'을 계승해야 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는 서구의 '근대적' 전업주부상과는 달리, 윤리적으로는 '전통성'을 체현하는 한편 가정을 '근대적'으로 개량하는 주부상이었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Hyeonmoyangcheo-ism (wise mother, good wife) in the 1950s, which were observed through the girls' school curriculums and homekeeping textbooks, were arranged as follows. Firstly, Hyeonmoyangcheo-ism in homekeeping textbooks in the 1950s stressed the modern housewife. The Con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평등주의의 원칙에 맞춰 여성교육이 시행 되었지만, 여전히 여성교육의 중심은 현모양처주의에 있었다.3) 본 연구는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변화된 사회현실 속에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주의가 여성교육에서 어떻게 재구성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 그리고 본 연구는 가사교과서의 분석에서 더 나아가 각 여학교의 교육이념과 학교에서 실제 시행하였던 교육을 생활관 실습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50 년대 현모양처론의 특징을 가사교과서, 각 여학교의 교육 방침, 실제 교육 내용(생활관 실습)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교과서에서 당위적으로 설명하는 교육담론과 실제 교육이 어떻게 조우하면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론이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겠다.
  • 그런데 현재로서는 이 시기 가사교과서의 전모를 파악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1권의 가사교과 서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는 가사교과서의 주요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현모양처 이념과의 연관성 속에서 분석할 것이다.
  • 본고는 선행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되,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1950년대의 현모양처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 민주주의 국가를 표방하고 등장한 대한민국 수립 이후, 여성교육에서 현모양처주의는 어떤 방식으로 설명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 그리고 본 연구는 가사교과서의 분석에서 더 나아가 각 여학교의 교육이념과 학교에서 실제 시행하였던 교육을 생활관 실습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50 년대 현모양처론의 특징을 가사교과서, 각 여학교의 교육 방침, 실제 교육 내용(생활관 실습)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교과서에서 당위적으로 설명하는 교육담론과 실제 교육이 어떻게 조우하면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론이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겠다.
  • 이와 더불어 전후 증대된 여성노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교육정책에 반영해야 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요구 속에서 여성교육론의 핵심이었던 현모양처론이 어떠한 내용적 변화를 갖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현모양처론이 실제 여성교육에서 합리적 가사설계자인 ‘근대적’ 주부상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전통적’인 여성상을 계속 차용해 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분석하도록 하겠다.
  • 또한 주거공간에 관한 단원에서는 입식화 된 부엌과 응접실이 있는 거실 외에 침대, 쇼파, 커튼, 소형 전등 등이 삽화로 실려 있었다. 이러한 개량론에서는 단지 생활의 편리와 효율성을 도모하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가구의 배치 문제나, 벽지 선택, 커튼의 사용 등, 집안 꾸미기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하였다.
  • 해방 이후 민주주의가 사회의 주요한 의제로 등장하면서 교육계에서는 일제시기의 황민화정책에서 벗어나 근대 국가에 부합하는 민주주의를 교육이념으로 도입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평등주의의 원칙에 맞춰 여성교육이 시행 되었지만, 여전히 여성교육의 중심은 현모양처주의에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50년대 가사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1950년대 가사교과서는 의식주, 임신 ․출산, 보육, 미용, 가정경제, 직업 등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교과 서의 내용적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학년별로 수준을 달리 서술하였기 때문에 고등학생용 교과서가 더 구체적이고 전문적이었다.
1950년대 숙명여대 총장의 여성 교육에 대한 관점은? 대학의 교육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김두헌 숙명여대 총장은 “현모양처라는 이념은 대학교육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기본이념”이라고 전제하면서, “아무리 민주주의 사회가 발전한다 할지라도 그 진정한 의의에서 현모양처의 이념은 말살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김두헌, 1959; 81). 이화여대 사범대학장인 서명원도 “남녀 동권이라면 남녀가 똑같은 것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선진 국가’의 여권운동 지도자들도 ‘한 때의 과오’를 재인식하고 주부로서의 임무를 중시한다고 했다 (서명원, 1957; 205).
1950년대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었던 여자고등학교 중 교훈에 부덕을 명시한 학교는? 여기에서 보면, 서울시내 13개 여학교의 교훈에서 ‘부덕’을 명시한 학교는 숭의여고 한 학교뿐이었고, 동덕, 배화, 성신, 숭의, 진명 등의 5개 학교는 ‘부덕’이나 ‘현모양처’를 교육방침에서 언급하였다. 그 밖의 학교들에서는 진실, 노력, 화합, 자유, 사랑, 믿음, 덕성, 예의 등, 다분히 추상적인 덕목을 교훈으로 채택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