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health problems of poor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health care program for low income children in underserved area. Methods: Heal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examination(KAHP Social Welfare Ser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빈곤아동의 인구‧보건학적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건강증진 요구에 근거한 빈곤아동 건강증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촉진시키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사회양극화현상 등으로 기본적 생존권마저 위협받고 있는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인구학적, 보건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제도적 장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양극화현상 등으로 기본적 생존권마저 위협받고 있는 취약지역 빈곤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증진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건강증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설정에 기여하고, 빈곤의 악순환에 따른 건강불평등 해소와 빈곤아동의 건강한 성장기반 조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지역 빈곤아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취약지역 빈곤아동이란 아동복지법에서 정의한 18세 미만인 자로 경제적 어려움과 부모의 사망, 유기, 방임 등으로 충분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사회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요보호아동을 의미하며, 소년소녀가장세대, 저소득 한 부모 가정의 아동과 법적 지원체계에서 벗어난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결손, 결식가정의 아동들이 빈곤아동에 포함된다(아동복지법,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사업 안내서, 모부자복지법). 본 연구에서 아동이란 로 한정한다.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어떤 악영향을 초래하는가?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교육기회 감소, 인지능력 저하, 의료서비스 부족, 건강상태 저하, 사회적응기술 부족 등 인생기회의 박탈을 초래할 가능성을 높이고, 이러한 기회박탈은 성인이 된 이후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실업에 처할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빈곤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성주헌,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관계부처합동.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시안 2006-2010, 2006 

  2. 김미곤 $\cdot$ 양시현 $\cdot$ 최현수. 한국의 빈곤동향과 정책방향, 보건사회연구, 2006;26(1): 3-35 

  3. 김수정.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페미니즘 연구, 2007;7(1):93-133 

  4. 대통령자문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출산력 저하의 원인-출산행태 및 출산력의 차이, 2006 

  5. 대통령자문 빈부격차 $\cdot$ 차별시정위원회. 빈곤율 정체, 소득분배 개선효과, 2007자료집:빈곤위기 아동 $\cdot$ 청소년 희망찾기, 2005 

  6. 류연규, 최현수. 우리나라 아동빈곤율 수준과 변화경향: 1982-2002년 도시근로자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003;19:135-165 

  7.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여성빈곤해소를 위한 성인지적 정책 생산방향, 2005 민주노동당 여성국감, 2005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05 

  9. 보건복지부. 희망스타트 아동욕구조사 결과,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7 

  1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아동 및 청소년의 건강수준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2006 

  11. 석재은.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사회복지학. 2004;56(2):167-194 

  12. 성주헌. 취약계층의 빈곤, 건강의 이중위협. 한울아카데미, 2003 

  13. 성지혜,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14. 여지영. 여성가구주와 남성가구주의 빈곤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3 

  15. 오경자, 김은이, 도례미, 어유경.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5;24(1):53-71 

  16. 이시원 $\cdot$ 김영기 $\cdot$ 이성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출산감소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논집, 2006;18(1):83-103 

  17. 이화영.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노인복지연구, 2006;32:327-355 

  18. 임종한. 빈곤아동의 영양상태에 따른 건강상의 변화 실태조사. 민주노동당 환경위원회, 2007 

  19. 최숙희. 한국의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제언, 경제연구, 2006;3(2):67-92 

  20. 통계청. 2005 Census 인구주택총조사-전수조사결과, 2006 

  21. 통계청. 2005 Census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결과-인구이동, 통근 $\cdot$ 통학부문, 2006 

  22. 한나라당정책위원회. 한국의 여성빈곤과 탈빈곤대책, 한나라당정책위원회 민생정책 릴레이심포지엄, 2007 

  23. 한국의 주요 아동지표. 2006 

  24. Chen E, et al.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Do gradients differ with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2006;62:2161-2170 

  25. Goodman E. The Role of Socioeconomic Status Gradients in Explaining Differences in US Adolescents'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9;89(10):1522-1528 

  26. Hecol HH. Values underpinning poverty programs for children. Future Child, 1997;7:141-148 

  27. Pollite E. et al. Cognitive effects of iron deficiency anemia, The Lancet, 1985;1:158-159 

  28. Schneiders, J., Drukker, M., van der Ende, J., Verhulst, F.C., van Os, J. and nicolson, N.A. Neighbourhood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behavioural problems from late childhood in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3;57: 699-703 

  29. UNICEF. Child poverty in rich countries 2005.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er, 2005 

  30. Wood D, Effect of Child and Family Poverty on Child Health in the United States; poverty, child health, community-based advocacy, Pediatrics, 2003;122:707-711 

  31. http://www.mogef.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