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Effect of Multi-dimensional Child Poverty Experience on Child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182 - 196  

조준용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 연계된 질적패널 중 성인 19명과 아동 20명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빈곤가구의 아동빈곤의 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범주 분석을 실시하고, 빈곤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현상학적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상대적 박탈감에 초점을 두고, 빈곤화 과정, 주거, 건강, 교육, 양육, 문화, 가족, 아동의 꿈 차원에서 드러나는 빈곤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기술하고, 빈곤 경험을 아동발달 관점에서 발견적이고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트라우마, 성장과 기회의 박탈, 애어른, 빈곤의 대물림, 꿈의 제한이라는 부정적인 아동발달 경험과 결부되어있었다. 이러한 내부자 시각에 기반한 질적 연구는,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대상 밀착형 정책수요를 가능하게 하여, 빈곤 정책연구 외연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the effects and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child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by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9 adults and 20 children in Korean Welfare Qualitative Panel Study and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tegories of child poverty experiences. By focusing on rel...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질은 이후 생활기회(Life Chances)에 더 중요해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에스핑 앤더슨(Esping-Andersen)은 아동기의 불평등이 기회의 불평등을 낳는 핵심이며,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성인기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므로, 빈곤아동에 대한 투자야 말로 불평등을 약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정책수단이라고 주장한다[1]. 이는 결국 아동기의 질은 이후 생활기회(Life Chances)에 더 중요해진다”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1][2].
아동기의 불평등은 무엇의 불평등을 낳는 핵심인가? 에스핑 앤더슨(Esping-Andersen)은 아동기의 불평등이 기회의 불평등을 낳는 핵심이며,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성인기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므로, 빈곤아동에 대한 투자야 말로 불평등을 약화할 수 있는 핵심적인 정책수단이라고 주장한다[1]. 이는 결국 아동기의 질은 이후 생활기회(Life Chances)에 더 중요해진다”는 말로 압축할 수 있다[1][2].
실제 아동복지와 관련된 OECD 및 UNICEF 의 지표의 경우 소득 외에 무엇을 제시하고 있는가? 이러한 측면에서 아동빈곤에 대한 개념 역시, 기본적인 욕구 결핍 상태에 대한 과한 집중에서 벗어나 기회및 사회적 배제 개념을 활용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15-17]. 실제 아동복지와 관련된 OECD 및 UNICEF 의 지표의 경우 소득 외에 주거, 건강, 교육 등을 제시하고 있고[4], 최근의 아동빈곤 관련 연구들 역시 빈곤의 다차원성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독립변수로서의 아동빈곤이 종속변수로서의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연구들로서, 측정가능한 아동빈곤 수준 및 아동발달 수준 간의 단선적인 관계를 계량적 측정을 통해 규명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신광영, 사회민주주의 복지사상: 뮈르달과 에스핑 안데르센을 중심으로, 김윤태 엮음. 복지와 사상. 한울아카데미. pp.43-68, 2016. 

  2. G. Esping-Andersen, Investing in Children and their Life Chances, Workshop paper, 2007. 

  3. e 나라지표. www.index.go.kr 

  4. 여유진 외, 아동의 빈곤예방을 위한 실태연구 ,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빈곤통계연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6. OECD Child Well-Being Data Portal, www.oecd.org/social/family/child-well-being/ 

  7. 중앙일보, 선진국보다 줄어든 '아동' 빈곤... 이유는 맞벌이와 저출산, 2017.6.6. 

  8. 김낙년,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3 , 낙성대경제연구소 working paper, 2015. 

  9. 김연아, 정원오,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비판사회정책, 제50호, pp.334-377, 2016. 

  10. 방하남, 김기남, "기회와 불평등: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193-222, 2002. 

  11. 신광영, "한국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25-141, 2006. 

  12. 여유진, 김수정, 구인회 외, 교육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13. 최은영, 홍장표,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지역사회연구, 제22권, 제1호, pp.51-70, 2014. 

  14. 최필선, 민인식, "부모의 교육과 소득수준이 세대 간 이동성과 기회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3호, pp.31-56, 2015. 

  15. 정은희, 최유석, "아동거주가구의 빈곤에 관한 다차원적 접근: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유형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129-139, 2014. 

  16. 강현정, 김윤정, "노년기 사회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23-334, 2011. 

  17. 이현주, 정은희, 이병희, 주영선, 빈곤에 대한 대안적 접근: 욕구범주를 고려한 다차원성에 대한 분석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8. 박선원,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체계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594-610, 2017. 

  19. 이성아, 박수현, "아동의 발달지연과 가족환경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75-284, 2010. 

  20. 김진희, 이상록, "빈곤, 주거환경, 이웃환경과 청소년 발달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5호, pp.385-411, 2011. 

  21. 곽금주, 김정미, 유제민, "만 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0권, 제3호, pp.83-98, 2007. 

  22. 김현옥,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과 비빈곤가족 영아의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비교," 아동교육, 제24권, 제1호, pp.119-139, 2015. 

  23. 장희선, 김기현,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47호, pp.185-216, 2014. 

  24. 박현선,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26호, pp.113-137, 2008. 

  25. 정익중, 권은선, "아동의 학업성취 발달궤적의 예측 요인과 발달산물," 제34호, pp.63-93, 2011. 

  26. 서병수, "한국의 다차원적 빈곤 분석: 실현능력접근," 사회복지정책, 제28호, 2007. 

  27. 최미란, 조희선,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76-589, 2019. 

  28. 구승신,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성장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406-419, 2017. 

  29. 석미정, "자녀의 부모화(parentification)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1권, 제2호, pp.53-7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