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249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26 plants, and the production of GAs was spectrophotometric ally examined. As a result 76 fungal strains were shown to produce GAs. Bioassay of culture broth from seventy six fungal strains producing GAs was carried out with waito-c rice, that is d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9종의 지베렐린생산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서 배양된 균체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영역을 증폭하였다(Fig. 2). ITS 영역의 PCR 증폭 및 염기 서 열 분석반응을 위해 사용한 primei.
  • Bioassay에서 control보다 waito-c 줄기를 신장시키는 균을 Czapek's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에서 180 rpm으로일주일간 진탕 배양한 배양액을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6N HC1 을 이용하여 pH를 2.5로 조절하였으며, 내부표준물질로는 20 ng의 [17.17-2H2] GAb GA3, GA4, GA7 그리고 GA53을 추출하기 전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배양액에동일한 양의 ethylacetate를 첨가하여 3개로 나눈 후 ethyl acetate를 휘발시키고 60% Methanol로 희석한 후 2N NHQH로 pH를 8.
  • Spectrophotometric method를 사용하여 밝혀진 지베렐린생산균을 Czapek's(l% glucose, 1% Bacto-peptone, 0.1% KH2PO4, 0.05% KC1, 0.05% MgSO4-7H2O, 0.001% FeSO47H2O, pH 7.3±0.2)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에서 180 rpm으로 일주일간 진탕 배양한 배양액을 여과한 후 30배 농축한 농축액을 waito-c의 이엽기 엽액 부분에 10 나를 처리해서 일주일간 유묘의 생장을 측정하였다. Bioassay 결과 control®! 배지를 처리한 벼의 신장은 평균 9.
  • 5 mL씩 총 50 분획으로 나누었다. 각 GA의 정확한 머무름 시간은 각 분획당 소량(15 μL)을 취하여 liquid scintillation spectrometry 를 이용(Beckman, 1801)하여 3H-GA 표준물질의 유무를 확인하여 결정하였다.
  • 5로 조정한 후 ethylacetate로 3회분획한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한 잔사를 methanol에 용해시켜 0.2 μm membrane filtei로 여과한 후 HPLC용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베렐린 생산성이 있는 다양한 균주를 확인하고자, 식물의 뿌리에서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진균류를분리하고, 여러 종류의 지베렐린 중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GAi, GA3, GA4, GA7과 GA9의 생산량을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로 즉정하였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 9x300 mm)을 사용하였으며 각 GA는 1% acetic acid를 포함한 28% methanol과 100% methanol 용액의 농도구배로 분리하였다. 유속은 분당 1.5 mL로 유지하였으며 1.5 mL씩 총 50 분획으로 나누었다. 각 GA의 정확한 머무름 시간은 각 분획당 소량(15 μL)을 취하여 liquid scintillation spectrometry 를 이용(Beckman, 1801)하여 3H-GA 표준물질의 유무를 확인하여 결정하였다.
  • 정성과 정량분석을 위해 Hydrocarbon standard를 이용중}여 KRI 값을 구하였으며, 각 GA와 [2H2]GA internal standards (obtained from Prof. Lewis N. Mande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의 3개의 주요 ion mass를비교하여 정량하였다.
  • 세척흐}였다. 표백제인 perchloric acid(l%)에 뿌리를 완전히 침전시킨 후 5분간씩 2회 살균한 뒤 멸균수로 3회 세척하고, 멸균된 가위를 이용하여 1.5 cm 정도로 절단한 후멸균 종이 위에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뒤 Hagem(0.5% glucose, 0.05% KH2PO4, 0.05% MgSO4-7H2O, 0.05% NH4CI, 0.1% F* eCl Streptomycin 80 ppm, 1.5% Agar, pH 5.6) 배지를 이용하여 25℃에서 배양하여 , 사상균을 순수분리 하였다. 실험 결과 황금등 26종의 식물뿌리로부터 249 종의 진균을 분리하였다.

대상 데이터

  • 5973 Network Mass Selective Detector(Hewlett Packard) 가 부착된 GC-MS를 사용하였으며 Data는 HP5970C Chemstation(Hewlett Packard)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정성과 정량분석을 위해 Hydrocarbon standard를 이용중}여 KRI 값을 구하였으며, 각 GA와 [2H2]GA internal standards (obtained from Prof.
  • 2. Nucleotide sequences of ITS region for the strain CI01, CI04, IBL03, IBL07, VP03, AT05, AK07, CP03 and CP04.
  • 본 연구에 사용된 미생물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 로부터 분양 받은 Gibberella fiijikuroi(KCCM 12329)를 control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 황금등 73종의 식물뿌리를 봉화약초시험장 및 대구칠곡 농업기술센터에서 수집하여 사용하였고, 시료는 비닐 팩에 담아 4℃에서 보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siacik, K. S. and N. Aksoz. 2004. Optimization of carbonnitrogen ratio for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by Pseudomonas sp .. Pol. J. Microbiol. 53: 117-20 

  2. Bottini, R., F. Cassan and P. Piccoli. 2004. Gibberellin production by bacteria and its involvement in plant growth promotion and yield increase. Appl. Microbiol. Biotechnol. 65: 497-503 

  3. Choi, W. Y., S. O. Rim, J. H. Lee, J. M. Lee, I. J. Lee, K. J. Cho, I. K. Rhee, J. B. Kwon, and J. G. Kim. 2005. Isolation of gibberellins-producing fungi from the root of several Sesamum indicum plants. J. Microbiol. Biotechnol. 15: 22-28 

  4. Escamilla, E. M., L. Dendooven, I. P. Magana, R. Parra, and M. De la Torre. 2000. Optimization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by immobilized Gibberella fujikuroi mycelium in fluidized bioreactors. J. Biotechnol. 76: 147-55 

  5. Hedden, Peter and A. L. Phillips. 2000. Gibberellin metabolism: new insights revealed by the genes. Trands in Plant Sci. 5: 523-530 

  6. Hedden, P., A. L. Phillips, M. C. Rojas, E. Carrera, and B. Tudzynski. 2002. Gibberellin biosynthesis in plants and fungi: A case of convergent evolution? J. Plant Growth Regul. 20: 319-331 

  7. Kawaide, H. and T. Sassa. 1993. Accumulation of gibberellin A, and the metabolism of gibberellin $A_9$ to gibberellin Al in a Phaeosphaeria sp. L 487 culture. Biosci. Biotech. Biochem. 57: 1403-1405 

  8. Kawanabe, Y., H. Yamane, T. Murayama, N. Takahashi, and T. Nakamura. 1983. Identification of gibberellin $A_3$ in mycelia Neurospora crassa. Agric. Biol. Chem. 47: 1693-1694 

  9. Lee, Y. S., H. J. Son, I. H. Kim, and T. L. Mheen. 1983.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Kor. J. Appl. Microbiol. Bioeng. 3: 217-222 

  10. Lewis N. Mander. 2003. Twenty years of gibberellin research. Nat. Prod. Rep. 20: 49-69 

  11. Rachev, R., V. Gancheva, S. Bojkova, C. Christov, and T. Zafirova, 1997. Gibberellin biosynthesis by Fusarium moniliforme in the presence of hydrophobic resin Amberlite XAD-2. Bulg. J. Plant Physi. 12: 24-31 

  12. Rim, S. O., J. H. Lee, W. Y. Choi, S. K. Hwang, S. J. Suh, I. J. Lee, I. K. Rhee, and J. G. Kim. 2005. Fusarium prolifertum KGL0401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fungus. J. Microbiol. Biotechnol. 15: 809-814 

  13. Tudzynski, B. 1999. Biosynthesis of gibberellins in Gibberella fujikuroi: biomolecular aspects. Appl. Microbiol. Biotechnol. 52: 298-310 

  14. Tudzynski B., M. Mihlan, M. Cecilia Rojas, P. Linnemannstons, P. Gaskin nd P. Hedden.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final two genes of the gibberellin biosynthesis gene cluster of Gibberella fujikuroi: des and P450-3 encode GA4 desaturase and the 13-hydroxy1ase, respectively. J. Biol. Chem. 278: 28635-286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