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수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지베렐린 생산과 동정
Gibberellins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Aquatic Plant in Fresh Water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3 no.1, 2015년, pp.71 - 76  

유영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강상모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최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생식물 샘플은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달성습지에서 자라풀을 채집하였다. 자라풀의 뿌리에서 내생균류를 분리하고 형태가 다른 균주를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1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내생균류의 배양여과액은 식물생장촉진활성 검정을 위하여 난장이벼에 처리하여 스크리닝하였으며, HD1008 균주가 식물생장촉진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HD1008 균주의 배양여과액을 HPLC와 GC/M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HD1008 균주가 식물호르몬인 지베렐린 $GA_1$ (1.2 ng/100 mL)과 $GA_4$ (5 ng/100 mL) 를 생산하는 것을 정량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HD1008균주의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동정에 이용하였으며, 분자적인 방법과 형태적인 방법으로 관찰하였을 때,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새로운 P. trzebinskii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quatic plant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was collected from the Dalsung wetland in Daegu. Sixteen endophytic fungi with different colony morphologi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aquatic plants. Waito-c rice (WR) seedlings were treated with fungal culture filtrates (FCF) for screening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달성습지에 자생하고 있는 수생식물인 자라풀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균류가 식물생장과 관련하여 생장저해 또는 생장촉진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생장활성 스크리닝과 이차대사산물을 분석하여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활성 지베렐린 중의 하나인 GA1과 GA4는 식물-내생균류 상호관계 및 유용물질에 대한 연구 소재로 보고되고 있다[13, 14].
  • 본 연구는 담수지역인 강 배후 습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의 내생균류에 대한 연구로서 내생균류가 수생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수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균류를 활용하여 식물생장촉 진활성 스크리닝, 이차대사산물 분석 및 유용미생물의 동정을 수행하였다.
  • 특히 염환경에 자생하는 균류 중에서 Penicillium속에 포 함되는 종들에 의하여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으며[12, 14], 드물게 Aspergillus 속[21], Cadophora 속[14], Cladosporium 속[22]에서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수생식물과 공생하는 내생균류의 식물호르몬 생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 보고하고자 한다. 물론 다양하고 많은 양의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를 시작으로 수생식물과 공생하는 내생균류뿐만이 아니라 내생세균 등 다양한 공생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역할은? 습지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의 전이지대로서 두 지역의 생태계를 완충하고 홍수조절, 정화작용, 동식물의 서식처제공, 물질의 이동통로이자 변환장소, 이산화탄소의 농 도증가를 억제하여 기후를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1]. 특히, 습지는 생물 종의 변환에 대하여 종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우수하고, 생물상 발달에 유리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규모에 비하여 다른 생태계들 보다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2].
식물생장과 관련에 영향을 주는 해안생태계의 균류는? 특히 염환경에 자생하는 균류 중에서 Penicillium속에 포 함되는 종들에 의하여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으며[12, 14], 드물게 Aspergillus속[21], Cadophora속[14], Cladosporium 속[22]에서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수생식물과 공생하는 내생균류의 식물호르몬 생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수생식물 샘플은 어디서 채집했는가? 수생식물 샘플은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달성습지에서 자라풀을 채집하였다. 자라풀의 뿌리에서 내생균류를 분리하고 형태가 다른 균주를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1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hitaker V, Matvienko B. The denitrification potenti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n the wetlands of the Lobo resevoir. In: Proceeding of Verhandlungen Internationale Vereinigung fur Theoretische und Angewandte Limnologie; 1995 Jul 23-29; Sao Paulo, Brazil.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oretical & Applied Limnology; 1995. p.1377-82. 

  2. Denny P. Biodiversity and wetlands. Wetlands Ecol Manag 1994;3:55-61. 

  3. Kuczynska-Kippen N. Habitat choice in rotifer communities of three shallow lakes: impact of macrophyte substratum and season. Hydrobiologia 2007;593:27-37. 

  4. Mitsch WJ, Grosselink JG. Wetlands.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0. 

  5. Carpenter S, Lodge DM. Effects of submersed macrophytes on ecosystem processes. Aquatic Bot 1986;26:341-70. 

  6. Clark SJ, Wharton G. Sediment nutrient characteristics and aquatic macrophytes in lowland English rivers. Sci Total Environ 2001;266:103-12. 

  7. Sand-Jensen K, Pedersen O. Velocity gradients and turbulence around macrophyte stands in streams. Freshw Biol 1999;42:315-28. 

  8. Desmet NJ, Van Belleghem S, Seuntjens P, Bouma, TJ, Buis K, Meire P. Quantification of the impact of macrophytes on oxygen dynamics and nitrogen retention in a vegetated lowland river. Phys Chem Earth 2011;36:479-89. 

  9. Yeh TY, Ke TY, Lin YL. Algal growth control within natural water purification systems: macrophyte light shading effects. Water Air Soil Pollut 2011;214:575-86. 

  10. Kim HJ, Park JS, Kim SY, Koo JG, Bang IC, Kwon SR. Identification of water mold from wild brook lamprey, Lethenterone reissneri. J Fish Pathol 2013;26:39-44. 

  11. Jee BY, Lee DC, Kim NY, Jung SH, Park SI. Identification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of the fungi from three salmonid species and their eggs. J Fish Pathol 2007;20:147-60. 

  12. You YH, Yoon H, Kang SM, Shin JH, Choo YS, Lee IJ, Lee JM, Kim JG. Fungal divers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from six halophytes in Suncheon bay. J Microbiol Biotechnol 2012;22:1549-56. 

  13. Khan SA, Hamayun M, Yoon H, Kim HY, Suh SJ, Hwang SK, Kim JM, Lee IJ, Choo YS, Yoon UH, et al.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BMC Microbiol 2008;8:231-40. 

  14. You YH, Yoon H, Kang SM, Woo JR, Choo YS, Lee IJ, Shin JH, Kim JG. Cadophora malorum Cs-8-1 as a new fungal strain producing gibberellins isolated from Calystegia soldanella. J Basic Microbiol 2013;53:630-4. 

  15. Glass, NL, Donaldson GC. Development of primer sets designed for use with the PCR to amplify conserved genes from filamentous ascomycetes. Appl Environ Microbiol 1995;61, 1323-30. 

  16.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7. Houbraken J, Samson RA. Phylogeny of Penicillium and the segregation of Trichocomaceae into three families. Stud Mycol 2011;70:1-51. 

  18. Houbraken J, Visagie CM, Meijer M, Frisvad JC, Busby PE, Pitt JI, Seifert KA, Louis-Seize G, Demirel R, Yilmaz N, et al. A taxonomic and phylogenetic revision of Penicillium section Aspergilloides. Stud Mycol 2014;78:373-451. 

  19. Rodriguez RJ, Henson J, Van Volkenburgh E, Hoy M, Wright L, Beckwith F, Kim YO, Redman RS. Stress tolerance in plants via habitat-adapted symbiosis. ISME J 2008;2:404-16. 

  20. Redman RS, Sheehan KB, Stout RG, Rodriguez RJ, Henson JM. Thermotolerance generated by plant/fungal symbiosis. Science 2002;298:1581. 

  21. You YH, Yoon HJ, Woo JR, Seo YG, Shin JH, Choo YS, Lee IJ, Kim JG. Plant growth promotion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Calystegia soldanell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1;39:324-9. 

  22. Hamayun M, Khan SA, Khan AL, Rehman G, Kim YH, Iqbal I, Hussain J, Sohn EY, Lee IJ. Gibberellin product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from pure cultures of Cladosporium sp. MH-6 isolated from cucumber (Cucumis sativus L.). Mycologia 2010;102:98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