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합병증 발생과 혈중 활성 산화물 농도와의 관계
Correlation of serum total hydroperoxide levels and diseases of prematurit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0 no.8, 2007년, pp.746 - 752  

김신혜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허혜영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이규형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  문자영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재활의학과교실) ,  채규영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뇌실주변부 백질연화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이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및 조직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활성 산소와 세포 내 분자들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숙아와 정상 만삭아의 혈중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활성 산화물의 농도와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6주 이하의 미숙아 39명과 37주 이상의 정상 만삭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만삭아군에서 출생일 혈청 total hydroperoxide(TH)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숙아군에서는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삭아군과 미숙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하였고, 미숙아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혈액검사 소견, 뇌 초음파 및 뇌 자기 공명영상 소견, 임상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합병증이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출생일과 생후 7일째 혈청 TH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의 출생일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아군은 평균 $186{\pm}42U.carr/L$, 만삭아군은 $157{\pm}36U.carr/L$로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미숙아군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의 출생일과 생후 7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출생일에는 합병증군 $211{\pm}37U.carr/L$, 비합병증군 $168{\pm}36U.carr/L$로 합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후 7일에는 합병증군 $205{\pm}64U.carr/L$, 비합병증군 $188{\pm}32U.carr/L$로 합병증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과 정상 만삭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인 재태주령, 5분 Apgar 점수, 동맥혈 가스검사의 pH, 출생일 TH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재태주령(Odds ratio 0.586, 95% CI 0.370-0.927, P=0.022)과 TH 농도 (Odds ratio 1.046, 95% CI 1.010-1.085, P=0.013)가 독립적으로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였다. 결 론 : 합병증이 발생한 미숙아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나 만삭아에 비해 출생일 혈청 TH의 농도가 높으며, 미숙아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는 미숙아 합병증 발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tal hydroperoxide (TH), free radical-mediated oxidation product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ree radical injur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e if preterm newborns are at increased risk for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term newborns, and to determine whether oxidative stress d...

주제어

참고문헌 (40)

  1. Methods Enzymol Halliwell 186 1 1990 10.1016/0076-6879(90)86093-B 

  2. Proc Soc Exp Biol Med Allen 196 117 1991 10.3181/00379727-196-43171A 

  3. J Free Radic Biol Med Sohal 2 175 1986 10.1016/S0748-5514(86)80067-8 

  4. Toxicology Mates 153 83 2000 10.1016/S0300-483X(00)00306-1 

  5. Ann Int Med McCord 89 122 1978 10.7326/0003-4819-89-1-122 

  6. Pediatr Res Frank 29 292 1991 10.1203/00006450-199103000-00014 

  7. J Pediatr Frank 110 9 1987 10.1016/S0022-3476(87)80279-2 

  8. Pediatr Res Frank 18 240 1984 10.1203/00006450-198403000-00004 

  9. Acta Paediatr Phylactos 84 1421 1985 10.1111/j.1651-2227.1995.tb13580.x 

  10. Pediatr Pulmonol Jain 20 160 1995 10.1002/ppul.1950200306 

  11. Doc Ophthalmol Gartner 74 187 1990 10.1007/BF02482608 

  12.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Tin 84 F106 2001 10.1136/fn.84.2.F106 

  13. Toxicol Appl Pharmacol Weinberger 181 60 2002 10.1006/taap.2002.9387 

  14. Int Angiol Cesarone 18 127 1999 

  15. Pediatr Res Buonocore 47 221 2000 10.1203/00006450-200002000-00012 

  16. Pediatr Clin North Am Walsh 33 179 1986 10.1016/S0031-3955(16)34975-6 

  17. J Pediatr Bancalari 95 819 1979 10.1016/S0022-3476(79)80442-4 

  18. Acta Paediatr Saugstad 85 1 1996 10.1111/j.1651-2227.1996.tb13880.x 

  19. Nutr Res Jacob 15 755 1995 10.1016/0271-5317(95)00041-G 

  20. Crit Care Med Bayir 33 S498 2005 10.1097/01.CCM.0000186787.64500.12 

  21. Antioxid Redox Signal O'Donovan 6 169 2004 10.1089/152308604771978471 

  22.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Ogihara 80 21 1999 10.1136/fn.80.1.F21 

  23.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Shock 281 1386 2001 10.1152/ajplung.2001.281.6.L1386 

  24. J Neurosci Oka 13 1441 1993 10.1523/JNEUROSCI.13-04-01441.1993 

  25. J Neurochem Yonezawa 67 566 1996 10.1046/j.1471-4159.1996.67020566.x 

  26. Paediatr Res Inder 52 213 2002 10.1203/00006450-200208000-00013 

  27. J Neurosurg Ment 57 219 1982 10.3171/jns.1982.57.2.0219 

  28. N Engl J Med Mc Cord 312 159 1985 10.1056/NEJM198501173120305 

  29. Neurology Ment 33 179 1983 10.1212/WNL.33.2.179 

  30. Prostaglandins Ment 27 245 1984 10.1016/0090-6980(84)90077-7 

  31. J Neurosurg Ment 62 563 1985 10.3171/jns.1985.62.4.0563 

  32. Invest Ophthalmol Vis Sci Nielson 29 22 1988 

  33. Invest Ophthalmol Vis Sci Oliver 33 1909 1992 

  34. Doc Ophthalmol Gardner 74 187 1990 10.1007/BF02482608 

  35. Invest Ophthalomol Vis Sci Mc Leod 37 300 1996 

  36. Acta Physiol Scand Parks 548 87 1986 

  37.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Nycyk 79 67 1998 10.1136/fn.79.1.F67 

  38. J Pediatr Piktanen 116 760 1990 10.1016/S0022-3476(05)82668-X 

  39. Pediatr Res Buonocore 52 46 2002 10.1203/00006450-200207000-00010 

  40. Pediatr Int Weinberger 48 479 2006 10.1111/j.1442-200X.2006.02257.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