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 내 배설 및 목욕공간의 변천과 일상생활에 대한 미시적 고찰
A Microscopic Review on the Changes in Lavatory/Bathroom and Daily Lives in Korean Hous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8 no.1, 2007년, pp.19 - 26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과) ,  양세화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과) ,  손세관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e the changes in lavatory/bathroom and daily lives to clarify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housing through everyday affairs and adjustment behaviors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with microscopic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reviews were focused on 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물리적 변화에 대한 가족원의 의식 변화와 행태는 어떠했으며, 주생활 상의 갈등과 정착과정이 근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의 배설 및 목욕공간을 중심으로 한 일상생활과 그의 조절행위를 통해 드러나는 삶의 변화와 의미를 미시적 시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 1). 본 고에서는 주거의 근대화를 단순히 서양풍 주택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근대화를 논함에 있어 우리의 주거가 지금과 같은 모습을 띄기 까지 그 변화과정과 결과로서의 주거에 주목하고자 한다(전남일, 2003).
  • 본 연구는 개항기 이후 본격화된 주거의 근대화 일면을 배설 및 목욕 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통해 조명하였다.
  • 구술자는 경남 함양군 개평리 김。 규 할머니, 전북 보절면 김。。할머니, 안동 하회마을 북촌댁 종손이다. 본 연구는 주거 내 배설 및 목욕공간에 속하는 변소, 욕실 등의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시설 . 설비의 발달과 배설 및 목욕공간의 변화로 인한 가족 구성원의 의식과 공간과의 상호관계 변화를 미시적 시각으로 조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아울러 당시 생활상에 대한 직접 증언 등 현지 연구도 병행하였다. 구술자는 경남 함양군 개평리 김。 규 할머니, 전북 보절면 김。。할머니, 안동 하회마을 북촌댁 종손이다.
  • 연구문제는 첫째, 주거의 근대화의 상징으로 묘사되는 위생'과 '청결'의 실현 공간이었던 배설과 목욕공간의 변화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조명하는 것이다. 둘째, 물리적 변화에 대한 가족원의 의식 변화와 행태는 어떠했으며, 주생활 상의 갈등과 정착과정이 근대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7)도 제기되었다(김순일, 1982 재인용). 이는 각 주택의 위생 설비가 매우 열악하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내세우고자 한 것이다.
  • 그러나 주택은 단지 하나의 구조물이 아니라 문화적 현상이기 때문에 그 형태와 조직은 그것이 속하는 문화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사람들의 생활양식에 적합한 환경으로 창조되어야 한다(Rapoport, 1969). 하지만 서구문물의 도입으로 인한 변혁은 주거의 근대화를 한 방향으로 유도하고자 하였다. 변소와 욕실은 '위생의 개선 및 합리화 추구, 라는 문명과 계몽의 이념 아래 개선되어야 할 대상 중 하나로 지목된 것이다.
  •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선각자들을 중심으로 위생에 대한 각성의 글이 끊임없이 신문 등을 통해 소개 되었으며, 대중의 의식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개화기의 쟁점, 3. 개량의 과도기, 4. 근대적 위생공간 도입으로 나누어 서술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건축사. 1991.10월호. 통권270호. "우리네 생활에 맞는 집 합주거 설계- 서민아파트의 현장으로부터 본다" 

  2. 김명선.이정우(2003), '中部地方家構法'에 대한 박길룡 의 평가와 개량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7) pp.161-169 

  3. 김순일(1982), 개화기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권 106호, pp.27-31 

  4. 대한주택공사(1979), 대한주택공사 20년사 

  5. 박길룡(1935), 朝蘇住힘을 어떻게 改良할까, 신동아, 5권 8호. pp.48-49 

  6. 성춘식(1990), 이부자리 피이 놓고 암만 바래도 안 와, 뿌리깊은 니무 민중 자서전 

  7. 손세관(2001), 서울 20세기 주거환경의 변천,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225-315 

  8. 야롭 블루메 저, 박정미 역(2005), 화정실의 역사, 이룸 

  9. 여원, 1963.7 

  10. 이규숙(1984), 이 '계동마님' 이 먹은 여든살, 뿌리깊은나무 

  11. 이규태(1968), 개화백경(42), 조선일보 1968.9.17 

  12. 이동범(2000), 자연을 꿈꾸는 뒷간, 들녘 

  13. 임창복(1989), 근대화와 주거문화의 변동, 공간, 통권 262 호. 1989.6월, pp.110-117 

  14. 전남일(2003), 문명화이론을 통해 본 개항기의 주거와 그 근대성의 재조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pp.25-40 

  15. 전완길 외(1995), 한국생활문화 100년, 도서출판 장원 

  16. 정경숙.신경주(1993), 우려나라 변소의 역사적 변천과 그 현황,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4권, pp.28-32 

  17. 조정래(1995), 아리랑, 제1권 3장 

  18. 조혜정 외 6인(1997), 성, 가족, 그리고 문화-인류학적 접근-, 서울:집문당 

  19. 최재필(2001), 서울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성,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홍형옥(1992), 한국주거사, 민음사 

  21. 홍형옥(2005), 근대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 한 시각, 근대이후 삶과 주거변화, 2005 심포지움자료집, 가톨릭대학교 한국근현대연구팀, pp.1-25 

  22. 현대주택(1978.6), 아파트 열쇠를 건 아이들, pp.336-342 

  23. 현대주택(1987.8), 아파트에 함께 사는 시부모와 며느리 정신질환 늘고 있다, pp.206-211 

  24. A. Rapoport(1969), Housing Form and Culture, PrenticeHall. Inc 

  25. H. B. 드레이크 지음(1930). 신복룡.장우영 역주(2000), 한말 외국인기록 23; 일제 시대의 조선생활상, 집문당 

  26. I. B. 비숍(1897). 신복룡 역주(2000), 한말 외국인 기록 21: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 집문당 

  27. Morris, E.W. &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ew York: Hohn Wil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