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 초산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1, 2007년, pp.125 - 134  

김현경 (서산중앙병원)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ubjects were 2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andura(1977, 1986)의 자기효능이론에 근거하여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등을 활용한 신생아 돌보기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고,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양육 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자기효능증진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초산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실험연구이다.
  • 두 번째 제약조건은 본 연구에서도 역시 문제가 되었는데, 일부 산모는 물에 손을 담그기 꺼려하였고 이러한 산모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행위 정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는데, Seo(1998) 연구에서 사후조사만을 실시하였던 데서 전후조사를 실시하고, 눈으로 관찰하던 것을 비디오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행동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Seo(1998)의연구에서 교육후 신생아 돌보기 행동 정확도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실험군이 90.
  • 예비조사는 중재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04년 12월 20일부터 2004년 12월 28일까지 2명의 산모에게 아기를 직접 데리고 시범하고자 하였으나 분만 후 물에 손을 담그는 것을 꺼려하고, 특히 신생아를 데리고 시범을 보이는 데 심한 거부감을 나타내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신생아 돌보기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성취 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에 초점을 둔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고,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양육 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개발 . 적용하고,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양육 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개발 . 적용하고,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양육 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 가설 1 : "자기효능증진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을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양육 자신감이 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자기효능증진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을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양육행위 정확도가 더 높아질 것이다.
  •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기 위해서는 각 집단간 22명(전체 44명) 의 표본이, 신생아 돌보기 행위에 차이가 있기 위해서는 3명 (전체 6명)의 표본이 필요하였다. 두 변수가 모두 유의하게나오기 위해 집단간 22명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존의 Seo(1998)의 연구에 비해 중재가 달라졌기 때문에 효과의 크기가 더 클 것으로 가정하여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에 대한 효과크기(6)를 1.7로 가정하였으며 이 때 필요한 표본 수는 각 집단간 15명이었다. 연구 진행중의 탈락자를 고려하여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조사가 가능하여 최종 분석에 활용된 대상자는 실험군 15명, 대조군 14명이었다.
  • 제 1 가설 :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양육자신감이 더 높아질 것이다.
  • 제 2 가설 :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양육행위 정확도가 더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84(2), 191-215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3.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4. Brazelton, T. B. (1983). Development framework of infants an children: a future for pediatric responsibility. J Pediatr, 102(6), 967-972 

  5. Butnarescu, G. (1983). Women's health: an investment in the furture. Issue Health Care Women, 4(2-3), 93-105 

  6. Cho, E. A. (2002). Education needs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us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7. Cho, K. J., Jung, Y., & Paik, S. N. (2000). The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ory about infant care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Korean J Child Health Nurs, 6(3), 344-353 

  8. Choi, J. H. (2001). Effect of postpartum education program on primiparas'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the postpartum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9. Choi, K. A. (2002). Comparative study of the discharge teaching program on newborn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0. Dong-A New Korean Dictionary (2005). Doosan Dong-A 

  11. Golas, G. A., & Parks, P. (1986). Effect of early postpartum teaching on primiparas' knowledge of infant behavior and degree of confidence. Res Nurs Health, 9, 451-459 

  12. Jeong, K. H. (1993). A comparative study of the selfconfidence in newborn baby caregiving according to the education presence of primipara's ca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3. Ju, H. S. (2001). Comparative analysis of maternal satisfaction with the mode of newborn car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Kwak, Y. H. (1996). The effect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ostpartum self-care and newbo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Kwon, I. S. (1992). A comparison of mother-infant interaction in normal infants and high-risk born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Lee, E. S. (198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iparous self-confidence on the maternal role and the sensitivity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on feeding contex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7. Lee, H. K. (1992). Construction of a maternal role attainment model in primipara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Lee, K. H. (1982). The study of mother's nursing need and perceived her role during puerperium period. J Korean Acad Nurs, 12(2), 67-79 

  19. Lee, M. K. (1990). The effect of newborn care education on the self-confidence of postpartum newborn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 Lee, S. A. (2004). A study on knowledge and confidence about newborn care of newborn's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1. Pharis, M. E. (1978). Age and sex difference in expectations for infants and the parenting among couples in a first pregnancy and among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22. Polit, D. F., & Hungler, B. P. (1999). Nursing research : principles and methods. (6th ed). New Work :J. B. Lippincott Company 

  23. Rutledge, D. L., & Pridham, K. F. (1987). Postpartum mothers' perceptions of competence for infant care.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16(3), 185-194 

  24. Seo, Y. M. (1998).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primiparas' knowledge, confidence and accuracy of behavior in newborn care. J Korean Acad Nurs, 28(4), 1060-1074 

  25. Yoo, E. K., & Ahn, Y. M. (2001).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TMIC(transitional mother infant care center) using a Sanhujoriwon-, J Korean Acad Nurs, 31(5), 932-947 

  26. Walker, L. O., Crain, H., & Thompson, E. (1986). Mothering behavior and maternal role attainment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Nurs Res, 35(6), 352-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