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using infant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6, 2014년, pp.3805 - 3812  

황혜민 (부천대학교 간호과) ,  김주옥 (부천대학교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조리원에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하는 S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48명의 산모이다.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은 2주 동안 3차례의 구두교육 및 실기교육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3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산모의 신생아 양육 지식정도는 교육 전 2.27점에서 교육 후 2.8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t=-7.049, p<.001) 부모효능감의 점수도 교육 전 2.69점에서 교육 후 2.8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5.545, p<.001) 교육 만족도는 교육 후 4.12점으로 나타났다. 즉 출산 후 산모들에게 구두 교육과 아기모형을 활용한 실습 교육을 접목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산모들의 양육지식 및 부모효능감을 증가시켜 새로운 모성역할 획득과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program (NCP) using an infant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 mothers in the G city postpartum center. The NCP educational program was provided orally and via demonstration three times in two weeks. Pre and post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분만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뒤 그 효과를 확인하고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본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산모 총 48명이며, 교육프로그램은 2013년7월에서 9월까지 구두교육과 실습교육으로 2주간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보는 연구로 단일군 전후설계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조리원의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 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만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이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 후 양육지식, 부모효능감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첫째,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 돌봄 교육이 모성 전환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더불어 핵가족화로 인해 산후 관리및 신생아 돌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인적지지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채 출산을 경험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은 건강한 모성 전환을 이루는 데 장애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성 역할은 출산과 더불어 자동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분만 후 실제 아기를 돌보는 활동으로 학습되는 것이므로[3], 신생아 돌봄 교육은 모성 전환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산모의 교육 요구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퇴원 시 산모의 교육 요구가 가장 높은 시기로 나타났으나 초산모와 경산모의 간호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때[4], 퇴원 직후 산후조리원에 머무르는 시기는 모든 산모의 모성 역할 교육에 가장 적절한 시기임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산욕기는 어떤 경험을 하는 중요 시기인가? 산욕기(postpartum period)는 출산이라는 한 개인의 생애에 있어 큰 변화를 통해 어머니가 되는 발달전환 (developmental transition)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건강한 전환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역할과 관련된 행동의 숙련이 발생하는 데 반해 비효과적인 전환은 역할 부족 (role insufficiency)을 가져온다고 하였다[1].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지식 점수와 부모효능감 점수는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교육만족감은 얼마인가? 연구결과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대상자의 지식점수는 2.27점에서 교육후 2.8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모효능감 점수도 2.69점에서 교육 후 2.8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교육만족도는 총점 4.12±0.57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I. Meleis., "Transition theory: middle range and situation specific theories in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MA, Springer publish company, 2010. 

  2. http://health.mw.go.kr,2011(accessed May, 20, 2013) 

  3. R. Rubin.,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Part I: Process" Nursing Research, 16(3), pp. 237-245. 1967. 

  4. G. S. Sim., H. J. Go., K. H. Ym.,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2), pp. 287-296, 2002. 

  5. E. K. Yoo., Y. M. Ahn., "A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pp. 932-947, 2001. 

  6.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pp.191-215, 1977.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7. H. S. Kim., Y. J. Sin., "Parent Efficacy as an Applicable Concept of Andragogy: Implications for Disabled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ragogy Today", Th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of Korea, 16(1), pp. 59-84, 2003. 

  8. M. H. Park., "The Effect of Newborn Care Education on the Self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rimipa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9. 

  9. H. K. Kim., I. S. Jeong., "Effect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es, 37(1), pp. 125-134, 2007. 

  10.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pp. 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1. Y. H. Kwak., "The effect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ostpartum self-care and the newborn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996. 

  12. J. Gibaud-Wallston., L. P. Wandersman.,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1978. 

  13. S. J. Shin.,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1), pp.27-42, 1998. 

  14. K. A. Choi., "Comparative study of discharge teaching programs on newborn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2. 

  15. J. A. Maloni., "The content and sources of maternal knowledge about the infant" Maternal child Nursing Journal, 22(4), pp. 111-119. 1994. 

  16. K. J. Cho., Y. J., S. N. Park., "The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ory about Infant Care of the Moth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6(3), pp. 344-353, 2000. 

  17. D. L. Wong., M. Hockenberry-Eaton., D. Wilson., M. L. Winkelstein., P. H. Schwartz.,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St. Louis, Mosby, 2001. 

  18.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J,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86. 

  19. K. J. Cho., K. J. Lee., O. J. Le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Caring-Confidence and Rearing Attitude in Mothers with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5(1), pp. 84-96, 1999. 

  20. A. Solnick.., S. Weiss., "High Fidelity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3(1), pp. 41-4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09.05.0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