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고리 세부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제2보)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Jeogori (Part II) -Focused on Goryeo Era-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3 = no.162, 2007년, pp.351 - 363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proceeded research of jogories in the Goryeo era are about the total clothing system of the men and women's dress and not many have studied of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jeogories specific struct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origin and the alteration ...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김동욱. (1979).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2. 김문숙, 이순원. (2001). 고려시대 일반복식의 명칭에 관한 연구. 복식, 51(2), 65-78 

  3. 김문자. (1998). 高麗時代 여인들의 偏.養의 형태에 관한 硏究, 복식 38, 73-82 

  4.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5. 문명대. (1997). 한국의 미 7-고려불화. 서울: 중앙일보사 

  6. 민길자. (2000).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서울: 도서출판 한림원 

  7. 박경자. (1990). 한국전통복식의 특징연구-일반복식의 구성과 착장을 중심으로. 생활문화연구4,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1-40 

  8. 백영자. (1993).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9.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경춘사 

  10. 성보문화재단. (1991). 1302년 아미타불복장유물의 조사연구. 충남: 온양민속박물관편 

  11.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양산: 성보문화재연구원 

  12. 심봉금. (2002). 밀양고법리벽화.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13.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교문사 

  14. 유희경. (1974).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이경자. (1978). 木偶像의 服飾考察. 복식, 2, 23-34 

  16. 이경자. (2003) 우리옷의 傳統 樣式.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7. 이춘계. (1995). 正倉院의 복식과 그 제작국. 서울: 일신사 

  18.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2005). 거창의 역사와 문화 II. 경남.서울: 거창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 임영미. (1996). 한국의 복식문화(I). 서울: 경춘사 

  20. 채금석. (1987). 佛畵 속에표현된 服飾의 構造와 形態 硏究-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채금석. (1995) 불화속에 표현된 복식의 구조와 형태연구. 복식, 23, 5-23 

  22. 채금석. (2005). 저고리 세부구조의 발생과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복식, 55(1), 113-128 

  23. 채금석. (2006). 우리저고리 2000연.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4. 한국미술연구소. (1996). 고려시대의 불화-해설편. 서울: 시공사 

  25. 허흥식, 남권희, 김영숙, 권순정. (1999). 高麗의 佛腹藏과 染織. 서울:계몽사 

  26. 杉本正年. (1979). 東洋服裝史論攷-古代編. 동경: 文化出版社 

  27. Chae, K. S., Ku, J. Y., & Cho, J. Y. (2005). A study on the specific structures and the form of the Goguryo costume. Proceedings II of the 2005 Seoul International Clothing & Textiles Conference, Seoul Korea, 9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