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 북위시기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yle of Clothing of Goguryeo and Xianbei Tribe - Focused on Northern Wei Period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2, 2015년, pp.63 - 78  

김소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tyle of clothing by type of the Goguryeo and Xianbei Tribe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centered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Xianbei Trib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the appa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려는 어떻게 발전했는가? D. 668)는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東北)지방을 주요 무대로 하여 건국 초기부터 지정학적 위치상 백제(百濟, B.C. 18-A.D. 660)·신라(新羅, B.C. 57-A.D. 935)·전연(前燕, 337-370)·후연(後緣, 384-409)·북위(北魏, 386-534)·돌궐(突厥) 등 주변 여러 북방 민족과 끊임없이 접촉하며 발전하였다.
선비족은 『후한서(後漢書)』 선비전(鮮卑傳)에 무엇이라 기록되어 있는가? 9년 고구려와 가장 먼저 접촉한 북방민족으로 등장하며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에 남하하여 중국에 북위 등의 나라를 세운다. 선비족은 『후한서(後漢書)』 선비전(鮮卑傳)에 “鮮卑者, 亦東胡之支也.”라 기록되어 있고, 『사기(史記)』 흉노열전(匈奴列傳)에 “東胡烏丸先, 後爲鮮卑”라 기록되어 그 기원이 ‘동호(東胡)’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벽화를 참조하면 저고리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입고 있는데, 그렇다면 고구려의 저고리 여밈 형태에 따른 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고구려 벽화에서 저고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목선을 중심으로 곧은 깃의 직령(直領), 둥근 깃의 반령(盤領), 깃이 젖혀진 번령(飜領) 저고리로 분류된다. 여밈에 따라 앞이 열린 전개형(前開型)과 앞이 막힌 전폐형(前閉型)으로 나뉘며 전개형의 경우 다시 왼쪽으로 여미어 입는 좌임(左袵)과 오른쪽으로 여미어 입는 우임(右袵)으로 나뉜다. 소매 형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고서 기록은 저고리 형태에 대해 대수(大袖), 삼통수(衫筒袖)라 하여 소매통이 크다는 설명만 있을 뿐 구체적 형태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벽화 자료를 통해 그 형태를 알아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선. (2003). 高句麗와 北方民族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구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 docId794345 &cid1590&categoryId1590 

  3. 김미진, 조우현. (2006). 고구려 복식을 활용한 캐릭터 문화상품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2006(12), 145-148. 

  4. 김소현. (2003). 호복. 서울: 민속원. 

  5. 김운회. (2012).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고양: 위즈덤하우스. 

  6. 김용문. (2009). 북위(北魏)시대의 호복(胡服)연구. 韓服文化, 12(3), 5-22. 

  7. 문광희. (1987). 한, 중 단령의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준형. (2000b). '濊貊'의 形成過程과 古朝鮮.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현정. (2000a). 中國 異民族 王朝의 服飾政策 比較 : 北魏와 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서승호. (2009). 고구려 벽화를 통해 본 한민족의 삶과 사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윤경. (2010). 북위 平城期 沙嶺벽화고분의 연구. 美術史學報, 267, 175-208. 

  12. 이경희, 서영대, 조우현. (2007). 고구려와 중국의 武冠 비교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1), 51-69. 

  13. 이송란. (1998).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上表現에 나타난 火焰文의 意味와 展開. 미술사학회, 220, 1-43. 

  14. 장영수. (2003). 돈황석굴 초기 벽화에 묘사된 고습의 외부적인 요소 -북경, 북위 시대를 중심으로-. 民族과文化, 12, 105-127. 

  15.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2000a).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2000b).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8. 채금석, 고정민. (2009). 백제복식문화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3(9), 1347-1360. 

  19. 채금석. (2012). 세계화를 위한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파주: 지구문화사. 

  20. 채금석. (2014). 백제 복식 유형별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8(1), 1-18. 

  21. 편찬위원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2. An Editorial Department. (2000). New history of world art, vol. 3. Tokyo: Shogakukan. 

  23. Jin, W. (2011). 중국미술사 2 (김미라, 홍기용 역). 서울: 다른생각. (원저 2003 출판) 

  24. Sekine, S. (1974). 奈良朝服飾の硏究 [Research on the costume of the Nara period]. Tokyo: Yoshikawahirohumikan. 

  25. Wang, W. C. (1976). 龍袍 [Dragon robe]. Beijing: Museum of Chinese Histor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