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핑 기법을 활용한 40대 남성 하반신 가상모델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3D Virtual Fitting Model of Men's Lower Bodies in Forties by Morphing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3 = no.162, 2007년, pp.463 - 474  

박선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남윤자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최경미 (동서울대학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rapid expansion in e-retailing of apparel business, personalized fitting model service shows the possibility as the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in cyber shopping. According as necessity of personalized fitting model construction rises, it is tried personalized fitting model creation in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인체 형상 모델링의한 방법으로 새롭게 부각된 모핑 기법을 활용하여 평균인체형 상의 형태적인 특징이 반영된 가상피팅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모핑이 모델링기법으로 적합한가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모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Size Korea 사업을 통하여 수집된 40대 남자의 3차원 인체형상자료를 이용하여 40대 남자 하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40대 대표체형 집단을 모핑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인체의 형태적인 특징을 그대로 재현한 평균 형상을 만들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40대는 체형의 변화가 큰 시기로 남성의 바지는 피트 성 뿐만 아니라 동작기능성이 매우 중요시되므로 정확한 체형분석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체형의 변화가 큰 시기인 40대 남성 바지의 맞음새와 기능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모핑 기법을 이용하여 대표체형 그룹의 평균적 형상을 가지면서도 인체의 사실적 형상이 반영된 가상 피팅모델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득찬. (2002).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질 환경에서의 3차원 인체 구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오현. (2001). 3차원 전신 측정기를 이용한 신체치수의 자동추출 및 웹 모델링.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혜수. (2001). 개별주문 생산 실태와 수정 패턴의 착의 평가-중년 비만 남성 정장 상의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혜수. (2004). 3차원 추정에 의한 한국 성인 남녀의 머리 형태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박진순. (2001). 인터넷 가상피팅모델 개발을 위한 감성체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신규하. (2001). 인체 모델 변형을 이용한 3차원 아바타 캐릭터시스템 개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신승철. (2001). 패션코디를 위한 개인 체형에 의복 3D 모델의 정합.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강일. (2006). 계층형 구조의 3D 인체 모델링 모듈 개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상철, 손권, 김성진. (2002). 한국인 인체 모델의 개발과 적용. 대한인간공학회지 21(2), 13-23 

  10. 조준우. (2003). 인체 모델링을 위한 단면 곡선 및 곡면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최우혁. (2001). 의복 3D모델의 자동 생정과 3D 드래핑.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최현영. (2001). 인터넷 의류 마케팅을 위한 인체피팅모델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Au, C. K. & Yuen, M. M. F. (1999). Feature-based reverse engineering of mannequin for garment design. Computer-Aided Design, 31, 751-759 

  14. Ben Azouz, Z., Rioux, M., Shu, C., & Lepage, R. (2004). Analysis of human shape variation using volumetric techniques. Computer Animation and Social Agents, NRC 47147 

  15. Dekker, L., Douros, I., Buxton, B. F., & Treleaven, P. (1999). Building symbolic information for 3D human body modeling form range data. Proceeding of the IEEE Computer Society, 388-397 

  16. Jones, P., Li, P., Brooke, W. K., & West, G. M. (1995). Format for human body modelling form 3-D body scan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7(1), 7-16 

  17. Seo, H. & Magnenat-Thalmann, N. (2003). An automatic modeling of human bodices from sizing parameters. Proceedings of the ACM SIGGRAPH symposium on Interactive 3D Graphics 2003, Monterey, USA, 19-20, 234 

  18. Wang, C. C. L., Wang, Y., & Yuen, M. M. F. (2005). Design automation for customized apparel products. Computer-Aided Design, 37, 675-6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