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를 파악하고 구취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구취예방 및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촌지역의 주민 293명을 대상으로 2006년 1월 4일부터 1월 21일까지 면접설문조사(구강위생관리 행태, 구취관련 질병력, 구취실태), 구취측정, 구강검사, 치아우식활성검사(스나이더검사, 타액분비율검사, 타액완충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 횟수는 1일 2회가 46.1 %로 가장 많았고, 여자가 남자보다 잇솔질 횟수가 많았다. 매일 혀솔질을 하는 군은 25.6%이었고, 보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군은 9.2 %이었다. 2. 평상시 구취를 자각하고 있는 사람은 62.5 %이었고, 구취를 가장 심하게 자각하는 시기는 기상 후가 72.7 %, 구취를 자각하는 부위는 잇몸에서 23.0 %, 구취의 유형으로는 구린 냄새가 37.2 %로 높게 나타났다. 3. 구취측정 결과 OG는 50 ppm미만이 54.3 %, $50{\sim}100ppm$ 범위에 41.6 %로 나타났고, $NH_3$$20{\sim}60ppm$ 범위에 52.6 %로 가장 높았다. 4. 구취관련 질병력별 OG는 치아우식증으로 인한 식편압입, 당뇨병과 구취에 대한 가족력군에서 $50{\sim}100ppm$ 범위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NH_3$는 호흡기계 질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평상시 구취 자각정도별 OG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군과 '가끔 냄새가 난다'는 군에서 50 ppm 미만에 각각 55.9 %, 57.5 %로 나타났고, '본인이 느낄 정도로 항상 냄새가 난다'는 군과 '항상 심하게 냄새가 난다'는 군에서 $50{\sim}100ppm$ 범위에 각각 52.0 %, 63.6 %로 높게 나타났으며, $NH_3$는 모두 $20{\sim}60ppm$ 범위에 높게 나타났다. 6. 구강검사별 OG는 치수노출치와 식편압입이 많을수록, 설태지수가 높아질수록 $50{\sim}100ppm$ 범위에 OG값이 증가되었고, $NH_3$는 보철치가 많을수록, 설태지수가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하악 국소의치군에서 60 ppm 이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7. 스나이더검사는 고도활성이 43.0 %로 가장 높았고, 산 생성균의 활성이 높을수록 OG값이 증가되었다. 자극성 타액분비율 검사는 8.0 ml 이하에서 62.5 %로 가장 높았고, 타액분비율이 많을수록 OG값이 감소된 분포를 보였으며, 타액완충능검사는 0.1N 유산용액의 방울 수가 $6{\sim}10$ 방울에서 58.7 %로 가장 높았고, 타액완충능이 증가될수록 OG값이 냄새를 느끼지 못하는 50 ppm 미만에서 증가되었다. 8. 구강환경과 구취와의 상관관계에서 OG는 타액분비율, 보철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치수노출치, 충전치, 현존치, 설태량, 식편압입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NH_3$는 우식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철치, 잇솔질 횟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9.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OG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자, 치수노출치, 보철치, 식편압입, 타액분비율, 설태지수, 스나이 더검사의 고도활성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5.1 %이었으며, NH3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여자, 치수노출치, 설태지수, 보철치가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6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조사대상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는 구강환경 및 구취관련 요인, 치아우식활성검사의 스나이더 검사, 타액분비율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 주민들의 구취예방을 위해서는 식후에 올바른 잇솔질 방법 및 혀솔질과 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terview process in which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93 people.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behaviors of oral hygiene care, and disease history related to halitosis, and status of halitosis, halitosis measurement, oral examination, and caries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를 파악하고 구취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구취예방 및 효율적인 구취제거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촌지역의 주민 293명을 대상으로 2006년 1월 4일부터 1월 21일까지 면접 설문조사(구강위생관리 행태, 구취관련 질병력, 구취실태), 구취 측정, 구강검사, 치아우식활성검사(스나이더검사, 타액분비율검사, 타액완충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구강 내 구취뿐만 아니라 호흡기 내부의 상대적인 가스성분과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기인 BB checker와 Attain을 이용하여 구취를 측정하고, 구취와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저자는 농촌지역의 주민들이 도시지역의 주민들보다 구강환경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농촌지역 주민들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구취와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암모니아가스(NH3)와 구강가스(Oral Gas: OG)를 측정하고, 구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홍정표. 구취와 구강질환.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8; 36(1):29-31 

  2. 홍정표. 구취. 경희의학 2000;16(1):4-8 

  3. Rosenberg M, Kozlovsky A, Gelernter I et al. Self-estimation of oral malodor. J Dent Res 1995;74: 1577-1582 

  4. Rosenberg M. Clinical assessment of bad breath: current concepts. J Am Dent Assoc 1996;127(4): 475-482 

  5. Yaegaki K, Coil JM. Examination,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halitosis Clinical Perspectives. J Can Dent Assoc 2000;66(5):257-261 

  6. 이건수. 한국인의 구취실태에 대한 역학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3):368-384 

  7. 허혜영, 신승철, 조자원, 박광식. 성인에서 구취실태와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5;29(3):368-384 

  8. 최재갑. 구취의 구강외 원인.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8; 36(1):32-35 

  9.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al 1977;48(1):13-20 

  10. Yaegaki K, Suetaka, T. periodontal disease and precursors of oral malodorous component. J Dent 1989; 39: 733-741 

  11. Eli I, Baht R, Koriat H, Rosenberg M. Self-perception of breath odor. J Am Dent Assoc 2001;132(5):621-626 

  12. Spielman AI, Bivona P, Rifkin BR. Halitosis. A common oral problem. J Dent 1996;62(10):36-42 

  13. 함동선, 홍정표. 구취와 구강위생과의 관계에 대한 예비 실험.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3):271-274 

  14. 조자원, 신승철, 서현석. 허세정기구의 형태에 따른 인공설태제거효과에 관한 비교실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1):75-83 

  15. Miyazaki H, Saku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f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1995;66(8):679-684 

  16. 박종훈, 한경수, 김문규. 수종의 구취처치법의 구취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0;25(1): 41-49 

  17. Kazor CE, Loesche WJ. Bacterial characterization of the dorsal tongue surface. Current Infectious Disease Reports 2003;5(3):220-226 

  18. Lee SK, Lee SW, Chung SC, Kim YK, Kho HS. Analysis of residual saliva and minor salivary gland secretion in patients with dry mouth. Arch Oral Biol 2002;47:637-641 

  19. Tonzetich J, Jonson PW. Chemical analysis of thiol, disulphide and total sulphur content of human saliva. Arch Oral Biol 1977;22:125-131 

  20. 손원영, 전양현, 이진용, 조한국, 홍정표. 타액선 기능이 구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4):353-357 

  21. Young K, Oxtoby A, Field EA. Halitosis: a review. Dental Update 1993;20:57-61 

  22. Bosy A, Kulkarni GV, Rosenberg M, McCulloch CAG.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to periodontitis: Evidence of independence in discrete subpopulations. J Periodontol 1994;65(1):37-46 

  23. 예방치위생학 교재개발연구회. 예방치위생학실습. 서울, 2002, 고문사, pp. 60,120-121 

  24. Yaegaki K, Sanada K. Biochemical and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oral malodor in periodontal patients J Periodontol 1992;63:783-789 

  25. Kazor CE. Background in the Microbiology and Treatment of oral malodor. In:Kazor CE. Microbiology and treatment of oral malodor. ProQuest Information and Learning Company;2003. pp. 1-60 

  26. Loesche WJ, De Boever EH. Strategies to identify the main microbial contributors to oral malodour. In: Rosenberg M (ed). Bad breath: research perspectives. Ramot Publishing Tel Aviv University; 1995. pp. 41-54 

  27. Morita M, Wang HL. Relationship between sulcular sulfide levels and oral malodor in subjec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1;72(1):79-84. 

  28. 권진희, 장문택, 류성훈, 김형섭. 구취와 치주질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0;30(1):203-208 

  29. Kaizu T, Tsunoda M, Aoki H, Kimura K. Analysis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by gas chromatography. Bull Tokyo Dent coll 1978;19(2): 43-52 

  30. 이채훈. 휘발성 황화합물과 주요 구취유발인자와의 관 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치의학박사 학위 논문, 2003 

  31. 한경수. 구취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강내과학회지 2002;27(2):255-265 

  32. Amano A, Yoshida Y, Oho T, Koga T. Monitoring ammonia to assess halitosis. Oral Med 2002; 94(6): 692-696 

  33. 지윤정. 치주상태에 따른 구취 요인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치의학석사 학위논문, 2004 

  34. 장수경. 구취와 타액 내 아미노산의 상관성 비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치의학석사 학위논문, 2004 

  35. Sterer N, Bar-Ness R, Rosenberg M. $\beta$ -galatosidase activity in saliva is associated with oral malodor. J Dent Res 2002;81(3):182-185 

  36. 박문수, 김영구, 정성창, 이승우. 한국인 구취발생 빈도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26(2):107-114 

  37. 김기은. 타액분비와 구강관리 및 구취와의 관계. 중앙간호논문집 2001;5(2);55-60 

  38. Kazor CE, Loesche WJ. Longitudinal Oral Malodor Treatment Evaluation. Current Infectious Disease Reports 2003;5:110-134 

  39. O'Reilly RA, Motley CH. Breath odor after disulfiram. JAMA 1997;238:2600 

  40. 김재곤, 김영신, 백병주, 양연미. 타액 우식 관련 검사와 치아우식 경험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5;32(1):67-74 

  41. 대한구강내과학회. 구강내과학개론. 서울, 2001, 신흥인터내셔날, pp. 64-67,128-133 

  42. 강기호, 고명연, 고흥섭, 김관식, 김기석. 노인치과학. 서울, 2001, 지성출판사. pp. 96 

  43. 김영구, 이승우, 정성창, 김형석. 구취측정에 관한 예비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7;22(2):233-239 

  44. 김기석. 구취의 원인질환. DI저널 월간의약정보 1992; 18(10):38-41 

  45. 보건복지부.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2004, pp. 83-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