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구취증상 경험과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264 - 273  

박희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한성민 (경운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구취증상과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중 고등학생 3,689명(남학생 1,805명, 여학생 1,884명)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확인된 구취와 관련된 요인은 경로모형에서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투입하였고, 구취증상과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감, 불안, 긴장, 적대감으로 측정된 심리상태와의 관계와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구취증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27.4% 이었고,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구취증상${\rightarrow}$스트레스(${\beta}=0.083$, P<0.001), 구취증상${\rightarrow}$우울(${\beta}=0.067$, P<0.001), 구취증상${\rightarrow}$불안(${\beta}=0.072$, P<0.001), 구취증상${\rightarrow}$긴장(${\beta}=0.072$, P<0.001), 구취증상${\rightarrow}$적대감(${\beta}=01.074$, P<0.001)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구취증상은 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 불안, 긴장, 적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취를 예방하는데 있어 스트레스와 다양한 심리적인 요소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구취가 있는 청소년에게서 심리적 지지를 위한 지원과 강화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halitosis,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us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of 3,689 adolescents (1,805 male 1,884 female)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The related factors of halitosis were checked and the path model w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표성과 일반성을 확인할 수 있는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제공받아, 우리나라 청소년이 경험하는 구취와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간의 구조적 관계를 경로모형을 적용하여 규명해보고자 수행되었다.
  • 특히, 청소년에서의 구취는 사회적 고립감, 대인관계 기피, 자신감 결여와 같은 심리적 곤란이나 갈등 문제에 직면 할 수 있기 때문에[17] 다른 연령대에 비해 심리적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 한국 청소년 건강실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취가 스트레스와 심리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이들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구취증상이 스트레스와 심리상태(우울감, 불안, 긴장, 적대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강 외 전신질환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구강 내 원인은 세균성부패 및 휘발성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 설태, 불결한 구강위생상태, 음식물 잔사, 타액분비 감소 (구강건조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이나 혀 부위에 과도한 미생물 침착, 구강암종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다[4]. 구강 외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 탈수 등의 전신질환에 의해 구취가 발생되기도 하며[1], 이 밖에 아침기상 후와 공복 시, 월경기간 중 또는 폐로 배출되는 약물이나 특정 음식물 섭취 시에도 구취가 느껴지기도 한다[5]. 이러한 구취는 연령, 성별, 혼인상태, 교육수준, 비만, 신체활동량 등과 같은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어 질병 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2,6,7].
구취 발생 원인 중 구강 내 원인은? 구취 발생의 원인은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크게 구강 내 원인, 구강 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 구강 내 원인이 85-90%로 대부분을 차지한다[1]. 구강 내 원인은 세균성부패 및 휘발성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 설태, 불결한 구강위생상태, 음식물 잔사, 타액분비 감소 (구강건조증), 치아우식증, 치주질환이나 혀 부위에 과도한 미생물 침착, 구강암종에 의하여 구취가 발생될 수 있다[4]. 구강 외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간질환, 당뇨, 호흡기계 및 소화기계, 탈수 등의 전신질환에 의해 구취가 발생되기도 하며[1], 이 밖에 아침기상 후와 공복 시, 월경기간 중 또는 폐로 배출되는 약물이나 특정 음식물 섭취 시에도 구취가 느껴지기도 한다[5].
구취란? 구취란 생리적인 원인 혹은 여러 병적인 원인에 인하여 구강에서 나오는 불쾌한 냄새를 말하며[1],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구취의 이환율이 19-53%로 보고되면서 적절한 구취 예방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2,3]. 구취 발생의 원인은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크게 구강 내 원인, 구강 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 구강 내 원인이 85-90%로 대부분을 차지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orter S, Scully C, "Oral Malodour (Halitosi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33, pp. 632-5, 2006. DOI: http://dx.doi.org/10.1136/bmj.38954.631968.AE. 

  2. Vali A, Roohafza H, Keshteli AH, Afghari P, Shirani MJ, Afshar H, Omid S, Peyman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litosis and Psychological factors",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Vol.65, pp. 120-126, 2015. DOI: http://dx.doi.org/10.1111/idj.12153. 

  3. Salvatore Settineri1, Carmela Mento, Simona C Gugliotta, Ambra Saitta, Antonella Terranova,Giuseppe Trimarchi, Domenico Mallamace "Self-Reported Halitosis and Emotional State: Impact on Oral Conditions and Treatments", Health Quality Life Outcomes, Vol.8, pp. 34, 2010. DOI: http://dx.doi.org/10.1186/1477-7525-8-34 

  4. van den Broek AM, Feenstra L, de Baat C.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Management of Halitosis", Oral Disease, Vol.14, pp. 30-39,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601-0825.2006.01350.x. 

  5. Tonzetich J,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48 No.1, pp. 13-20, 1977. DOI: http://dx.doi.org/10.1902/8:13-20.10.1902/jop.1977.48.1.13 

  6. Rosenberg M. Knaan T. Cohen D, " Association among Bad Breath, Body Mass Index, and Alcohol Intake",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86 No.10, pp. 997-1000, 2007. DOI: http://dx.doi.org/10.1177/154405910708601015 

  7. K. S. Han, "Self-Perceived Oral Malodor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3 No.3, pp. 475-480, 2013.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3.13.3.475 

  8. S. J. Won, A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Psychological Aspec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9. H. J. Yoon, J. Y. Lee, "A Clin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Patients with Halitos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Vol.24 No.2, pp. 75-87, 2010. 

  10. Queiroz CS, Hayacibara MF, Tabchoury CPM, Marcondes FK, Cury JA,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Situations, Salivary Flow Rate and Oral Volatile Sulfur-Containing Compounds",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110, pp. 337-340, 2002. DOI: http://dx.doi.org/10.1034/j.1600-0722.2002.21320.x 

  11. J. S. Han, J. H. Hong, J. S. Choi, "Factors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of Halitosis in Adul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12, pp. 347-116,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347. 

  12. Suzuki N, Yoneda M, Naito T, Iwamoto T, Hirofuji T,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and Psychologic Status", O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ology, Vol.106, pp. 542-547, 2008. DOI: http://dx.doi.org/10.1016/j.tripleo.2008.03.009 

  13. de Jongh A, van Wijk AJ, Horstman M, de Baat C, "Attitudes towards individuals with halitosis: an online cross sectional survey of the Dutch general population", British Dental Journal, Vol.216 E8, 2014. DOI: http://dx.doi.org/10.1038/sj.bdj.2014.101. 

  14. McKeown L, "Social Relations and Breath Odour",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Vol.1 No.4, pp. 213-217, 2003. DOI: http://dx.doi.org/10.10.1034/j.1601-5037.2003.00056.x 

  15. J. S. Chung, H. S. Park, D. Y. Na, E. K. Noh, C. H. Choi, J. Park,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4, pp. 534-542, 2010. 

  16. Rani H, Ueno M, Zaitsu T, Kawaguchi Y, "Oral malodour among adolescents and its association with health behaviour and oral health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2015[In press]. DOI: http://dx.doi.org/1111/idh.12160 

  17. Yokoyama S, Ohnuki M, Shinada K, Ueno M, Wright FA, Kawaguchi Y, "Oral Malodor and Related Factors in Japanes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Health, Vol.80 No.7, pp. 346-352,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746-1561.2010.00512.x 

  18. Y. Y. Lee, J. P. Hong, T. Y. Lee,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Rural Residents",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2 No.2, pp. 157-175, 2007. 

  19. M. H. Hong, "Correlation between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in Adults",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 pp. 389-397, 2015.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3.389. 

  20. Institute. TNYP. Korean youth indicator survey V: Health and safety (protection) [Internet]. Seoul: Author; 2010 [cited 2015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118.128.24.6/pdfs/2010/11.pdf. 

  21. Nadanovsky P, Carvalho L, Ponce de Leon A, "Oral Malodour and its Association with Age and Sex in A General Population in Brazil", Oral Disease, Vol.13, pp. 105-109,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601-0825.2006.01257.x 

  22. Tonzetich J, Preti G, Huggins GR, "Changes in Concentration of Volatile Sulphur Compounds of Mouth Air during the Menstrual Cycle",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Vol. 6 No.3, pp. 245-254, 1978. DOI: http://dx.doi.org/10.1177/030006057800600313 

  23. M. R. Lee, J. S. Choi, "Self-reported Halitosis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13 No.2, pp. 142-150, 2013. 

  24. Lopez R, Fernandez O, Baelum V, "Social Gradients in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olescent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34 No.3, pp. 184-196,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6.00271.x 

  25. B. M. Shin, S. H. Ju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Dental Caries in Korea", Journal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6 No.2, pp. 144-152. 2012. 

  26. H. J. Park, H. W. Kim, S. Y. Ko, J. H. Lee, "Moderating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1 No1, pp. 81-93, 2015. 

  27. S. J. Shin, Y. S. Ahn, S. H. Jung,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s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r Oral Health. Vol.32 No.2, pp. 223-230, 2008. 

  28. West P, "Health inequalities in the early years: is there equalisation in youth? Is there equalisation in youth?",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4 No.6, pp. 833-858,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96)00188-8 

  29. M. S. Kim, H. S. Park, Y. S. Kim,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Oral Disease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 No.3, pp. 513-521. 2015.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3.513 

  30.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urve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31. Zaitsu T, Ueno M, Shinada K, Wright FA, Kawaguchi Y. "Social Anxiety Disorder in Genuine Halitosis Pati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9, pp. 94, 2011. DOI: http://dx.doi.org/10.1186/1477-7525-9-94 

  32. Mcgee R, Williams S, "Does Low Self-esteem Predict Health Compromising Behaviour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23, pp .569-582, 2000. DOI: http://dx.doi.org/10.1006/jado.2000.0344 

  33. Baker S, Mat A, Robinson P, "What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Adolescents' Oral Health?", Journal of Dental Research, Vol.89 No.11, pp. 1230-1235, 2010. DOI: http://dx.doi.org/10.1177/0022034510376650 

  34. H. J. Park, M. S. Sohn, J. H. Lee, B. H. Jin, H. Y. Lee, T. I. Kim,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uth Dryn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8 No.1, pp. 31-40. 2014. DOI: http://dx.doi.org/10.11149/jkaoh.2014.38.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