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사 저하에 대한 벼의 형태적 특성 및 광합성 반응 변화
Morphological and Photosynthetic Responses of Rice to Low Radi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2 no.1, 2007년, pp.1 - 11  

Yang, Woon-Ho (작물과학원) ,  Peng, Shaobing (국제미작연구소) ,  Dionisio-Sese Maribel L. (필리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사 저하에 따른 벼의 형태적 변화와 광합성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3품종을 이용하여 분얼기, 생식생장기, 등숙기에 약 40% 차광 처리하고 자연광 처리를 두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광 조건에서 벼는 단위 엽면적 및 엽록소계(SPAD) 측정값 증가, 엽신으로의 건물중 분배비율 증가 등 일조 부족에 대한 적응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분얼이 지연되고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2.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탄소동화속도가 늦었으나 조직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높게 유지되어, 차광 내 벼의 광합성이 낮았던 것은 광합성 기질인 이산화탄소의 제한이 아니고 photosystem의 전자전달 활성의 약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를 자연광에 1일간 노출시켜 순화한 후 측정한 최대 광합성과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에 대한 광합성 반응은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 반응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는 자연광에서 생육한 벼 수준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차광에서의 광합성 저하는 단순하게 일사량 저하에 의한 현상이었다. 4. 분얼기간 동안 차광 조건에서 생육하고 유수형성기 이후 자연광에 노출되어 생육한 벼는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에 비하여 유수형성기부터 출수기까지의 SPAD 값의 증가 정도가 적으며, 엽신 질소 함량의 감소 정도가 크고, $2,000\;{\mu}mol\;m^{-2}s^{-1}$ 이상으로 강한 광 조건에서는 광합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일조 부족에 적응한 벼는 photoinhibition 정도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5. 벼 수량은 자연광 처리에 비하여 유수형성기$\sim$출수기 차광에서는 수당영화수와 포트당 영화수의 감소에 의하여, 출수기$\sim$성숙기 차광에서는 등숙비율의 저하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ght is an environmental component inevitably regulating photosynthesis and photo-morphogenesis, which are involved in the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Studies were conducted a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Philippines in 2004 and 2005, with aims to investigate 1) morphological res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차와 2차 시험에서는 각각의 포트를 반복으로 간주하여 처리당 4포트에서 유수형성기와 출수기에는 초장과 경수, 성숙기에는 초장과 이삭수를 조사한 후 식물체를 수확하였다. 유수형성기에는 2WAT-PI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구에서 반복당 4개의 주간에서 각각 최상위 완전전개엽을 채취하였다.
  • 1차와 2차 시험에서는 생육시기별 일사 저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얼기인 이앙 후 2주〜유수형성기(2WAT- PI), 생식생장기인 유수형성기〜출수기(PI-FL), 등숙기인출 수기〜성숙기(FL-PM), 전 생육기간인 이앙 후 2주〜성숙기(2 WAT-PM)에 차광 처리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자연광 처리를 두었다(Fig. 3). 3차 시험에서는 낮은 일사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일사량에 따른 광합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 생육기간에 걸친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를 두었다.
  • 변화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3) 그러한 조건에서 벼의 광합성 특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생육단계별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구를 두어 비교 . 분석하였다.
  • 3). 3차 시험에서는 낮은 일사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일사량에 따른 광합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 생육기간에 걸친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를 두었다.
  •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차광막 내에서 광합성을 조사한 후 식물을 자연광에 1 일간 노출시켜 순화시키고 동일한 잎에서 다시 광합성을 조사하여 자연광 처리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과 비교하였다. 3차 시험에서는 출수기에 오전 6시부터 12시까지 매 시간별로 2WAT-FL 차광 처리에서 생육한 벼의 차광막 내 광합성과, 위에서와 같이 자연광에 1일 노출시킨 벼의 지엽에서 광합성을 일사량과 함께 조사하였고, 이를자연광 처리구에서 생육한 벼의 일사량에 따른 광합성과 비교하였다.
  • Table 3. Grain yield and yield attributes of shaded plants from two weeks after transplanting to panicle initiation (2WAT-PI), panicle initiation to flowering (PI-FL), flower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FL-PM), two weeks after trans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2WAT-PM), and control plants in the two experiments.
  • 4. Plant height measured from shading treatments (-●-) and control (—○—) at 14 days alter trans­ planting, panicle initiation, flowering, and physiological maturity (arrows from the left, represented at the top of upper two panels), and increase in plant height from the previous measurement in shading treatment (…●…)and control (……)in the two experiments. Each data point is the mean of three genotypes and error bars are average stand deviations.
  • 5. Stem number in shading treatments (—●—) and con­trol (—○—) at 14 days after transplanting, panicle initiation, flowering, and physiological maturity (arrows from the left, represented at the top of upper two panels), and difference in stem number from the pre­vious stage in shading treatment (…●…) and control (…○…)in the two experiments. Each data point is the mean of three genotypes and error bars are average stand deviations.
  • 유수형성기에는 2WAT-PI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구에서 반복당 4개의 주간에서 각각 최상위 완전전개엽을 채취하였다. 각 엽신당 중륵의 양쪽에서 엽 연을 따라 6~8회 SPAD값[SPAD-502, Soil Plant Analysis Div., (SPAD) Section, Minolta Camera Co., Osaka, Japan]을 측정하여 평균하였으며 엽신장, 엽신폭, 엽면적(LI-3100, LI-COR, Lincoln, NE)을 조사한 후, 4개의 엽신을 합하여 70°C에서 1주일간 건조하여 엽신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이후 이를 분쇄하여 micro-Kjeldahl 분해, 증류 방법 (Bremner & Mulvaney, 1982)에 따라 엽신 질소함량을 분석하였다.
  • 각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조 부족에 대한 형태, 생육 및 광합성 반응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실험재료로 사용된 세 품종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시험성적을 분석하였다.
  • new plant type인 IR72967-12-2-3을 이용하였다. 균일한 육묘를 위하여 각 품종별로 최아종자를 포트 육묘상자에 파종하여 2주일간 육묘한 후 4리터 포트에 포기당 2본씩 2포기 이앙하였다. 이앙 직전 포트당 질소, 인산 및 칼리를 각각 2 g씩 기비로 시용하였고, 유수형성기에 질소 2 g 을 추비로 시용하였다.
  • 출수기에는 2WAT- PI, PI-FL, 2WAT-FL 차광과 자연광 처리구에서 식물체를 엽신, 이삭 및 줄기로 분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수형성기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성숙기에는 2WAT-PI, PI-FL, FL- PM, 2WAT-PM 차광과 자연구에서 4반복 수확하여 수량과 수량 구성 요소를 조사하였다.
  • 균일한 육묘를 위하여 각 품종별로 최아종자를 포트 육묘상자에 파종하여 2주일간 육묘한 후 4리터 포트에 포기당 2본씩 2포기 이앙하였다. 이앙 직전 포트당 질소, 인산 및 칼리를 각각 2 g씩 기비로 시용하였고, 유수형성기에 질소 2 g 을 추비로 시용하였다.
  • 이앙한 묘를 자연광에서 2주일간 생육시켜 활착과 분얼 발생을 유도한 후 차광 처리하였는데, 차광은 2겹의 흰색차광막을 지상 1 이에 설치하여 처리하였고 시설을 3차 시험까지 유지하였다. 차광시설을 설치한 후 1차 시험에서 맑은 날과 흐린 날에 SunScan Canopy Analysis System(Delta-T Device, Cambridge, England)고} SSI sensor# 이용하여 날이 밝아지는 오전 7시부터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오후 5시까지 매 시간 간격으로 6~9회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를 조사하여 차광 정도를 산출하였다.
  • 일사 저하에 따른 벼의 형태적 변화와 광합성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3품종을 이용하여 분얼기, 생식생장기, 등숙기에 약 40% 차광 처리하고 자연광 처리를 두어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차광 조건과 자연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차 시험에서 유수형성기에는 2WAT-PI 차광 처리와 자연구의 최상위 완전전개엽, 출수기에는 PI- FL 차광 처리와 자연구의 지엽에서 일사량이 광포화점보다 높은 오전 10시부터 12시 사이에 광합성 측정계(LI-COR 6200, LI-COR, Lincoln, NE)를 이용하여 PPFD, 탄소동화 속도 및 조직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차광막 내에서 광합성을 조사한 후 식물을 자연광에 1 일간 노출시켜 순화시키고 동일한 잎에서 다시 광합성을 조사하여 자연광 처리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과 비교하였다.
  • LI-COR, Lincoln, NE)를 이용하여 PPFD, 탄소동화 속도 및 조직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벼의 잠재 광합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차광막 내에서 광합성을 조사한 후 식물을 자연광에 1 일간 노출시켜 순화시키고 동일한 잎에서 다시 광합성을 조사하여 자연광 처리에서 생육한 벼의 광합성과 비교하였다. 3차 시험에서는 출수기에 오전 6시부터 12시까지 매 시간별로 2WAT-FL 차광 처리에서 생육한 벼의 차광막 내 광합성과, 위에서와 같이 자연광에 1일 노출시킨 벼의 지엽에서 광합성을 일사량과 함께 조사하였고, 이를자연광 처리구에서 생육한 벼의 일사량에 따른 광합성과 비교하였다.
  • 유지하였다. 차광시설을 설치한 후 1차 시험에서 맑은 날과 흐린 날에 SunScan Canopy Analysis System(Delta-T Device, Cambridge, England)고} SSI sensor# 이용하여 날이 밝아지는 오전 7시부터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오후 5시까지 매 시간 간격으로 6~9회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를 조사하여 차광 정도를 산출하였다. 자연광 조건에서 PPFD는 맑은 날 382〜2281, 흐린 날 194〜 1875 wmol m2 s-1이었고(Fig.
  • 이후 이를 분쇄하여 micro-Kjeldahl 분해, 증류 방법 (Bremner & Mulvaney, 1982)에 따라 엽신 질소함량을 분석하였다. 채취한 엽신 4개를 제외한 식물체는 잎과 줄기를 분리한 후 위의 방법과 같이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앞의 엽신 4개의 건물중과 합하여 엽신과 줄기의 건물중으로 계산하였다. 출수기에는 2WAT- PI, PI-FL, 2WAT-FL 차광과 자연광 처리구에서 식물체를 엽신, 이삭 및 줄기로 분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수형성기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 것으로 알려져 있다 (Yoshida, 1981). 최대 탄소동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1차 시험에서 유수형성기와 출수기에 PPFD가 광 포화점 이상이 되는 오전 10시부터 12시 사이에 탄소동화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이루어진 시점에 자연광 조건에서 PPFD는 유수형성기와 출수기에 각각 1, 743과 2, 067 "mol m'2 s'이었고, 차광 내에서는 각각 854 와 1, 416 "mol m'2 s'이었다(Fig.
  • 채취한 엽신 4개를 제외한 식물체는 잎과 줄기를 분리한 후 위의 방법과 같이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앞의 엽신 4개의 건물중과 합하여 엽신과 줄기의 건물중으로 계산하였다. 출수기에는 2WAT- PI, PI-FL, 2WAT-FL 차광과 자연광 처리구에서 식물체를 엽신, 이삭 및 줄기로 분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수형성기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성숙기에는 2WAT-PI, PI-FL, FL- PM, 2WAT-PM 차광과 자연구에서 4반복 수확하여 수량과 수량 구성 요소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에서 2004년에서 2005년에 걸쳐 3회 실시되었다 : 1차{2004년 2월〜7월), 2차(2004년 6월〜10월), 3차(2005년 1월〜5월).
  • 시험 품종으로 indica inbred 품종인 IR72, hybrid 품종인 Mestizo, new plant type인 IR72967-12-2-3을 이용하였다. 균일한 육묘를 위하여 각 품종별로 최아종자를 포트 육묘상자에 파종하여 2주일간 육묘한 후 4리터 포트에 포기당 2본씩 2포기 이앙하였다.
  • 초장과 이삭수를 조사한 후 식물체를 수확하였다. 유수형성기에는 2WAT-PI 차광 처리와 자연광 처리구에서 반복당 4개의 주간에서 각각 최상위 완전전개엽을 채취하였다. 각 엽신당 중륵의 양쪽에서 엽 연을 따라 6~8회 SPAD값[SPAD-502, Soil Plant Analysis Div.

이론/모형

  • , Osaka, Japan]을 측정하여 평균하였으며 엽신장, 엽신폭, 엽면적(LI-3100, LI-COR, Lincoln, NE)을 조사한 후, 4개의 엽신을 합하여 70°C에서 1주일간 건조하여 엽신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이후 이를 분쇄하여 micro-Kjeldahl 분해, 증류 방법 (Bremner & Mulvaney, 1982)에 따라 엽신 질소함량을 분석하였다. 채취한 엽신 4개를 제외한 식물체는 잎과 줄기를 분리한 후 위의 방법과 같이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앞의 엽신 4개의 건물중과 합하여 엽신과 줄기의 건물중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iswas, P. K. and V. Salokhe. 2002. Effects of N rates, shading, tiller separation,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of transplanted rice. Tropical Agric. 79(3) : 168-172 

  2. Bremner, J. M. and C. S. Mulvaney. 1982. Nitrogen-Total. pp. 595-624. In : Page A. L. et a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2nd ed. Agron. Monogr. 9. ASA and SSSA, Madison, WI 

  3. Chowdhury, P. K., M. Thangaraj, and M. Jayapragasam. 1994. Biochemical changes in low.irradiance tolerant and suscep-tible rice cultivars. Biologia Plantarium. 36(2) : 237-242 

  4. Dobermann, A., D. Dawe, R. P. Roetter, and K. G. Cassman. 2000. Reversal of rice yield decline in a long-term conti. nuous cropping experiment. Agron. J. 92(4) : 633-643 

  5. Evans, L. T. and S. K. De Datta.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diance and grain yield of irrigated rice in the tropics, as influenced by cultivar, nitrogen fertilizer appli. cation and month of planting. Field Crops Res. 2 : 1-17 

  6. Gibson, K. D., A. J. Fischer, and T. C. Foin. 2004. Compensatory responses of late watergrass (Echinochloa phyllopogon) and rice to resource limitations. Weed Sci. 52(2) : 271-280 

  7. Islam, M. S. and J. I. L. Morison. 1992. Influence of solar-radiation and temperature on irrigated rice grain.yield in Bangladesh. Field Crops Res. 30(1-2) : 13-28 

  8. Ji, B. and D. Jiao. 2001. Photoinhibition and photooxidation in leaves of indica and japonica rice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ies. Acta Botanica Sinica. 43(7) : 714-720 

  9. Jiao, D. and X. Li. 2004. Cultivar differences in photosynthetic tolerance to photooxidation and shading in rice (Oryza sativa L.). Photosynthetica. 39(2) : 167-175 

  10. Kim, K. S., S. K. Kim, B. L. Huh, and K. M. Yoon. 1991. Effects of shading at heading stage on yield components of rice. Korean J. Crop Sci. 36(2) : 127-133 

  11. Kobata, T., M. Sugawara, and S. Takatu. 2000. Shading during the early grain filling period does not affect potential grain dry matter increase in rice. Agron. J. 92(3) : 411-417 

  12. Krishnan, P. and A. V. S. Rao. 2005. Effects of genotype and environment in seed yield and quality of rice. J. Agric. Sci. 143 : 283-292 

  13. Liu, J., B. Qin, Z. Liu, and W. Yang. 2004. Diurnal photo­synthesis and photoinhibition of rice leaves with chlorophyll fluorescence. Acta Eotanica Sinica. 46(5) : 552-559 

  14. Makino, A., T. Sato, H. Nakano, and T. Mae. 1997. Leaf photo-synthesis and nitrogen allocation in rice under different irradiance. Planta. 203(3) : 390-398 

  15. Nakano, H. 2000. Effect of early stage shading of direct-seeded rice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Jpn. J. Crop Sci. 69(2) : 182-188 

  16. Peng, S., J. Hu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X. Zhong,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NAS. 101(27) : 9971.9975 

  17. Samarajeewa, K. B. D. P., N. Kojima, J. Sakagami, and W. A. Chandanie. 2005. The effect of different timing of top dressing of nitrogen application under low light intensity on the yield of rice (Oryza sativa L.). J. Agron. Crop Sci. 191(2) : 99-105 

  18. Tamaki, M. and Y. Yamamoto. 1997.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s on flag leaf emergence rate and tillering of rice pla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urning point of the leaf emergence rate. Jpn. J. Crop Sci. 66(1) : 29-34 

  19. Viji, M. M., M. Thangaraj, and M. layapragasam. 1997. Effect of low light on photosynthetic pigments,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Hill reaction in rice (Oryza sativa). J. Agron. Crop Sci.-Zeitschrift fur Acker und Pflanzenban. 178(4) : 193-196 

  20. Watanabe, S., Y. Hatanaka, and K. Inada. 1980. Development of a digital chlorophyll meter. I. Structure and performance. Jpn. J. Crop Sci. 49(special issue) : 89-90 

  21. Xin, Y., L. Feng, Y. Xu, D. liao, L. Ki, and T. Kuang. 2000. Effects of high light stress on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of two subspecies of rice. Acta Botanica Sinica. 42(12) : 1278-1284 

  22. Yao, Y., Y. Yamamoto, T. Yoshida, Y. Nitta, and A. Miyazaki. 2000. Response of differentiated and degenerated spikelets to top-dressing, shading and day/night temperature treatments in rice cultivars with large panicles. Soil Sci. Plant Nutr. 46(3) : 631-641 

  23. Yamamoto, Y., H. Kurokawa, Y. Nitta, and T. Yoshida. 1995. Varietal difference of tillering response to shading and nitrogen levels in rice plant - Comparison between high tillering semi-dwarf indica and low tillering japonica. Jpn. J. Crop Sci. 64(2) : 227-234 

  24.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Int. Rice Res. Inst., Manila, Philippines. 269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