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공간의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表現傾向)에 관한 연구 - 프라다 리테일 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brand image and expressive trends in commercial spac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rada Retail Shop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6 no.2 = no.61, 2007년, pp.201 - 208  

강소연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sentiment and image. As industrial development pushes the demands of consumers for various goods, the marketing patterns of these goods have individualized. They are expressions embedded with various meanings. Retail shops, now going beyond the prac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건축가들은 건축과패션을 서로 융합하여 리테일 샵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디자이너의 작품세계를 공간에 투영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은유하고 브랜딩(Branding)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브랜드에서는 건축가에게 리테일 샵을 의뢰하면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아이덴티티가 강화되고 브랜드의 정체성을 리테일 샵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이는 브랜드에서 요구하는 브랜드 전략을 수락하고 해석하여 명성과 가치를 제안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에서 제시한 브랜드 사례개요를 대상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으로 범주화하여 세부적인 특성을 추출하고 분석 고찰 하고자 한다.
  • 기업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의한 방법으로 리테일 샵은 상품의 진열과 함께 판매의 실용적인 목적을 넘어 브랜드 이미지의 강화와 소비자 위주의 전략을 세우며 문화 전반의 이슈를 다루는 장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업-브랜드-소비자의 관계 지향 형태로 변모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건축가가 브랜드를 이미지화하는 새로운 건축적인 시도로 건축과 패션을 접목시킨 패션 선두매장1)을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근거로 리테일 샵과 브랜드에 대한 특성이 더욱 활발해지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혁신적인 개념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차별화 시키고 아이덴티티의 전략적 관리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시한 프라다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실내디자인의 표현경향이 기존 디자인에만 치중하는 경향을 벗어나서 리테일의 특성, 패션 선두 매장, 실내디자인 표현경향,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분석 제시함으로써 런칭되는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위한 이해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소비자의 다양성과 감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고객지향과 미래지향적인 프라다 리테일 샵은 프로그램의 개별성과 창의성을 제시하며 문화마케팅, 실내디자인, 첨단 IT등 기본적인 개념을 유지, 공유하면서 디자인적으로 차별화 된 해석을 보여주고 있었다.
  • 이와 같은 배경을 중심으로 건축과 패션이라는 상이한 장르 사이에 브랜드 이미지와 디자인 표현경향이 어떻게 서로 연계되는가를 파악 하고자 하며,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기능적, 감성적 공간으로 다양화되는 사회, 문화적 특성으로 소비자들은 브랜드 소비행위를 통하여 정체성을 획득 한다는 점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공간의 리테일 샵을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 아이덴티티, 디자인 표현경향을 범주화 하여 건축과 패션의 상호연계적인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을 파악하고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건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수직코어, 수평튜브, 플로어 슬라브, 파사드의 격자는 구조인 동시에 표피가 되도록 의도하였다. 또한 관찰자의 시각에 영향을 받으며 공간의 다양성을 공적 공간 개념에 적용하여 부지에 여백을 두고자 하였다. 이러한 공간은 휴식, 문화공간인 '광장(Plaza)'의 개념으로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 하며 공간의 변화와 재해석을 통하여 건물이 시간에 따라 성장하고 변화해 가는 유기적인 건물을 형성하고 있다.
  • 외부공간의 경계가 해체되며 실내공간의 양상이 건축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로 융합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특성을 중심으로 매뉴얼화 하지 않고 지역과 환경이 고려된, 즉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공간화된 사례를 대상으로 브랜드가 갖는 패션 리테일의 특성, 브랜드 이미지, 리테일 샵에 나타난 실내디자인의 표현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분석의 지표는 브랜드 특성과 건축가에 의해 표현된 공간으로 브랜드의 인지도와 차별성 측면에서 내. 외부공간의 경계가 해체되며 실내공간의 양상이 건축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로 융합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특성을 중심으로 매뉴얼화 하지 않고 지역과 환경이 고려된, 즉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공간화된 사례를 대상으로 브랜드가 갖는 패션 리테일의 특성, 브랜드 이미지, 리테일 샵에 나타난 실내디자인의 표현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난 1990년대 이후 패션과 건축 분야의 관심사는 한 곳으로 집중되기 시작했으며 패션의 잠재력과 함께 건축가들은 독창적인 비젼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을 중심으로 건축과 패션이라는 상이한 장르 사이에 브랜드 이미지와 디자인 표현경향이 어떻게 서로 연계되는가를 파악 하고자 하며,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기능적, 감성적 공간으로 다양화되는 사회, 문화적 특성으로 소비자들은 브랜드 소비행위를 통하여 정체성을 획득 한다는 점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공간의 리테일 샵을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 아이덴티티, 디자인 표현경향을 범주화 하여 건축과 패션의 상호연계적인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을 파악하고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가설 설정

  • 이것은 디스플레이(Display)의 진열과 함께 브랜드의 매출을 타 브랜드보다 높일 수 있는 판매촉진의 요인이 되기도 했다.7)패션은 적절한 제품을 적절한 시점과 환경에 제공하는 것이 판매의 요점이다. 주변의 환경은 스타일로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함으로써 고객에게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소연, 패션매장에 나타난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특성과 실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99 

  2. 강소연, 패션 리테일 샵의 실내디자인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9호, 2006. 3 

  3. 김정란, 소비자 지향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4 

  4. 김주연,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건축가의 해석과 표현,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5 

  5. 김민주 외,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서울문화재단, 2005 

  6. 월간, POAR, 2005. 5, VOL. 109 

  7. 박애진, 리테일 샵에 나타난 공간체험의 도입성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8. A. pohlman and S. mudd, Market; Image as a function of group and product type; A quantitative approch, J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3 

  9. Eleanor Curtis, Fashion Retail, Published in Great Britain in 2004 by Willey-Academy, a division of John Willey & Sons Ltd 

  10. Neil Bingham, The New Boutique Fashion and Design, First Published 2005 by Merrell Publishers Limited 

  11. Ian Luna, 'Retail / Architecture + Shopping', Published by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2003 

  12. H. Castle, 'Fashion + Architecture', Vol. 70, No. 6, 2000 by John Wiley & Sons 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