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전행동의 차이 및 법규위반횟수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Driving Behaviors According to Driv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Traffic Violat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5 no.2 = no.95, 2007년, pp.39 - 50  

이현주 (배재대학교 교양교육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운전자의 지각-운동기술과 안전지향동기와 같은 인지적 특성과 신체적 사회적인 위험을 무릅쓰게 하는 감각추구성향과 같은 인성적 특성, 자신이 지각하는 운전능력과 평상시의 운전행동이 법규위반횟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영향을 끼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352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감각추구성향 정도, 운전능력에 따른 운전행동에 대한 차이 검증을 위하여 다변량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운전경력), 감각추구성향, 운전능력 운전행동, 법규위반횟수의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 운전자가 지각-동작기술이 뛰어나면 다른 도로이용자를 배려하는 긍정적인 운전행동을 많이 하고 안전지향동기가 높을수록 고의적이든 실수로 인한 것이든 법규위반행동은 적게 하고 긍정적인 운전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각-운동기술이 뛰어나고, 감각추구성향이 높으며 안전지향동기가 낮을수록 고의적인 법규위반행동을 많이 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타인을 배려하는 운전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운전능력이 우수하고 실수행동과 위반행동을 많이 하고 긍정적인 운전행동을 적게 하는 운전자가 법규위반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LISREL분석결과, 연구변인들 간 인과관계가 검증되었다(적합도 지수 : $x^2$=341.62(p=.00), GFI=.94, RMR=.10)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riv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erception-motor skills and safety-seeking motiv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nsation-seeking disposition coping with physical and social dangers; their self-perceived driving ability; and their normal driving be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법규위반횟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각 추구 성향 수준에 따라 운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 본 연구는 운전자의 연령, 운전경력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지각-운동기술과 안전지향 동기로 이루어진 운전능력, 신체적 . 사회적인 위험을 무릅쓰는 개인의 인성적 특성인 감각추구성향이 평상시의 운전행동과 어떤 관계를 맺고 법규위 반횟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첫째, 감각주구성향과 운전능력에 따른 운전 행동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운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감각추구성향, 운전능력, 그리고 운전행동과 법규위반 횟수의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결과들과 비교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신체적 . 사회적인 위험을 무릅쓰는 개인의 인성적 특성인 감각추구성향이 평상시의 운전행동과 어떤 관계를 맺고 법규위 반횟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자가 지각-운동기술이 뛰어나면 다른 도로 이용자를 배려하는 긍정적인 운전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각 추구 성향 수준에 따라 운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운전능력 수준에 따라 운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운전자의 연령, 운전경력, 감각추구성향, 운전능력, 운전 행동, 법규위반횟수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법규위반횟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각 추구 성향 수준에 따라 운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운전능력 수준에 따라 운전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운전자의 연령, 운전경력, 감각추구성향, 운전능력, 운전 행동, 법규위반횟수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한편,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예측변인들의 운전 행동에 대한 전체, 직접 및 간접효과를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런데 최근,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다루고 있는 연구들(Lajunen & Summala, 1995, Lajunen, Corry, Summala, & Hartley, 1998; Siimer, Ozkan, & Lajunen, 2006) 에서는 지각-운동 기술 이외에 안전지향동기(safety motive) 를 동시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운전자 스스로 안전운전자인지 혹은 위험 운전자인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가 운전양식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가정하면서 운전능력에는 지각-운동기술뿐 아니라 안전지향동기까지 동일한 수준으로 포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명언.김정오.권석만.김청택.이재식(1998), 운전정밀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서울대학교 심리 과학연구소, 심리과학, 7(2), p.56 

  2. 김병석.이병일(2002), 감각추구성향 및 도덕적 요인과 음주운전과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10(2), p.61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교통사고 요인분석: 보행자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p.112 

  4. 배영철(2004), 법규위반 운전행동의 원인분석과 교통안전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p.73 

  5. 안병준(2003), 교통사고 원인행동 분석, 교통안전 공단. p.64 

  6. 양병화(2000),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pp.337-394 

  7. 오미경(1997), 감각추구성향과 사회화 요인이 남 녀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p.35 

  8. 유완석.이재식(1999), 운전자의 운전수행과 관련 된 지각적, 인지적 특성분석 및 그 특성이 운전에 미치는 영향분석, KRF 연구결과논문, p.4 

  9. 이순묵(1990), 공변량구조분석, 성원사, pp.73-89 

  10. 홍왕희(2004), 교통사고유형과 사고운전자의 운 전결함요인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 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6 

  11. Aberg, L., & Rimmo, P.-A. (1998), Dimensions of aberrant driver behaviour, Ergonomics, 41(1), pp.39-56 

  12. Ozkan, T., & Lajunen, T. (2005), A new addition to DBQ: Positive driver behaviors scal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8, pp.355-368 

  13. Arnett, J. (1994), Sensation seeking: a new conceptualization and a new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6(2), pp.289-296 

  14. Beirness, D. J. (1993), Do we really drive as we live? The role of personality factors in road crashes, Alcohol, Drugs and Driving. UCLA Brain Information Service/Brain Research Institute, 9 (3-4):pp.129-143 

  15.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pp.588- 606 

  16. DfT(1999), Childhood accid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No.07), In Vulnerable Road Users. pp.3-7 

  17. Elander, J., West, R., & French, D. (1993), Behavioral correlat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oad-traffic crash risk: An examination of methods and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13, pp.279-294 

  18. Evans, L. (1991). Traffic safety and the driver,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 Heino, A., Molen, H. H., & Wilde, G. J. S. (1992), Risk-homeostatic processes in carfollowing behavior: Individual differences in carfollowing and perceived risk(Report No. VK 90-02), Haren: Traffic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Groningen 

  20. Iversen, H., & Rundmo, T. (2002), Personality, risky driving and accident involvement among Norwegian driv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pp.1251-1263 

  21. Jonah, B. A. (1997), Sensation seeking and risky driving: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9, pp.651-665 

  22. Lajunen, T., & Summala, H. (1995), Driv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kill and safetymotive dimensions in drivers' self-assessm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3), pp.307-318 

  23. Lajunen, T., Corry, A., Summala, H. and Hartley, L. (1998),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drivers' self-assessments of their perceptualmotor and safety skills: Australians and Fin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4, pp.539-550 

  24. Lawton, R., and Parker, D. (1998), Individual differences in accident liability: A review and integrative approach, Human Factors, 40, pp.655-671 

  25. Limmo, P.-A., & Aberg, L. (1999), On the distinction between violations and errors: sensation seeking associ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2, pp.151-166 

  26. McGuire, F. L. (1976), Personality factor in highway accidents, Human Factors, 18(5), pp.433-442 

  27. McKenna, F. P. (1983), Accident proneness: a conceptual analysi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15(1), pp.65-71 

  28. McKenna, F. P., Waylen, A. E., & Burkes, M. E. (1998), Male and female drivers: how different are they? Hampshire, England : AA Foundation for Road Safety Research, The University of Reading 

  29. Owsley, C., McGwin Jr., G., & McNeal, S. F. (2003), Impact of impulsiveness, venturesomeness, and empathy on driving by older adults, Journal of Safety Research, 34, pp.353-359 

  30. Parker, D., Reason, J. T., Manstead, A. S. R., & Stradling, S. G.(1995), Driving errors, driving violations and accident involvement, Ergonomics, 38, pp.1036-1048 

  31. Reason, J. T., Manstead, A. S. R., Stradling, S., Baxter, J., & Campbell, K. (1990), Errors and violations on the roads, Ergonomics, 33, pp.1315-1332 

  32. Rimmo, P., & Aberg, L. (1999), On the distinction between violation and errors: sensation seeking associations, Transport. Res. Part F 2, pp.151- 166 

  33. Rumar, K. (1985), The role of perceptual and cognitive filters in observed behavior, in L. Evans and R. C. Schwing (eds.), Human Behavior and Traffic Safety, (Plenum Press, New York), pp.151-165 

  34. Sivak, M. (1983), Society's aggression level as a predictor of traffic fatality r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14, pp.93-99 

  35. Smith, D. L., & Heckert, T. M. (1998),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raffic accident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afety Research, 29(3), pp.163-169 

  36. Sullman, M. J. M., Meadow, M. L., & Pajo, K. (2002), Abberrant driving behaviors amongst New Zealand truck driv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5(3), pp.217-232 

  37. Sumer, N. (2003), Personality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traffic accidents: testing a contextual mediated mode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pp.949-964 

  38. Sumer, N., Ozkan, T., & Lajunen, T. (2006),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and safety skil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8, pp.703-711 

  39. Treat, J. R., Tumbas, N. S., McDonald, S. T., Shinar, D., Hume, R. D., Mayer, R. E., Stanisfer, R. L. and Castellan, N. J. (1977), Tri-level study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Report No. DOT-HS-034-3-535-77 (TAC) 

  40. Ulleberg, P. (2002), Personality subtypes of young drivers, Relationship to risk-taking preferences, accident involvement, and response to a traffic safety campa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4, pp.279-297 

  41. West, R., Elander, J. & French, D. (1993), Mild social deviance, Type-A personality and decision making style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driving style and traffic accident risk,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4(2), pp.207-21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