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토 면직물 습식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의 세척성 연구
Detergency of Natural Surfactant for the Cleaning of Excavated Cotton Fabric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2, 2017년, pp.97 - 106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이영희 (부산대학교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출토직물의 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 선정을 위하여 그 특성과 세척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조군으로 합성계면활성제인 SDS (Sodium dodecyl sulfate)와 천연계면활성제 중 LES (Disodium laurethsulfosuccinate), apple wash (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tea saponin (Saponin), cornacopa (Decyl glucoside), coco betain (Cocamidopropyl betaine) 등 5종을 선별하여 계면활성제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고, pH와 표면장력 측정으로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공오염포 4종과 출토직물편에 대한 세척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공오염포에 대해서는 apple wash, tea saponin, cornacopa가 세척성에 있어서 SDS만큼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토직물편에 대해서는 tea ssponin과 coco betain의 세척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제의 안전성과 세척성을 감안할 때 천연계면활성제 중 tea saponin이 출토복식 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로써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etergency of natural surfactants for the cleaning of excavated fabrics. For this purpose, SDS, a synthetic surfactant, was selected as the control, and five types of natural surfactants, namely, LES, apple wash, tea saponin, cor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천연계면활성제에 대한 세척성 연구도 부족하며 복식문화재에 대한 적용을 위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되어진 천연계면활성제를 출토복식의 세척에 응용하고자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출토복식의 세척에 천연계면활성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천연계면활성제를 선별하여 인공오염포와 출토직물편을 대상으로 세척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전반적으로 물로만 세척한 경우 오염제거율은 낮았으며 세척 전후의 색차도 크지 않았고, 합성계면활성제인 SDS는 대부분 좋은 세척성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대 초까지의 출토복식의 세척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습식세척은 비가역적인 보존처리과정임에도 불구하고 매장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오염물은 제거가 필요하며 이들 오염제거를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Oh, 2010). 출토복식의 세척을 위해서 2000년대 초까지는 세척과정에서 유기용제를 이용한 건식세척과 음이온계면활성제나 비이온계면활성제 등 합성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습식세척이 주로 시행되어져 왔으며(Baek and Kwon, 2009) 최근에는 습식세척에 천연비이온계면활성제인 사포닌이 많이 이용 되고 있다(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2010; 2012; Gyonggi Provincial Museum, 2006).
출토복식의 세척에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할 때, 세척성의 비교 결과는 어떠한가? 전반적으로 물로만 세척한 경우 오염제거율은 낮았으며 세척 전후의 색차도 크지 않았고, 합성계면활성제인 SDS 는 대부분 좋은 세척성을 나타내었다. 천연계면활성제 중 LES는 전반적으로 오염제거율과 색차변화가 낮게 나타났다. Apple wash는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 표면장력이 가장 낮았으며 오염제거율은 높게 나타냈으나 색차값은 크게 높지는 않았다. tea saponin은 인공오염포에 대한 오염제 거율은 낮게 나타났지만 색차값의 변화와 출토직물편에 대해서는 높은 세척성을 나타내었다. Cornacopa는 pH가높아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사용 시 pH의 조절이 필요 하며 높은 알카리성에 의해 오염제거율과 색차변화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Coco betain은 pH가 중성이며 표면장력이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인공오염포에 대한 오염제거율은 크지 않았으나 출토직물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Coco betain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경우 경제성과 pH에 따른 특성변화로 산업적으로나 문화재 보존분야에서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출토복식유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출토복식유물은 주로 조선시대 회격묘와 회곽묘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장례방식의 특성상 미라와 함께 출토되므로 많은 유기계, 무기계 오염물이 다량 부착되어있고 냄새가 심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오염도도 높다(Lee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Y.M. and Kwon, Y.S., 2009, The cleaning of costume of Yeosan Song's family excavated at Mokdal-dong in Daejeo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2), 219-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k, Y.M., Goto-Doshida, S. and Saito, M., 2012, Effects of the wet clean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dyed fabrics with natural dy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1), 2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ennanhas, J., 2015, Jakarta post #2: Everybody loves wet cleaning!, Caring for textiles homepage. http://www.caringfortextiles.com/jakarta-post-2-everybody-loveswet-cleaning-and-batik-clothing/#.WL7eX2fauUk (March, 2015) 

  4. Fields, J. A., Wingham, A., Hartog, F. and Daniels, V., 2004, Finding substitute surfactants for synperonic 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43(1), 55-73. 

  5. Gardner, S., 2013, Wet cleaning synthetic fibre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conservation detergents on soiled synthetic test fabric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6. Gyonggi Provincial Museum, 2006, Costumes excavated from Jin-Ju Ryu's couple tomb. Hangzhou Choisun Tea Sci-tech Co., Ltd. homepage http://www.chinateasaponin.com/product_detail_en/6.html 

  7. Jang, A.R., Kim, H.J., Kim, K.S. and Park, E.K., 2013, Development of a natural surfactant from extracts of saponaria officinalis 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8(3), 202-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ung, J.Y., Kim, K.B.W.R., Song, E.J., Lee, C.J., Kwak, J.H., Choi, M.K., Kim, M.J. and Ahn, D.H., 2010, Development of natural dishwashing liquid containing the curcuma longa L., Morus alba and Ecklonia cava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7(2), 157-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H.J., Park, S.K., Kim, B.Y., Hong, S.K., Cho, S.K. and Kim, D.G., 2008, Development of a natural surfactant from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Chem. Eng. Res., 46(2), 227-2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R., 2013, Science of detergence and cleaning. Kyomunsa, Paju. (in Korean) 

  11. Lee, S.J., Cha, M.S., Cho, H.H., Baek, Y.M. and Kwon, Y.S., 2005, Bacterial strains and their cellulase activity from the excavated clothes at Daedeok-gu, Daeje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1), 70-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Excavated costumes and textiles from the tomb of Ohsung Nam. (in Korean) 

  13.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0, Costumes excavated from Yi, Jin-sung's tomb. (in Korean) 

  14.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2, Haengju Kee's costumes excavated from family tomb of Yeongwol Shin clan. (in Korean) 

  15. Oh, J.S., 2010, Wet cleaning of handed-down and excavated silk fabrics, excavated clothes from the Yi, Jin-sung's tomb.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22-135. (in Korean) 

  16. Stavroudis, C., 2009, Sorting out surfactants. WAAC Newsletter, 31(1), 18-21. 

  17. Timar-Balazsy, A., 2000, Wet cleaning of historical textiles: surfactants and other wash bath additives. Studies in Conservation, 46-64. 

  18. Wolbers, R.C., 2009, The science of cleaning textiles, Tapestry preservation past and present. Metropolitan Museum, https://www.youtube.com/watch?vdhhsq8yHBg8 

  19. Zhang, S., Zhou, Y., Zhao, F., Peng, Z.Q. and Hu, Z.W., 2012, Study on removal treatments of the historical silk which suffer from various pollutions. Journal of Silk, 49(11), 28-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