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EGCG가 유방암 세포 T-47D의 p16 유전자 DNA methylation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EGCG on the methylation status of p16 gene in T-47D breast cancer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4 = no.84, 2007년, pp.522 - 528  

이원준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체육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ffee에 다량 함유된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 녹차에 함유된 EGCG 성분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p16 유전자의 DNA methylation 패턴을 유방암 T-47D 세포에서 유의하게 변화시켰다. MSP를 이용하여 p16 유전자의 promoter 지역에서의 methylation상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EGCG는 유전자의 hypermethylation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demethylation된 p16 유전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coffee 폴리페놀인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와 녹차 폴리페놀인 EGCG는 세포내의 DNA methylation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는 coffee폴리페놀과 같이 COMT 효소에 의한 methylation 부산물인 SAH의 증가에 의한 DNMT의 억제이거나, EGCG와 같이 DNMT와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methylation 반응을 억제하는 mechanism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미 개발된 항암제뿐만 아니라, 부작용과 독성이 적은 식이성분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심도 있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들은 암이 발생되고 난 후 치료 요법으로 사용됨은 물론, 암이 발생하기 전에 사전 예방법으로도 널리 적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e studied the modulating effects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on the methylation status of promoter regions of cell cycle regulator, p16, in human breast cancer T-47D cells. We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T-47D cells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sodium bisulfite로 변형된 DNA의 sequence는 methyl- ationo] 일어난 DNA와 methylation이 일어나지 않은 DNA 간에 더 이상 동일하지 않은 염기서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DNA sequence에 맞는 primer를 제작하여 PCR을 실행하였다. Stage I PCR 에서는 pl6 유전 자중 CpG가 풍부한 promoter 지역 (size 208 bp)을 증폭시 켰다, Stage I primer는 sodium bisulfite로 변형된 염기서열을 인식할 뿐 methylation 여부를 구분할 수는 없도록 되어있다.
  • 세포마다 특이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DNA methylation 억제제에 대한 반응도 동일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3, 4, 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식이성폴리페놀인 tea catechins과 bioflavonoids들이 MDA-MB-231 세포와 MCF-7 세포에서 종양억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킨다고 보고하였지만, T47D 세포에서의 pl6 유전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이성 폴리페놀이 T-47D 세포의 pl6 유전자의 DNA meth- ylati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이성 폴리페놀인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그리고 EGCG(그림 1)가 유방암 세포인 T-47D 세포의 세포주기 조절 유전자인 pl6의 methylation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록 EGCG의 DNA methylation 억제 기전이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의 작용기전과는 다르지만 T-47D 유방암 세포 내의 pl6 유전자의 methylation 패턴을 변화시키는데 있어서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세포주기 조절인자 중 pl6 유전자에서의 methylation 변화만을 살펴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pl4, p21과 같은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 할 것이다.
  • 본연구에서는 coffee 폴리페놀인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 그리고 녹차 함유물인 EGCG가 T47D 유방암 세포에서 pl6 유전자의 methylation 패턴을 변화시켰음을 보고하였다. 식이성 폴리페놀이 Methylation이 된 pl6 유전자를 감소시키는 반면 unmethylation 상태의 pl6 유전자를 증가시켰다.

가설 설정

  • 즉, COMT에 의해 methylation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caffeic acid와 chlorogenic acid는 DNA methylation 억제작용이 아주 미약하다. 본 연구에서 SAM과 SAH의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는 않았다. COMT가 존재할 때만 DNA methytation을 강력히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stor, T. H. and V. M. Ingram. 1983. Two DNA methyltransferases from murine erythroleukemia cells: purification, sequence specificity, and mode of interaction with DNA. Proc. Natl. Acad. Sci. USA 80, 5559-5563 

  2. Chim, C. S., R. Liang, C. Y. Tam and Y. L. Kwong. 2001. Methylation of p15 and p16 genes in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potential diagnostic and prognostic significance. J. Clin. Oncol. 19, 2033-2040 

  3. Costello, J. F., M. C. Fruhwald, D. J. Smiragilia, L. J. Rush, G. P. Robertson, X. Gao, F. A. Wright, J. D. Feramisoco, P. Peltomaki, J. C. Lang, D. E. Schuller, L. Yu, C. D. Bloomfield, M. A. Caligiuri, A. Yates, R. Nishikawa, H. Su Hwang, N. J. Petrelli, X. Zhang, M. S. O'Dorisio, W. A. Held, W. K. Cavenee and C. Plass. 2000. Aberrant CpG-island methylaiton has non-random and tumour-type-specific patterns. Nat. Genet. 25, 132-138 

  4. Esteller, M., P. G. Corn, S. B. Baylin and J. G. Herman. 2001. A gene hypermethylation profile of human cancer. Cancer Res. 61, 3225-3229 

  5. Esteller, M. 2002. CpG island hypomethylation and tumor suppressor genes: a booming present, a bright future. Oncogene 21, 5427-5440 

  6. Esteller, M. and J. G. Herman. 2002. Cancer as an epigenetic disease: DNA methylaiton and chromatin alterations in human tumours. J. Pathol. 196, 1-7 

  7. Fang, M. Z., Y. Wang, N. Ai, Z. Hou, Y. Sun, H. Lu, W. Welsh and C. S. Yang. 2003.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DNA methyltransferase and reactivates methylation-silenced genes in cancer cell lines. Cancer Res. 63, 7563-7570 

  8. Fraga, M. F., E. Ballestar, G. Montoya, P. Taysavang, P. A. Wade and M. Esteller. 2003. The affinity of different MBD proteins for a specific methylated locus depends on their intrinsic binding properties. Nucleic Acids Res. 31, 1765-1774 

  9. Herman J. G. and S. B. Baylin. 2003. Gene silencing in cancer in association with promoter hyperrnethylaiton. N. Engl. J. Med. 349, 2042-2054 

  10. Hu, C. X., I. H. Wong and L. W. Chow. 2003. Tumor--derived aberrant methylation in plasma of invasive ductal breast cancer patients: clinical implications. Oncol. Rep. 10, 1811-1815 

  11. Kass, S. U., D. Pruss and A. P. Wolffe. 1997. How does DNA methylation repress transcription? Trends Genet. 13, 444-449 

  12. Koh, J., G. H. Enders, B. D. Dynlacht and E. Harlow. 1995. Tumour-derived p16 alleles encoding proteins defective in cell-cycle inhibition. Nature 375, 506-510 

  13. Lee, W. J. and B. T. Zhu. 2005. Mechanisms for the inhibition of DNA methyltransfeases by tea catechins and bioflavonoids. Mol. Pharmacol. 68, 1018-1030 

  14. Lee, W. J. and B. T. Zhu. 2006. Inhibition of DNA methylation by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two common catechol-containing coffee polyphenols. Carcinogenesis 27, 269-277 

  15. Lukas, J., L. Aagaard, M. Strauss and J. Bartek. 1995. Oncogenic aberrations of p16INK4/CDKN2 and cyclin D1 cooperate to deregulate G1 control. Cancer Res. 55, 4818-4823 

  16. Mizuno, S. I., T. Chijiwa, T. Okamura, K. Akashi, Y. Fukumaki, Y. Niho and H. Sasaki. 2001. Expression of DNA methyltransferases DNMT1, 3A, and 3B in normal hematopoiesis and in acute and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Blood 97, 1172-1179 

  17. Momparler, R. L. and V. Bovenzi. 2000. DNA methylation and cancer. J. Cell. Physiol. 183, 145-154 

  18. Okano, M., D. W. Bell, D. A. Harber and E. Li. 1999. DNA methyltransfereases Dnmt3a and Dnmt3b are essential for de novo methylation and mammalian development. Cell 99, 247-257 

  19. Palmisano, W. A., K. K. Divine, G. Saccomanno, F. D. Gilliland, S. B. Baylin, J. G. Herman and S. A. Belinsky. 2000. Predicting lung cancer by detecting aberrant promoter methylation in sputum Cancer Res. 60, 5954-5986 

  20. Paz, M. F., M. F. Fraga, S. Avila, M. Guo, M. Pollan, J. G. Herman and M. A. Esteller. 2003. A systemic profile of DNA methylation in human cancer cell lines. Cancer Res. 63, 1114-1121 

  21. Tate, P. H. and A. P. Bird. 1993. Effects of DNA methylation on DNA-binding proteins and gene expression. Curr. Opin. Genet. Dev. 3, 226-231 

  22. Yang, C. S., P. Maliakal and X. Meng. 2002.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by tea. Annu. Rev. Pharmacol. Toxicol. 42, 25-54 

  23. Zhu, B. T., E. L. Ezell and J. G. Liehr. 1994. Catechol-O-methyltransferase-catalyzed rapid O-methylation of mutagenic flavonoids. Metabolic inactivation as a possible reason for their lack of carcinogenicity in vivo. J. Biol. Chem. 269, 292-299 

  24. Zhu, B. T. and J. G. Liehr. 1996. Inhibition of catechol-O-methyltransferase-catalyzed O-methylation of 2- and 4-hydroxyestradiol by quercetin. Possible role in estradiol-induced tumorigenesis. J. Biol. Chem. 271, 1357-1363 

  25. Zhu, B. T., U. K. Patel, M. X. Cai and A. H. Conney. 2000. O-Methylation of tea polyphenols catalyzed by human placental cytosolic catechol-O-methyltransferase. Drug Metab. Dispos. 28, 1024-1030 

  26. Zhu, B. T., U. K. Patel, M. X. Cai, A. J. Lee and A. H. Conney. 2001. Rapid conversion of tea catechins to mono-methylated products by rat liver cytosolic catechol-O-methyltransferase. Xenobiotica 31, 879-8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