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 a Heterogeneous Group i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9, 2007년, pp.870 - 880  

성숙경 (서초고등학교) ,  최병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실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인지수준별 모둠구성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변화형태와 특성을 확인하여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동안 13개의 탐구실험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가 추천한 두 모둠을 관찰 하면서 녹음/녹화하였다. 40차시의 녹음/녹화자료는 모두 전사되었으며,자료는 메모하면서 보고 듣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이질모둠의 상호작용은 3A(형식적조작초기)학생이 문제해결을 주도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못한 채 일방적인 설명을 듣거나 답을 베끼는 식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낮은 능력의 학생은 상호작용에서 소외되고 있었으며,중간수준의 두 학생사이에 새로운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었다. 이로부터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의 진행과 모둠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 a heterogeneous group i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students' interactions in small group activities were analyzed. This study focused on two, small heterogeneous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둠의 상호작용은 MD와 비디오 카메라로 동시에 녹음/녹화하였으며, 연구자는 실험대 구석에 앉아 모둠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면서 MD의 이어폰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듣고 관찰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관찰하는 동안에는 모둠의 활동에 가능한 개입하지 않아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활동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해서 1년 동안 실시된 40차시의 녹음/녹화 자료와 관찰기록지를 상호작용에 관한 관찰 자료로 수집하였다.
  •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모둠의 실험수행에 대한 특성을 전체적으로 기술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실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지 수준별 모둠구성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변화 형태와 특성을 확인하여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동안 13개의 탐구실험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가 추천한 두 모둠을 관찰하면서 녹음/녹화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이질모둠에서 이루어지는 과학탐구실험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하여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변화형태와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은 초기에는 모두가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우수한 학생이 문제해결을 주도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설명을 듣거나 답을 베끼는 식으로 변화하였다.
  • 한편 낮은 능력의 학생은 상호작용에서 소외되고 있었으며, 중간수준의 두 학생사이에 새로운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었다. 이로부터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의 진행과 모둠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주로 두나와 찬우 중심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지만, 민재와 주연도 간혹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논의에서 소외되어 있지는 않다. 제시된 의견을 정리하며 마무리하는 사람이 정해져 있지는 않았고, 상호작용이 충분히 진행되어 모두가 동의한 듯 보였을 때 보고서를 정리함으로써 마무리도었다. 다음은 초기 상호작용의 전형 적인 예이다.

가설 설정

  • 이는 «수한 학생의 설명이 능력이 낮은 동료의 관점에서 제, 되지 못하기 때문인데, 우수한 학생에게 설명의 수준을 조절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따라서 辛수한 학생의 설명을 통한 학습을 기대하기 보다는 등료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비슷한 능력의 모둠을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 소리: 기름 바르면 빛을 안받나1? 물도 증발하지 않냐? -중략-
  • 태진: 어디가 플러스고 어디가 마이너스야?
  • 태진: 여기가 플러스면 여기가 마이너스라구?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지영, 성숙경, 강성주, 박종윤,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혐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3.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 -480 

  4. 김찬종, 오필석, 오영선, 박영선 (2005).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소집단내 상호삭용 참여 양상과 포트폴리오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7), 837-848 

  5. 김혜심, 이은경, 강성주 (2006) 실생활 소재 탐구 실험 형태에 따른 학생 학생 상호작용에서의 학습 접근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6-24 

  6.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7. 성숙경 (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 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강성주,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 실험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9.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eers &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 1099-1114 

  10. Anderson, R., Howe, C.. Soden, F, Hol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11. Berg, C., Bergendahl, V., Lundberg. B., & Tibell, L.(2003). Benefiting from an open-ended experirnent? A comparison of attitude to, and outcomes of, and expository versus open-inquiry version of the same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3). 351-372 

  12. Bianchini, J. A. (1997), Where knowledge construction, equity and context intersect: Student learning of science in small group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0), 1039-1065 

  13.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wis of cooperation with in physical science achievero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14. Chinn, C.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inquiry task. Science Education, 886, 175-218 

  15. Hand. B., Treagust, D.F., & Vance, K. (1997).Student perceptions of the social constructivist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1(5), 561-575 

  16. Hodson, D. K.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 (256).?33-40 

  17. Jones, M. G. & Carter, G. (1994).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of al: ility grouped dya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6),603-619 

  18. Kurth, L. A.,. Gardner, R., & Smith, E. L. (2002). Student use of narrative and paradigmatic forms of talk in elementary science coners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9), 93-818 

  19. Lee, S. K., Park, H.J., Myeong, K. O., & Kang, K. H. (2003). A case stud of classroom cultural aspects affecting discussion and discourse; A conceptual ec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4), 331-340 

  20. Lumpe, A. T., & Styer, .J. R. (1995). Peer 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pment: Learning about photosynthesi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71-98 

  21. Lunetta, V. M. (1998).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History perspectives and cntext of contemporary teaching, In B. J Fraser, & K.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pp. 249-262).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ation, San-Francisco: Jessey-Bass Publishers 

  23. Richmond, G., & Strd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rns: Social proce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839-858 

  24. Shepardson, D. P. (1996). Social interactions and the mediation of science learn ug in two small groups of firstgraders. Journal of Reserch in Science Teaching, 33(2), 159-178 

  25. Solomon, .J. (1998), About argument and discussion School Science Review, 80(291), 57-62 

  26. Tien, L. T., Roth, M, & Kanipmeier, J. A. (2002).Implementation of a peeled team learning instructional approach in an undergra luate organic chemistry cour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606-632 

  27. Wasron, S. B., & Mashall, J. E. (1995). Effects of cooperative incentives am heterogeneous arrangement on achievement and interactio: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s in a college life science cour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281-299 

  28. Yerrick, F. K, Dostes. E., Mugent, J. S., Parke, H, & Carwley, F. E. (2003) Social interaction and the use of analogy: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talk during physics inquiry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43-4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