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세노사이드 Rd가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진세노사이드 Rd는 3T-L1지방세포모델에 있어 효과적으로 지방분화를 억제한다. 2. 진세노사이드 Rd는 세포내 에너지대사의 필수 단백질인 AMPK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지방분화과정에 발현 및 활성이 증가하는 PPAR 감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상의 결과로 진세노사이드 Rd는 세포내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지방축적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is a major obstacle for human health, which induces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ac injury and type 2 diabetes. Ginsenosides, active components of ginseng extract, exert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However, There are still no evidence for their anti obesit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 진세노사이드 Rd가 비만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더하여 비만의 마커가 되는 AMPK와 PPAR 감마의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측정하여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 진세노사이드 Rd의 알려진 항암작용, 부신피질호르몬촉진 작용에 더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있는지 아닌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특히 에너지 대사의 촉진에 있어서 중요한 단백질인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비만 효과를 다시 구체화하기 위해 PPAR 감마의 활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보고가 되어 있다(7). 이에 우리는 다음으로 진세노사이드 Rd가 PPAR감마의 전사활성 억제에 효과를 줄 수 있는지 아닌지를 test 하기 위해 다음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HEK293 cells을 normal배지에 배양한 후 70% confment할 때 세포에 각각의 지시된 plasmid를 transfection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Yun, T. K. (2003), 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evidence on non-organ specific cancer preventive effect of Korean ginseng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Mutat. Res. 524, 63-74 

  2. Shang, W., Y. Yang, B. Jiang, H. Jin, L. Zhou, S. Liu, and M. Chen (2006), Ginsenoside Rb1 promotes adipogenesis in 3T3-Ll cells by enhancing PPARgamma2 and C/EBPalpha gene expression, Life Sri. 80, 618-25 

  3. Towler, M. C. and D. G. Hardie (2007),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metabolic control and insulin signaling, Circ. Res. 100, 328-41 

  4. Yin, W., J. Mu, and M. J. Bimbaum (2003),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cyclic AMP-dependent lipolysis In 3T3-Ll adipocytes, J. Biol. Chem. 278, 43074-80 

  5. Kudo, M., A. Sugawara, A. Uruno, K. Takeuchi, and S. Ito (2004), Transcription sup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2 gene express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via an inhibition of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delta during the early stag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Endocrinology 145, 4948-56 

  6. Hardie, D. G., S. A. Hawley, and J. W. Scott (2006), AMP-activated protein kinase--development of the energy sensor concept, J. Physiol, 574, 7-15 

  7. Wagatsuma, A. (2006) Upregulation of gene encoding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s C/EBPalpha and PPARgamma2 in denervated muscle, Exp. Physiol. 91, 747-53 

  8. Hwang, J. T., I. J. Park, J. I. Shin, Y. K. Lee, S. K. Lee, H. W. Baik, J. Ha, and O. J. Park (2005), Genistein, EGCG, and capsaicin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via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8, 694-9 

  9. Zang, M., S. Xu, K. A. Maitland-Toolan, A. Zuccollo, X. Hou, B. Jiang, M. Wierzbicki, T. J. Verbeuren, and R. A. Cohen (2006), Polyphenols stimulat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lower lipids, and inhibit accelerated atherosclerosis in diabetic LDL receptor-deficient mice, Diabetes 55, 2180-91 

  10. Hong, S. P., F. C. Leiper, A. Woods, D. Carling, and M. Carlson (2003), Activation of yeast Snfl and mammalia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y upstream kinases, Proc. Natl. Acad. Sci. USA. 100, 8839-43 

  11. Cheng, Z., T. Pang, M. Gu, A. H. Gao, C. M. Xie, J. Y. Li, F. J. Nan, and J. Li (2006), Berberine-stimulated glucose uptake in L6 myotubes involves both AMPK and p38 MAPK, Biochim. Biophys. Acta. 60, 1682-9 

  12. Nedergaard, J., N. Petrovic, E. M. Lindgren, A. Jacobsson, and B. Cannon (2005), PPARgamma in the control of brown adipocyte differentiation, Biochim. Biophys. Acta. 40, 293-304 

  13. Lee, S. Y., G. Y. Hur, K. H. Jung, H. C. Jung, S. Y. Lee, J. H. Kim, C. Shin, J. J. Shim, K. H. In, K. H. Kang, and S. H. Yoo (2006), PPAR-gamma agonist increase gefitinib's antitumor activity through PTEN expression, Lung Cancer 51, 297-301 

  14. Nakano, R., E. Kurosaki, S. Yoshida, M. Yokono, A. Shimaya, T. Maruyama, and M. Shibasaki (2006), Antagonism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revents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vivo, Biochem. Pharmacol. 72, 4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