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HaCaT 피부각질세포의 전사체 분석
Transcriptome Analysis of Human HaCaT Keratinicytes by Ginsenosides Rb1 and Rg1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774 - 6781  

김정민 ((주)엔에이알센터 DNA칩 분석팀) ,  조원준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  윤희승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  방인석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과 Rg1의 효능검증 및 작용점을 규명하고자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을 실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의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을 6 및 24 시간 처리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유전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는 항산화 작용점에 있는 일련의 유전자군, FANCD2, FGF2, LEPR, FAS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확인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주요인자들의 작용 및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의 신호전달을 완성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ginsenosides Rb1 and Rg1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o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s. A non-significant cytotoxic response was obtained in the HaCaT cell lines on treatment with vario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람유래 피부각질세포 HaCaT은 항노화, 항산화, 피부탄력, 미백 등의 연구를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세포주이다[15,16]. 본 연구는 피부노화 억제 기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작용점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부각질세포 HaCaT 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에 의한 효능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분자유전학적 분석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여 유전체(genome) 수준에서 작용양상을 확인하고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피부노화 억제 기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작용점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부각질세포 HaCaT 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에 의한 효능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분자유전학적 분석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여 유전체(genome) 수준에서 작용양상을 확인하고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은? A. Meyer) 에 함유된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의 담마란계 화합물로, 인삼 배당체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라 명명한다[3, 4].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질로 66종이 밝혀졌으며 38종의 진세노사이드 화학구조가 고려인삼(홍삼 31종, 백삼 25종) 에서 발견되었으며, 미국삼(Panax quinquefolius L.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의 약리활성 성분 Rb1의 효능은? 진세노사이드의 주된 약리활성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b1과 Rg1은 특히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노화 억제 기능을 예상하고 있다[12].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 억제, 최면, 진통, 정신 안정, 해열, 혈청단백질 합성촉진, 중성지방 분해억제, 합성촉진(인슐린 유사), 콜레스테롤 생합성촉진, 플라스민 활성화, RNA 합성촉진, 호르몬 분비촉진 작용 등의 다양한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4]. 진세노사이드 Rg1은 중추신경 흥분, 피로회복, 기억·학습기능 개선, DNA 및 RNA 합성촉진, 플라스민 활성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13, 14].
구조에 따른 사포닌의 분류는? 배당체는 당(glycone)과 비당(aglycone)으로 구성되며, 비당부분을 사포게닌(sapogenin) 이라고도 하는데, 사포닌은 비당부분에 포함된다[1]. 사포닌은 구조에 따라 스테로이드(steroid)계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계 사포닌으로 구분하며, 트리테르페노이드계는 다시 담마란(dammarane)계와 올레아난(oleanane)계 사포닌으로 구분한다[2]. 특히 인삼(Panax ginseng 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I. K. Joo, H. Y. Kim, J. H. Kim, O. Shehzad, Y. S. Kim, Y. M. Han, "Effects of Ginsenosides Rd and Rg1 on Proliferation of B Cells and Antibody Induction", Pharmaceutical Soc Korea, 57(1), pp.1-7, 2013. 

  2. M. Karikura, T. Miyase, H. Tanizawa, T. Taniyama, Y. Takino, "Studies on absorption, distribution, excretion and metabolism of ginseng saponins. VII. Comparison of the decomposition mode;s of ginsenoside-Rb1 and Rb2 in the digestive tract of rats", Chem Pharm Bull, 39(9), pp.2357-2361, 1991. DOI: http://dx.doi.org/10.1248/cpb.39.2357 

  3. K. T. Choi, "Botanical characteristics, pharmacological effects and medicinal components of Korean Panax ginseng C A Meyer", Acta Pharmacol Sin, 29(9), pp.1109-1118,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745-7254.2008.00869.x 

  4. J. M. Lu, Q. Yao, C. Chen, "Ginseng compounds: an update on their molecular mechanisms and medical applications", Curr Vasc Pharmacol, 7(3), pp.293-302, 2009. DOI: http://dx.doi.org/10.2174/157016109788340767 

  5. S. D. Lee, W. I. Hwang, H. Okuda, "Effect of Acidic Polysaccharide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on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and on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orean J Ginseng Sci, 20(3), pp.248-255, 1996. 

  6. J. D. Park,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Ginseng Sci, 20(4), pp.32-45, 1996. 

  7. K. T. Choi, D. C. Yang, "Pharmacological effects and medicinal components of korea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The Korean Research and Industry, 6(2), pp.2-21, 2012. 

  8. J. W. Lee, H. O. Sohn, J. H. Do, "Function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and $Fe^{2+}$ ADP/NADsystem", J Ginseng Res, 24(1), pp.35-40, 2000. 

  9. T. K. Lee, R. M. Johnke, R. R. Allison, K. F. O'Brien, L. J. Jr. Dobbs, "Radioprotective potential of ginseng", Mutagenesis, 20(4), pp.237-243, 2005. DOI: http://dx.doi.org/10.1093/mutage/gei041 

  10. J. G. Shin, J. W. Park, J. K. Pyo, M. H. Chung, "Protective effects of a ginseng component, maltol(2-methyl-3-hydroxyl-4-pyrone) against tissue damages induced by oxygen radicals", Korean J Ginseng Sci, 14(2), pp.187-190, 1990. 

  11. J. J. Wee, J. D. Park, M. W. Kim, H. J. Lee, "Identification of phenolic antioxidant componen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co, 32(1), pp.50-56, 1989. 

  12. X. Y. Wang, Y. G. Wang, Y. F. Wang, "Ginsenoside Rb1, Rg1 and three extract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ttenuate ultraviolet B-induced G1 growth arrest in HaCaT cells and dermal fibroblasts involve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p16, p21 and p53",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7(4), pp.203-212,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600-0781.2011.00601.x 

  13. Y. Cheng, L. H. Shen, J. T. Zhang, "Anti-amnestic and anti-aging effects of ginsenoside Rg1 and Rb1 and its mechanism of action", Acta Pharmacol Sin, 26(2) pp.143-149,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745-7254.2005.00034.x 

  14. C. F. Chen, W. F. Chiou, J. T. Zhang, "Comparison of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m", Acta Pharmacol Sin, 29(9), pp.1103-1108,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745-7254.2008.00868.x 

  15. C. Simmler, C. Antheaume, A. Lobstein, "Antioxidant biomarkers from Vanda coerulea stems reduce irradiated HaCaT PGE-2 production as a result of COX-2 inhibition", PLoS One, 5(10), e13713, 2010.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13713 

  16. C. K. Fung, N. Xi, R. Yang, K. Seiffert-Sinha, K. W. Lai, A. A. Sinha, "Quantitative analysis of human keratinocyte cell elasticit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IEEE Trans Nanobioscience, 10(1), pp.9-15, 2011. DOI: http://dx.doi.org/10.1109/TNB.2011.2113397 

  17. J. H. Park, Y. H. Lee, K. S. Kang, S. K. Lee, S. Z. Kim, J. Y. Park, E. K. Kwak, Y. K. Sohn, "The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the apoptosis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Rat C6 glioma cells", Korean J Pathol, 38(1), pp.1-7, 2004. 

  18. A. Yokoyama, T. Muneta, A. Nimura, H. Koga, T. Mochizuki, Y. Hata, I. Sekiya, "FGF2 and dexamethasone increase the production of hyaluronan in two-dimensional culture of elastic cartilage-derived cells: in vitro analyses and in vivo cartilage formation", Cell Tissue Res, 329(3), pp.469-478, 2007. DOI: http://dx.doi.org/10.1007/s00441-007-0438-y 

  19. D. L. Coutu, J. Galipeau, "Roles of FGF signaling in stem cell self-renewal, senescence and aging", Aging, 3(10), pp.920-933, 2011. 

  20. R. Hamuy, N. Kinoshita, H. Yoshimoto, K. Hayashida, S. Houbara, M. Nakashima, K. Suzuki, N. Mitsutake, Z. Mussazhanova, K. Kashiyama, A. Hirano, S. Akita, "One-stage, simultaneous skin grafting with artificial dermis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successfully improves elasticity with maturation of scar formation", Wound Repair Regen, 21(1), pp.141-154, 2013. DOI: http://dx.doi.org/10.1111/j.1524-475X.2012.00864.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