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아 돌복의 착장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aring Styles of First Birthday Suit for Boy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9 no.3, 2007년, pp.286 - 294  

이수혜 (신라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  이자연 (신라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lbok, the first birthday suit, is a formal suit a person puts on for the first time after birth. It not only a symbolizes of Korean customs or traditions, but also represents transmitted ideas, values and lifestyles of Koreans. In this nation where strong preferences for son prevailed, dolbok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박물관 도록에 나타난 돌복식 117점(의복 82점, 부속품 35점)을 선별하여 남아 돌복의 착장 양식 중 외의(外衣)의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착장양식별 특성을 착용계층, 구성방법으로 고찰함으로써 돌복을 체계화ㆍ정형화 시켜 조상들의 지혜와 얼이 담긴 훌륭한 복식임을 밝히고 전통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돌복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생활에 적합한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남자아이의 돌복을 편의상 ‘남아 돌복’이라고 칭하기로 하며, 이는 돌복 관련 부속품도 모두 포함하기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박물관 도록에 나타난 돌복식 117점(의복 82점, 부속품 35점)을 선별하여 남아 돌복의 착장 양식 중 외의(外衣)의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착장양식별 특성을 착용계층, 구성방법으로 고찰함으로써 돌복을 체계화ㆍ정형화 시켜 조상들의 지혜와 얼이 담긴 훌륭한 복식임을 밝히고 전통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돌복을 계승 발전시켜 현대생활에 적합한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경운박물관 (2005) '옛 어린이 그 소중한 어여쁨 옷'. 에이엔에이(주), 서울 

  2. ?고복남 (1997) '한국의복의 유형과 양식'. 집문당, 서울, p.71 

  3. ?金英淑(1997 '朝鮮朝 末期 王室服飾'. 民族文化文庫刊行會, 서울 

  4. ?김미자 (2002) 우리나라 포의 종류와 변천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p.255 

  5. 김용덕 (2004) '한국 민속 문화 대사전(상,하)'. 창솔, 서울, p.507 

  6. 박광훈 (2001) '바늘과 벗 삼은 한평생' 국립민속박물관 

  7. 石宙善 기념박물관 (2004) '한국전통 어린이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서울 

  8. 신유진 (2003) 조선시대 어린이 복식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옥명선 (2004)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의 유형과 조형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혜숙 (2003) 조선조 이동모에 관한고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희경 (1998) 출산의례에 따른 복식 한국전통생활문화학회, p.421 

  12. 이해영 (2001) 20세기 돌옷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225-235 

  13. 전경수 (1985)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서울, p.29 

  14. 조효순 (1988) '한국복식풍속사연구'. 일지사, 서울, p.195 

  15. 조희진 (1998) 첫돌복식의 착용양상과 통과의례적 의미.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희진 (2003) '선비와 피어싱'. 동아시아, 서울, p.199 

  17. 추은희 (2000) 출생 의례복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하상효 (2000) 전통 어린이 복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http://www.kimyejin.com 

  20. ?http://www.myungjunabee.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