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lowing CNS injury, inhibitory influences at the site of axonal damage occur. Glial cells become reactive and form a glial scar, gliosis. Astrocyte-rich gliosis relates with up-regulation of GFAP and CD81, and eventually becomes physical and mechanical barrier to axonal regeneration. It is post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경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임상적으로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야기되는 반응을 가역적으로 회복시킴으로써 뇌출혈, 뇌경색 등의 뇌혈관장애와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신경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에 손상 후 재생 촉진에 桃仁 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신경세포를 배양하여 시험관 분석으로 조사한 후 rat을 이용한 동물 실험을 수행 하였다.
  • 桃仁의 主成分 은 emulsin과 amygdalin, 精油, 脂肪油 등이며, 抗血栓作用, 抗溶 血作用, 抗炎症作用, 血管擄張作用, 血流改善作用, 子宮收縮 및 止血作用, 脂肪酸 酸化作用 등의 藥理作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迪-26). 이에 저자는 중추신경계 손상 후 GFAP와 CD81 의 발현에 桃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신경세포를 배양하여 시험관분석으로 조사한 후, rat>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여 유의한 관찰을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Miros Pekny, Michael Nilsson. Astrocyte activation and reactive gliosis. GLIA. 50:427-434, 2005 

  2. Samuel David. Axon growth promoting and inhibitory molecules involved in regeneration in the adult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 4:171-178, 1998 

  3. Ferraro, G.B., Alabed, Y.Z., Fournier, A.E. Molecular targets to promote central nervous system regeneration. Curr Neurovasc Res. 1:61-75, 2004 

  4. Fawcett, J.W., Asher, R.A. The glial scar and CNS repair. Brain Res Bull. 49(6):377-391, 1999 

  5. Schwab, M.E., Bartholdi, D. 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of axons in the lesioned spinal cord. Psysiol Rev. 76(2):319-370, 1996 

  6. 이지윤. 손상된 흰쥐 척수에 이식한 태아 척수조직이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7. 권오규. 척수 손상 후 운동기능의 회복 및 아교섬유성 산 단백질의 변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8. Dijkstra, S., Duis, S., Pans, I.M., Lankhorst, A.J., Hamers, F.P., Bar, P.R. et al. Intraspinal administration of an antibody CD81 enhances functional recovery and tissue sparing after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 Exp neurol. 202(1):57-66, 2006 

  9. Peduzzi, J.D., Grayson, T.B., Fischer, F.R., Geisert, E.E. Jr. The expression of TAPA Correlates with the reactive response of Astrocytes in the Developing Rat CNS. Exp neurol. 160(2):460-468, 1999 

  10. Song, B.K., Levy, S., Geisert, E.E. Jr. Increased density of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 CD81 -/- mice. J Cell Biochem, 92(6):1160-1170, 2004 

  11. Song, B.K., Geisert, G.R., Vazquez-Chona, F., Geisert, E.E. Jr. Temporal regulation of CD81 following retinal injury in the rat. Neurosci Lett, 338(1):29-32, 2003 

  12. Bethea, J.R., Nagashima, H., Acosta, M.C., Briceno, C., Gomez, F., Marcillo, A.E., Loor, K., Green, J., Dietrich, W.D. Systemically administered interleukin-10 reduc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s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in rats. J Neurotrauma. 16(10):851-863, 1999 

  13. Guth, L., Albuquerque, E.X., Deshpande, S.S., Barrett, C.P., Donati, E.J., Warnick, J.E. Ineffectiveness of enzyme therapy on regeneration in the transected spinal cord of the rat. J Neurosurg. 52(1):73-86, 1980 

  14. Puchala, E., Windle, W.F. The possibility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restitu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A review Exp Neurol. 55(1):1-42, 1977 

  15. Gimenez y Ribotta, M., Rajaofetra, N., Morin-Richaud, C., et al. Oxysterol (7beta-hydroxycholesteryl-3-oleate) promotes serotonergic reinnervation in the lesioned rat spinal cord by reducing glial reaction. J Neurosci Res. 41(1):79-95, 1995 

  16. Zhang, S.X., Geddes, J.W., Owens, J.L., Holmberg, E.G. X-irradiation reduces lesion scarring at the contusion site of adult rat spinal cord. Histol Histopathol. 20(2):519-530, 2005 

  17. Menet, V., Gimenez, Y., Ribotta, M., Sandillon, F., Privat, A. GFAP null astrocytes are a favorable substrate for neuronal survival and neurite growth. Glia. 31(3):267-272, 2000 

  18.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 pp 464-465, 1997 

  19. 송경송. 도인과 도인기원식물의 외부 및 내부형태.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20. 안덕균. 원색 한국 본초도감. 서울, 교학사, p 568, 2003 

  21. 吳普. 神農本草經. 醫道韓國, p下品 32, 1976 

  22. 元秦喜 譯. 정교주역 동의보감. 제 5권, 서울, 신우문화사, p 259, 2005 

  23. 戴新民. 中國藥材學. 啓業書局, pp 987-988, 1974 

  24. 李時珍. 本草綱目. 宏業書局, 제 29권, pp 46-47, 1975 

  25. 박병희 譯.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pp 117-238, 2004 

  26. 焉哉乎也 譯. 금궤요략강화. 의방출판사, pp 382-398, 2003 

  27. Kim, M.S., So, H.S., Park, J.S. et al. Hwansodan protects PC12 cells against serum-deprivation-induced apoptosis via a mechanism involving Ras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MAP)kinase pathway, Gen Pharmacol. 34(4):227-235, 2000 

  28. Kim, M.S., Lee, J., Lee, K.M. et al. sunghyangjungisan protects PC12 cells against neurotoxicity elicited by withdrawal of tropic support via CRE activation. Immunoopharmacol Immunotoxicol. 24(1):97-117, 2000 

  29. 류지용. 십전대보탕이 신경교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30. 조현경. 자하거 및 수종 한약재가 척수 신경세포의 축색돌기 재생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31. 공대종. 도인추출액의 아세틸콜린 분해요소 억제작용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32. 윤인한. 도인이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가토의 죽상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33. 신경민, 박영미, 김인태, 홍선표, 홍정표, 이경태. Amygdalin의 Murine Macrophage Raw 264.7세포에서 in vitro 항염효과. 생약학회지 34(3):223-227 

  34. 최문범, 김선희. 도인이 가토의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0(1):1-11, 1995 

  35. 김상우. 도인, 홍화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6. 황문제. 도인 추출액의 콜린분해효소 억제작용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7. 문연자. 백서배양 Type-1 및 Type-2 별아교세포의 탐식 능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8. Alka A. Vyas, Ola Blixt, James C. Paulson. Potent glycan inhibitors of MAG enhance axon outgrowth in vitro. J Biol Chem. 280(16):16305-16310, 2005 

  39. Gao, Y. et al. Neurotrophins elevate camp toreach a threshold required to overcome inhibition by MAG through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dependent inhibition of phosphodiesterase. J Neurosci. 23(37):11770-11777, 2003 

  40. Norenberg, M.D. Astrocytes response to CNS injury. J. Neuropathol, Exp Neurol. 53(3):213-220. 1994 

  41. 김규원, 박정애, 전형오. 성상세포의 새로운 역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BRIC BioWave. 6(12), 2004 

  42. Norenberg, M.D., Martinez-Hernandez, D. Fine structural localization of glutamine synthetase in astrocytes of rat brain. Brain Res. 161(2):303-310, 1979 

  43. O'Callaghan, J.P. Use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s a biomarker. Biomed Environ Sci. 4(1-2):197-206, 1991 

  44. Eddelstone, M., Mucke, L. Molecular profiles of reactive astrocytes-implication for their role neurologic disease. Neurosci. 54(3):15-36, 1993 

  45. 황세진, 조원길, 권기환, 정호삼. 흰쥐 선조체의 일시적 국소뇌허혈 손상에서 GFAP 및 Vimentin의 면역반응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의대학술지 19(1):93-102, 1999 

  46. Dahl, A., Bignami, A. Immunocytochemical and immuno- fluorescense studies of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Brain Res. 61:279-293, 1973 

  47. Dahl, D., Bignami, A. Immunogenic properties of gliar fibrillary acidic protein. Brain Res. 116:150, 1976 

  48. Aquino, D.A., Hozumi, I., Chiu, F.C., Broanan, C.F. Quantative aspects of reactive gliosis. Neurochem Res. 17:877-885 

  49. 송계용, 유재형, 지제근. 뇌의 교세포종양에서 Gliar Fibrillary Acidic Protein의 출현에 관한 고찰. 대한 신경외과학회지 13(2):227-231, 1984 

  50. Dijkstra, S., Geisert, E.E. Jr, Dijkstra, C.D., Bar, P.R., Joosten, E.A. CD81 and microglial activation in vitro, proliferation, phagocytosi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J Neuroimmunol. 114:151-159, 2001 

  51. Ling, E.A., Leblond, C.P. Investigation of glial cells in semithin sections. II. Variation with age in the numbers of the various glial cell types in rat cortex and corpus callosum. J Comp Neurol. 149:73-81, 1973 

  52. Parnavelas, J.G., Luder, R., Pollard, S.G., Sullivan, K., Lieberman, A.R.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ltrastructural study of glial cells in the developing visual cortex of the rat.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01: 55-84, 1983 

  53. Geisert, E.E. Jr, Yang, L., Irwin, M.H. Astrocyte growth, reactivity, and the target of the antiproliferative antibody, TAPA. J Neurosci. 16: 5478-5487 

  54. Dijkstra, S., Geisert, E.J., Gispen, W.H., Bar, P.R., Joosten, E.A. Up-regulation of CD81 by reactive microglia and astrocytes after spinal cord injury in the rat. J Comp Neurol. 428:266-277, 2000 

  55. Geisert, E.E. Jr, Abel, H.J., Fan, L., Geisert, G.R. Retinal pigment epithelium of the rat express CD81, the target of the anti-proliferative antibody(TAPA). Invest Ophthalmol Vis Sci. 43:274-28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