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3, 2007년, pp.203 - 209  

이장원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  천상욱 (광주과학기술원 창업기술지원센터 캐러스) ,  한승관 (전주대학교 EM연구개발단) ,  류정 (전북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최동근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mote utilization of the Yangha (Zinger mioga Rosc.) as functional food and natural spices, and 95.93%, from the dried one 7.63%, and from powder 9.81%,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from the Yangha powder was 11.21%, and contents of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were 2.4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양하가 식용, 약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양하를 생양하, 건양하 및 분말앙하로 구분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 향기성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신료 및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실시하였다.
  • 양하 (Zinger mioga Rose)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ang MH, Song JC, Kim LS, Hur HS, Back NI (2001)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3):202-205 

  3. Chi HJ, Kim HS (1993)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V)-Essencial oils of Angelicae koreanae Radix.-Kor. J. Pharmacogn. 24(2):111-115 

  4. Cho YH, Lee BC, Kim JH, Pyo HB, Zhang YH, Park HD (2005) Effect of Artemisia anomala S. Moor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36(4):273-277 

  5. Choi SK, Suh YN (1993) Study on the clonal multiplication of Zingiber mioga ROSC through in vitro culture of shoot apex. 1. Effects of basal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and growth of plantlet. J. Korean Soc. Medical. 1:38-42 

  6. Fernaroli G (1975)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s 2. CRC press 

  7. Food composition table seventh revision (2007) Rural Resources Developmente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 143 

  8. Han SH, Woo NRY, Lee SD, Kim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49-55 

  9. Hiromo. I, Mori H, Kato K, Hosaka S, Aiso S (1982) Carcinogenicity examination of inflorescence of Zingiber mioga Roscoe. Cancer Lett. 12:203-208 

  10.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1-7 

  11. Jeong GS, Im SI, Jung BM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nstituents of native Yangha (Zingiber mioga) in Yeosu and Cheju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713-716 

  12. Kim HW, Huh KT, Choi CU (1989)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Nutmeg (Myristica fragrans Houttuyn)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1(6):760-765 

  13. Kim JS, Koh MS, Kim YH, Kim MK, Hong JS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2):141-149 

  14. Kim MJ, Kwon YS, Yu CY (2005)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piantie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4):194-198 

  15. Kim TS (1998) Natural plant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 Seoul. Korea. p. 223 

  16. Kurobayashi, Y, Sakakibara H, Yanai T, Yajima I, Hayashi K (1991)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myoga (Zingiber mioga). Agri. Biol. Chem., 55(6):1655-1657 

  17. Laubli MW, Brutel PA (1986) Determination of the oxidative stability of fats and oils: Comparison between the active oxigen method (AOCS Cd 12-57) and the rancimat method. JAOCS. 63:792-796 

  18. Lee JG, Lee CG, Back S, Kwon YJ, Jang HJ, Kwag JJ, Rhee MS, Lee GH (2006)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and Nutr. 29(2):161-168 

  19. Wei Q, Harada K, Ohmori S, Minamoto K, Wei C, Ueda A (2006) Toxicity study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mioga utilizing acute dermal irritation assays and the guinea-pig maximizing test. Journal of Occup Health. 48:480-4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