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추의 자엽 및 제 1엽 절편체들로부터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primary leaf explant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6 = no.86, 2007년, pp.822 - 824  

손보화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  박철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  안남영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  전주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  김차영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  오세찬 (경남과학고등학교) ,  이영훈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갈상완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이성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환경생명국가핵심 연구센터 및 PMBBRC)

초록

KN배지에서 상추 자엽과 제1엽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율을 품종별 비교 했을 때, 자엽에서 정통포기 품종이 9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향뚝적축면 품종이 52.3%, 청치마 품종이 35.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제1엽에서도 정통포기 품종이 8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향뚝적축면품종이 50.8%, 청치마 품종에서 30.3% 효운을 나타내었다. 재분화 효율이 가장 낮은 청치마 품종의 재분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재분화 배지를 사용하여 청치마 품종의 자엽과 제1엽의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비교했다. 자엽에서 재분화 효율은 Kl 배지와 SH 배지, NB 배지에서 거의 평균 77.2%의 높은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고, MSD3 배지에서는 그 보다 낮은 61.1%의 효율을 나타내어 모든 배지에서 KN배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제1엽에서도 SH 배지에서 8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Kl 배지에서 80.7%, NB 배지에서 67.4%, MSD$_3$배지에서 61.0%의 효율을 나타내어 KN배지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상추의 자엽과 제 1엽 절편체들로부터 효율적인 재분화는 정통포기 품종의 자엽을 K띠 배지에 배양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며, 청치마 품종에서는 제 1엽을 SH 배지와 Kl 배지에 배양했을 때 재분화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icient system for plan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primary feat explants of lettuce was established. Plant regeneration efficiency was shown 91.3% from cotyledon and 85.9% from primary leaf explants of variety 'Jungtongpogi' in KN medium. Plant regeneration efficiency was also estim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상추의 자엽과 제 1엽 절편체들로부터 재분화 효율에 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식물생명공학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형질전환체 상추 개발을 위한 전 단계로서 상추의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한다.
  •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 기본배지에 재분화된 shoot를 배 양 했을 때 모든 식물체에서 건강한 뿌리가 형성되었으며, 비슷한 결과들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상추로부터 보고 되었다[4, 11, 14, 20]. 따라서 본 연구는 상추 종자 파종 후 6일째와 10일째의 유묘가 자엽과 제1엽 절편체의 실험재료로 사용하기에 적당했으며, 또한 자엽이나 제1엽의 절편체들로부터 재분화 효율을 높힐 수 있는 배지를 규명하였으며 개화된 완전한 식물체들을 성장시킴으로써 이 기술을 이용하여 AgrobacferM을 매개로 하는 높은 효율의 형질전환체 상추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실험을 확립하였다.
  • 재분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난 청치마 품종은 국내 연구자들에게 Agrobacterium- 이용한 형질전환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이며[4, 7, 11, 14, 2이, 이 품종에 대한 재분화 효율이나 형질전환 효율에 관해서는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재분화 효율이 낮은 청치마 품종을 대상으로 다양한 배지를 사용하여 재분화 효율을 높이는 최적의 조건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conero, R. 1983. Regeneration of plants from cell suspensions of Lactuca saligna, Lactuca sativa, and Lactuca serriola. HortScience 18, 305-307 

  2. Brown, C., J. A. Lucas and J. B. Power. 1987.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 of a wild lettuce species (Lactuca saligna L.). Plant Cell Rep. 6, 180-182 

  3. Campbell, R. M. 1984. Lettuce (Lactuca sativa L.). Phytopathology News 17, 86 

  4. Cho, E. A., C. A. Lee, Y. S. Kim, S. H. Baek, B. G. de los Reyes and S. J. Yun. 2005. Expression of -tocopherol methyltransferase transgenic improves tocopherol composition in lettuce (Lactuca sativa L.). Mol. Cells 19, 16-22 

  5. Choi, U. O., M. S. Yang, M. S. Kim and J. S. Eun. 1994. Genetic transforma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1, 55-58 

  6. Chung, J. D., C. K. Kim and K. M. Kim. 1998. Expression of $\beta$ -glucuronidase (GUS) gene in transgenic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its progeny analysis.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5, 225-229 

  7. Chung, J.-D., B.-J. Lee, H.-S. Lee and C.-K. Kim. 2000. Transformation of chinese cabbage glutathione reductase (GR) gene into lettuce (Lactuca sativa L.) with particle bombardment.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7, 475-478 

  8. Curtis, I. S., C. He, R. Scott, J. B. Power and M. R. Davey. 1996. Genomic male sterility in lettuce, a baseline for the production of F1 hybrids. Plant Sci. 113, 113-119 

  9. Doershug, M. R. and C. O. Miller. 1967. Chemical control of adventitious organ formation in Lactuca sativa explants. Amer. J. Bot. 54, 410-413 

  10. Kadkade, P. and M. Seibert. 1977. Phytochrome-regulated organogenesis in lettuce tissue culture. Nature 270, 50-51 

  11. Kim, M. J., S. H. Baek, N. H. Yoo and S. J. Yun. 2000. Transformation of Arabidopsis gamma-tocopherol methytransferase into lettuce (Lactuca sativa L.).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7, 435-439 

  12. Kim, Z.-H. 2004. Inheritance and characteristics of a new dwarf mutant in lettuce. J. Kor. Soc. Hort. Sci. 45, 277-280 

  13. Koevary, K., L. Rappaport and L. L. Morris. 1978. Tissue culture propagation of head lettuce. HortScience 13, 39-41 

  14. Lee, Z. A., H. Y. Kim, K. H. Chung and Y. D. Park. 2004. Introduction of two types of human ferritin gene into lettuce plants. J. Kor. Soc. Hort. Sci. 45, 330-335 

  15. McCabe, M. S., U. B. Mohapatra, S. C. Debnath, J. B. Power and M. R. Davey. 1999. Integration, expression and inheritance of two linked T-DNA marker genes in transgenic lettuce. Mol. Breed. 5, 329-344 

  16. Michelmore, R. W. and J. A. Eash. 1986. Lettuce, pp. 512-551, In Evans, D. A., W. R. Sharp, P. V. Ammirato and Y. Yamada (eds.), Handbook of plant cell culture, Vol. 4,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7. Michelmore, R., E. Marsh, S. Seely and B. Landry. 1987. Transforma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mediat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Plant Cell Rep. 6, 439-442 

  18.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er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arum 15, 473-497 

  19. Ryder, E. J. 1979. Leafy salad vegetables. pp. 13-94. AVI Publishing, Westport. Conn 

  20. Ryu, J. A., C. K. Kim, H. S. Lee, K. B. Choi and D. C. Yang. 2001. Transformation of PAT gene into lettuce (Lactuca sativa L.)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8, 197-200 

  21. Sasaki, H. 1979.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development of vegetable crops. IV. Effect of various media on the adventitious bud formation of lettuce hypocotyl tissue cultured in vitro. J. Japan Soc. Hortic. Sci. 47, 479-484 

  22. Sasaki, H. 1979.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development of vegetable crops. VI. Effect of several auxins, cytokinins and cytokinin-ribosides on the adventitious bud formation of lettuce hypocotyl tissue cultured in vitro. J. Japan Soc. Hortic. Sci. 48, 67-72 

  23. Sasaki, H. 1982.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adventitious bud formation of lettuce hypocotyl tissue cultured in vitro. J. Japan Soc. Hortic. Sci. 51, 187-194 

  24. Schenk R. V. and A. C. Hildebrandt. 1972. Medium and techniques for induction and growth of monocotyledonous and dicotyledonous plant cell cultures. Can. J. Bot. 50, 199-204 

  25. Webb, D. T., L. D. Torres and P. Fobert. 1984. Interactions of growth regulators, explant age and culture environment controlling organogenesis from lettuce cotyledons in vitro. Can. J. Bot. 62, 586-590 

  26. Wroblewski, T., A. Tomczak and R. Michelmore. 2005. Optimization of Agrobacterium-mediated transient assays of gene expression in lettuce, tomato and Arabidopsis. Plant Biotech. J. 3, 259-2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