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황(麻黃) 추출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phedras Herba o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원문보기

大韓藥鍼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herbal-acupuncture, v.10 no.2 = no.23, 2007년, pp.57 - 65  

송성민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임형호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권기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임태진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부 생명공학과) ,  송윤경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Ephedrae Herba extract. Methods :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total antioxidant response(TAR)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s, total phenolic content, DPPH rad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마황의 항산화능을 규명하는 연구는 드물어서 본연구를 토대로 마황 혹은 마황이 포함된 처방의 임상적인 활용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체중감량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효과에 대한 다양한 임상보고가 있으며, 임상에서 비만치료에 다용되고 있는 마황23,24,25,26)이 항산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계획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마황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간접적인 방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총 항산화능(TAC), 총 항산화 반응<TAR), DPPH 유리 자유기 소거작용에 대한 실험 및 직접적인 방법으로 TOARS 분석을 통해마황의 지질과산화억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외 천연물항산화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arative disease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7915-7922 

  2. Dean RT, Gieseg, Davies MJ. Reactive species and their accumulation on the radical damaged proteins. Trends Biochem. Sci. 1993;18:437-41 

  3. McCord, J. M. an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 ein(hemocuprein). J. Biol. Chem. 1969;244:6049-6055 

  4. Branen AL.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1975;52:59-63 

  5. Hahm TS, King DL, Min DB. Food antioxidants. Food and Biotechno-logy. 1993;2:1-8 

  6. 석지혜, 김미경, 주재원, 한지숙, 박정현. 녹차 폴리페놀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 지질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2006;30(3):217-25 

  7. 소은미, 정은주, 신장철, 김성현, 백순옥, 김영만, 김일광. 보이차(Pu-erh tea)의 항산화 효과.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2006;19(1):39-44 

  8. 김영균, 양기호, 조수인. 석곡의 항산화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53-60 

  9. 정광희, 이영종, 성낙술. 박하의 항산화효능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103-112 

  10. 조수인, 오원우. 황금의 항산화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3):67-74 

  11. 김상현, 김연섭. 葛根의 뇌해마 신경세포 손상보호와 항산화 효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2):416-425 

  12. 명성화, 김연섭. 대황의 항산화와 신경세포손상 보호효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3):647-665 

  13. 김경호, 이송실, 백진웅, 이상재, 김광호. 산사가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8(2):65-80 

  14. 박선영, 서정민, 백정한. 가미소건중탕이 D-galactose로 노화를 유발시킨 백서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1):153-171 

  15. 김기홍, 정국훈, 김광호, 고성규. 오자연종환이 노화유발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49-63 

  16. 한병삼, 배영춘, 송승연, 박혜선, 이재흥, 김경요. 청심연자탕의 항산화효과와 기전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1):130-147 

  17. 박성민, 임명현, 이준희, 박재현. 보중익기탕과 육미지황탕이 노화촉진생쥐(SAM)의 간장내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3;18(4):175-191 

  18. 임창수, 김갑성. 작약 약침액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과학회지. 1997;14(2):191-198 

  19. 전경택, 금동호, 이명종. 實脾飮이 Zucker rat의 비만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3;13(2):69-85 

  20. 김봉찬. 小靑龍湯이 Zucker rat의 비만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12(4):1-10 

  21. Meyer AA, Kundt G, Lenschow U, Schuff-Werner P, Kienast W. Improvement of early vascular chang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children after a six-month exercise program. J Am Coll Cardiol. 2006 Nov 7;48(9):1865-1870 

  22. Newaz MA, Yousefipour Z, Oyekan A. Oxidative stress-associated vascular aging is xanthine oxidase-dependent but not NAD(P)H oxidase-dependent. J Cardiovasc Pharmacol. 2006 Sep;48(3):88-94 

  23.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한국에서 비만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문헌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2006;16(3):65-81 

  24. Boozer CN, Daly PA, Homel P, Solomon JL, Blanchard D, Nasser JA, Strauss R, Meredith T. Herbal ephedra/caffeine for weight loss: a 6-month randomized safety and efficacy tri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 May;26(5):593-604 

  25. Boozer CN, Nasser JA, Heymsfield SB, Wang V, Chen G, Solomon JL. An herbal supplement containing Ma Huang-Guarana for weight loss: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 Mar;25(3):316-324 

  26. Coffey CS, Steiner D, Baker BA, Allison DB.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of a product containing ephedrine, caffeine, and other ingredients from herbal sources for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absence of lifestyle treatmen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 Nov;28(11):1411-1419 

  27. 박영기, 이위영, 안진권. 산림자원을 이용한 항산화 소재 개발 연구동향. Trend in Agreiculture & Life Science, TALS 2006;4(1):1-13 

  28. Hovius, R., H. Lambrechts, K. Nocolay and B. de Kruijff. Improved methods to isolate and subfractionate rat liver mitochondria. Lipid composi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 Biochim. Biophys. Acta. 1990;1021:217-226 

  29.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1999;26:1231-7 

  30. Erel, O. A novel automated direct measurement method for total antioxidant capacity using a new generation, more stable ABTS radical cation. Clin. Biochem. 2004;37:277-285 

  31. Benzie, I.F. and J.J. Strain. Ferric reduci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1999;299:15-27 

  32. Erel, O. A novel automated method to measure total antioxidant response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s. Clin. Biochem. 2004;37:112-119 

  33. Singleton, V.L. and R. Orthofer.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1999 

  34. Malterud, K.E., T.L. Farbrot, A.E. Huse and R.B. Sund.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s. Pharmacology 1993;47:77-85 

  35. Stacey, N.H. and C.D. Klaassen.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ithout prevention of cellular injury in isolated rat hepatocytes. Toxicol. Appl. Pharm. 1981;58:8-18 

  36. Lowry, O.H., N.J. Rosebrough, A.L. Farr and R.J. Randall. Protein measurements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51;193:265-275 

  37. Beckman, K.B., and Ames, B.N.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 Rev. 1998;78:547-581 

  38. 신부안 외. 노인의학 I. 광주: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1981;18-23 

  39. Harman, D.: Aging;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chemistry. J. Gerontology, 1956;11:298-298 

  40. Barry, H., Okezie, I. A. and Ellis, H.: DNA and Free Radical. Ellis Horwood, West Sussex, England, 1993;1 

  41. 김호철. 한약약리학. 집문당. 2001;63-66 

  42. 임경아, 조여원. 마황(麻黃)추출물이 흰쥐에서 체지방 조직의 UCP2 발현과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학술대회지. 2002;88-88 

  43. 정수영. 선모의 청각세포에서 항산화 효과와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치아우식 활성능 억제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4. 강승호. 女貞子, 旱蓮草 및 二至丸의 항산화활성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5. 유태원. 숙지황의 GC-1 spg Cell에 대한 항산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6. 박정열. 녹용의 GC-1 spg Cell에 대한 항산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7. 김현구, 나경민, 예수향, 한호석.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4;19(5):484-490 

  48. 최춘환. 인동의 항산화 활성성분.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9. 이승은, 성낙술, 방진기, 강승원, 이성우, 정태영. 인삼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와 항산화 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3;11(3):236-245 

  50. 정성제, 이진희, 송효남, 성낙술, 이승은, 백남인.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농화학회지. 2004;47(1):135-140 

  51. 차배천, 임태진, 이광회, 이승배. 오배자 성분이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0;8(2):157-164 

  52. 이경애, 정혜영. 전통 한약탕제인 녹용대보탕의 생리활성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33(1):28-33 

  53. 조정숙. 소전통락편(消栓通絡片)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작용. 동국의학. 2004;11(1):277-286 

  54. 김진원. 三精丸의 항산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5. 조수인. 四君子湯의 抗酸化 ?果.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56. 안봉전, 이진태, 이창언, 손준호, 이진영, 박태순, 이인철, 송미애, 천순주, 지선영.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과 구성약재의 암세포 독성, 항균 및 항산화 효과. 대한대한본초학회지. 2005;20(4):41-51 

  57. Sung Yong Kim, Kun Ho Son, Hyun Wook Chang, Sam Sik Kang, Hyun Pyo Kim. Antiarthritic Activity of Twenty Seven Plant Extracts.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지. 1997;99-99 

  58. 김대호, 박진홍, 김정화, 김철희, 유진현, 권민철, 이현용. 저온 추출 공정에 의한 마황과 복분자의 면역 활성 증진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5;13(3):81-86 

  59. 김현미, 이향숙, 김정선, 조정제, 유영천, 안현종, 최훈, 임강현. 麻黃의 사람 비점막 섬유아세포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중 MCP-2 및 MCP-3 분비에 대한 효과. 대한대한본초학회지. 2002;17(1):29-38 

  60. 주영승, 고병섭. 동의보감 당뇨 처방에 사용되는 한약재에서 인슐린성 물질(Insulin-Like substance)의 탐색. 한국농화학회지. 2002;45(1):47-52 

  61. 김혜경, 최종원, 이정규, 김순신. 계작지모탕의 항염 진통효과. 생약학회지. 1995;26(1):96-97 

  62. 이성임, 정명현, 문영희. 오약순기산의 소염 진통작용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994;25(1):100-100 

  63. 이종년. 麻黃定喘湯이 I 型 IV型의 알러지 反應과 肺損傷에 미치는 影響.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4. 장재호. 麻黃附子細辛湯이 실험동물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