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걷기운동이 폐경기 비만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요소와 사회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lk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Psychosocial Outcome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4, 2007년, pp.519 - 528  

안숙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moderate-intensity,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psychosocial outcome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Methods: With a quasi-experimental pre- and post-test design, a total of 36 postmenopausal ob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체육학계에서는 걷기운동을 건강인의 체력 향상과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선택되는 반면, 다양한 여성건강연구 프로젝트에서 시행된 걷기운동은 중년과 노년여성의 비만조절과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발생률 감소에 초점을 두고 중재로 시행되어 이에 대한 긍정적 효과(Albright & Thompson, 2006; Kim, 2003, 2004; Lee, 2005)를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걷기 운동이 폐경기 비만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요소를 경감시키고 정신기능을 향상시키는 여성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로서 적합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건강관리를 위해 주 4-5회, 12주간 걷기를 통한 유산소운동을 실시호]■여, 운동을 시행 받은 폐경기 비만여성군과 시행받지 않은 폐경기 비만여성군 간에 심혈관계 위험요소로 신체구성과 혈중지 질농도를 비교하고, 사회심리적 결과로 자존감과 우울을 비교함으로서 걷기 운동이신 체 및 정신건강 향상에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검증하여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2주간의 걷기를 통한 유산소운동이 폐경기 비만 여성에게 심혈관계 위험요소와 사회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함이다.
  • 본 중재프로그램은 폐경기 비만여성의 체중감소와 심혈관계 위험요소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12주간 걷기를 통한 유산소운동이었다. 프로그램은 체육학과 교수와 운동처방사의 자문을 받아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운동 시간은 1일 평균 40분이 소요되었다.
  •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여성에게 12주간 걷기를 통한 유산소 운동이 심혈관계 위험요소에는 효과가 없었고, 사회 심리적 결과변수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며 논의하고자 한다.
  • 예를 들면, 운동 시작시 가족의 지지를 받고, 운동군 내 소집단을 결성하여 그들간의 집단 역동을 갖추게 하여 서로 출석을 격려하여 운동 참여에의 즐거움과 동질감을 갖도록 돕는 방법이 있겠다. 또한 소집단상담을 통해 운동효과에 대한 성공 및 실패 사례 토론을 통해 운동 효과에 대한 간접적인 목표감과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운동참여 경험이 운동의도를 높인 Lee(2005)의 연구에서처럼 운동참여 경험을 추후 운동 지속의 동기화 요인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걷기 운동을 통한 유산소운동을 제공한 후 심혈관계 위험요소와 사회 심리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유사실험설계이다. 총 36명의 여성을 임의 표집한 후 16명은 운동군에, 20명은 대조군에 배정한 후 1일 40-45분, 주 4-5회, 12주간 걷기 운동을 통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쿠퍼 클리닉에서 추천한 초보자를 위한 12주 걷기운동(Cooper aerobic center, 2005)에 따라 걷기운동 중재원칙을 수립하였다.

가설 설정

  • . 걷기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폐경기 비만여성군(이하 실험군이라 칭함)과 참여하지 않은 비만여성군(이하 대조군이라칭함) 간 신체구성(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둔부 비)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실험군과 대조군 간 혈중지질농도(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저밀도지단백)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실험군과 대조군 간 자존감과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bright, C., & Thompson, D. L. (2006). The effectiveness of walking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J Womens Health (Larchmt), 15(3), 271-280 

  2. 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Seoul: Hanmi Medicine 

  3. An, M. Y. (2000). The effect on fat, TCHO, glucose and TG of middle-aged women by regular exercise. Korean J Physical Educ, 39(2), 351-358 

  4. Asikainen, T. M., Kukkonen-Harjula, K., & Miilunpalo, S. (2004). Exercise for health for early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Sports Med, 34(11), 753-778 

  5. Carels, R. A., Darby, L. A., Cacciapaglia, H. M., & Douglass, O. M. (2004). Reduc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through a lifestyle change intervention. J Womens Health (Larchmt), 13(4), 412-426 

  6. Choe, E. T., & Lee, S. J. (2003). The effect of postmenopausal program of osteoporosis protection exercise on the density of bone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 women. Korean J Physical Educ, 42(5), 727-734 

  7. Choi, J. A., & Choe, M. A. (1999). Effect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menopausal discomforts, blood lipids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Seoul J Nurs, 13(2), 221-242 

  8. Choi, S-K., & Nho, H-S. (2002). The effect of the exercise program for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Physical Educ, 41(4), 627-638 

  9. Cooper aerobic center. (2005). Walk for life-A 12-week program for beginners. Retrived April 30, 2005, from the Cooper Aerobic Center Web site: http://www.cooperaerobics.com/tips/WalkForLife.aspx 

  10. Committee of Hyperlipidemia Treatment Guide. (2000). Diagnosis and Treatment. Seoul: Hanyihak 

  11. Garaulet, M., Perez-Llamas, F., Baraza, J. C., Garcia-Prieto, M. D., Fardy, P. S., Tebar, F. J., & Zamora, S. (2000). Body fat distribution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metabolic and anthropometric variables. Nutr Health Aging, 6(2), 123-126 

  12. Heim, D. L., Holcomb, C. A., & Loughin, T. M. (2000). Exercise mitigates the association of abdominal obesity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remenopausal wome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Diet Assoc, 100(11), 1347-1353 

  13. Heyward, V. H. (2002). Advanced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4th ed.). Seoul: Hanmi Medicine 

  14. Holcomb, C. A., Heim, D. L., & Loughin, T. M. (2004). Physical activity minimizes the association of body fatness with abdominal obesity in white, premenopausal wome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m Diet Assoc, 104(12), 1859-1862 

  15. Kim, I. H. (2002).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exercise-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on obesity, blood lipids, and self-esteem of the obese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2(6), 844-854 

  16. Kim, I. H. (2004).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hormones,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middleaged obese women according to beta 3-adrenergic receptor gene polymorphisms. J Korean Acad Nurs, 34(6), 1108-1116 

  17. Kim, M. H. (2006). Effect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on the mental health of the postmenopausal women. Korea Sport Res, 17(2), 731-742 

  18. Kim, Y. S., & Park, C. C. (2005).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muscle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of menopausal obese wome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12(4), 345-351 

  19.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ety (2003).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Kuller, L. H., Kinzel, L. S., Pettee, K. K., Kriska, A. M., Simkin-Silverman, L. R., Conroy, M. B., A verbach, F., Pappert, W. S., & Johnson, B. D. (2006). Lifestyle interven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 changes over 18 month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women on the move through activity and nutrition (WOMAN study) clinical trial. J Womens Health (Larchmt), 15(8), 962-974 

  21. Lee, J. I. (2006). Effects of walking exercise intensities on fatigue, serum lipids and immune function among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6(1), 94-102 

  22. Lee, K. J. (2005). Effects of a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J Korean Acad Nurs, 35(6), 1248-1257 

  23. Major, G. C., Piche, M. E., Bergeron, J., Weisnagel, S. J., Nadeau, A., & Lemieux, S. (2005). Energy expenditure from physical activity and the metabolic risk profile at menopause. Med Sci Sports Exerc, 37(2), 204-212 

  24. Morris, J. N., & Hardman, A. E. (1997). Walking to health. Sports Med, 23(5), 306-332 

  2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Statistics for causes of death. http://kosis.nso.go.kr 

  26. Nicklas, B. J., Dennis, K. E., Berman, D. M., Sorkin, J., Ryan, A. S., & Goldberg, A. P. (2003). Lifestyle intervention of hypocaloric dieting and walking reduces abdominal obesity and improves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s in obese, postmenopausal, African-American and Caucasian wome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8(2), 181-189 

  27. Ozbey, N., Sencer, E., Molvalilar, S., & Orhan, Y. (2002). Body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re- and postmenopausal obese women with similar BMI. Endocr J, 49(4), 503-509 

  28. Park, H. S., Kim, S. K., & Cho, G. Y. (2003).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479-488 

  29. Rhee, M-K., Lee, Y-H., Park, S-H., Son, C-H., Chung, Y-J., Hong, S-K., Lee, B-K., Chang, P., & Yoon, A-R. (1995).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Korean Version(K-BDI):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orea J Psychopathol, 4(1), 77-95 

  30. Ross, R., Janssen, I., Dawson, J., Kungl, A. M., Kuk, J. L., Wong, S. L., Nguyen-Duy, T. B., Lee, S., Kilpatrick, K., & Hudson, R. (2004). Exercise-induced reduction i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es Res, 12(5), 789-798 

  31. Shin, S. A. (2004). Effect of dance sports program on health-related fitness profiles,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2. Sim, J. I. (2006). The effects of dance sports on physical profile and self-concept among obese middle 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3. Stefanick, M. L., Mackey, S., Sheehan, M., Ellsworth, N., Haskell, W. L., & Wood, P. D. (1998). Effects of diet and exercise in men and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levels of HDL cholesterol and high levels of LDL cholesterol. N Engl J Med, 339(1), 12-20 

  34. Sternfeld, B., Wang, H., Quesenberry, C. P. Jr., Abrams, B., Everson-Rose, S. A., Greendale, G. A., Matthews, K. A., Torrens, J. I., & Sowers, M. (2004). Physical activity and changes in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in midlife women: findings from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Am J Epidemiol, 160(9), 912-922 

  35. Trost, S. G., Owen, N., Bauman, A. E., Sallis, J. F., & Brown, W. (2002). Correlates of adul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review and update. Med Sci Sports Exerc, 34(12), 1996-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