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인두 감각자극이 비위관 삽입 뇌졸중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wallowing with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in Nasogastric Tube Inser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4, 2007년, pp.558 - 567  

김명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미영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수술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opharyngeal sensory stimulation on a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ore-pharyngeal swallowing functions, and aspiration pneumonia symptoms with nasogastric tube inser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인두 감각자극이 비위관 삽입 뇌졸중환자의 구강섭취기능, 구강-인두 연하기능, 흡인성 폐렴증상 발현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비위관 삽입 뇌졸중환자에게 구강인두 감각감각자극을 제공하여 연하기능 향상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 본 연구는 비위관 삽입 뇌졸중환자에게 구강인두 감각자극을 제공하여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비위관 삽입 뇌졸중환자의 질병 조기에 구강 인두 감각자극을 제공하여 구강섭취기능, 구강-인두 연하기능을 향상시키고, 흡인성 폐렴증상 발현율을 낮추기 위해 수행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이다. 자료수집은 2006년 4월부터 28일부터 11월까지 17일까지 8개월간이었으며 연구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비위관을 삽입한 환자로서 연령, 질병분류, GCS, 비위관 삽입기간의 변수를 짝짓기 하여 실험군, 대조군 각각 16명씩 총 32명이었다.
  •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Kim, 2002). 연구에서는 구강 섭취 기능과 구강-인두 연하기능, 흡인성 폐렴증상 발현율을 의미한다. 구강섭취기능은 Crary 등(2005)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 능력을 6등급으로 나누어 개발한 구강섭취기능 척도로 측정한 점수, 구강-인두 연하기능은 Kang(1988)이 개발한 도구에 삼킴능력을 제외하고, 볼운동을 추가하여 작성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 흡인성 폐렴증상 발현율은 구강섭취를 시도하여 흡인이 발생하고, 발열이나 X-선상 폐엽의 폐포성 침윤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 본 연구자는 1차 의무기록지를 통해 활력징후와 비위관 삽입 기간을 확인한 후, 다른 외상성 질환의 유무와 질병의 진행 여부에 대해 주치의와 상의한 후 입원 대상자를 선정하고,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여 연구 참여동의서를 받았다. 의무기록지와 대상자 혹은 가족의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자 및 결과즉정 연구보조원 1인이 결과변인을 사전조사하고 2주 경과후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자는 경력 3년 이상의 언어치료사 1인에게 1시간 30 분씩 주 2회 2주동안 1:1 훈련을 통해 구강인두 감각자극 중재 기법의 적용과 구강-인두 연하기능 측정에 대해 교육받았다.
  • 본 연구자는 구강인두에 감각자극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2006년 2월부터 2개월에 걸쳐 문헌고찰과 전문가 조언 및 감각자극 방법에 대한 임상적용을 통해 구강인두 감각자극 방법을 완성시켰으며,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 본 연구는 구강인두 감각자극 중재기법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함으로서 간호 실무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신경외과 간호 지식체의 범위를 확장시킨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비위관을 삽입한 환자 중 질병발생 후 45일이내의 대상자에게 연하에 관여하는 근육에 표면감각 자극을 통해 심부근 감각자극을 함께 제공하여 연하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목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볼 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혀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목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입술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저작능력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 . 제 1 가설 : “구강인두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 구강섭취기능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의 구강섭취기능 점수 전후차는 실험군이 L06점, 대조군이 .50점이었으며,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은 기각되었다(t=-L434, p=, 162).
  • . '감각자극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중재전후의 볼 운동 조절 점수 차이가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hrns, R., Lang, T., Muschweck, H., Richter, T., & Hotbeck, M. (1997).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in child and adolescent.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5, 487-491 

  2. Carnaby, G., Hankey, G. J., & Pizzi, J. (2006). Behavioral intervention for dysphagia in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Neurol, 5(1), 16-17 

  3. Crary, M. A., Giselle, D., Carnaby, M., & Groher, M. E. (2005). Initial psychometric assessment of a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r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86, 1516-1520 

  4. Easterling, C., Grande, B., Kern, M., Sears, K., & Shaker, R. (2005). Attaining and maintaining isometric and isokinetic goals of the Shaker exercise. Dysphagia, 20(2), 133-138 

  5. Ghez, C., & Sainburg, R. (1995). Proprioceptive control of interjoint coordination. Can J Physiol Pharmacol, 73, 273-284 

  6. Hansson, T., & Brismar, T. (1999). Tactile stimulation of the causes bilateral cortical activation: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study in humans. Neurosci Lett, 271(1), 29-32 

  7. Hayes, J. C. (1998). Current feeding policies for patients with stroke. Br J Nurs, 7(10), 580-588 

  8. Huang, J. Y., Zhang, D. Y., Yao, Y., Xia, Q. X., & Fan, Q. Q. (2006). Training in swallowing prevents aspiration pneumonia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J Int Med Res, 34(3), 303-306 

  9. Indredavikl, B., Bakke, F., Siordadal, S. A., Rokseth, R., & Hahein, L. L. (1999). Treatment in a combined acute and rehabilitation stroke unit - which aspects are most important. Stroke, 30(5), 917-923 

  10. Jang, G. H., & Jung, H. J. (2005). Oral anatomy. Seoul: Gomunsa 

  11. Johansson, B. B. (2000). Brain plasticity and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31, 223-230 

  12. Kaas, J. H. (1991). Plasticity of sensory and motor maps in adult mam mals. Annu Rev Neurosci, 14, 137-167 

  13. Kang, S. G., & Lee, Y. S. (1998). Training program planning to fac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Communication Disorder, 21(1), 197-218 

  14. Kang, H. S. (1988). the Effect of sensorimotor stimulation for ingestion in dysphagic patients who have nonprogressive brain damage. J Korean Acad Nurs, 18(2), 211-219 

  15. Kim, J. G., Ha, J. S., & Byun, Y. J. (1992). A preliminary study on the functional recovery after acute stooke (Assessed by Barthel ADL index). J Korean Neurol Assoc, 10(3), 298-307 

  16. Kim, M. H., Kim, Y. H., Kim, Y. M., Joo, Y. H., Lee, Y. M., & Jung, Y. H. (2001). A study on the applying of training program to facilitate deglu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13(1), 136-147 

  17. Kim, H. D. (2002).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Inje Medical Journal, 23(5), 189-195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for 2004 

  19. Kosenvmse, S. K., & Starke, U. (2005). Improv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hagia. Age Ageing, 34(6), 587-593 

  20. Lee, Y. S., & Kang, S. G. (1998). The effects of oral and pharyngeal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on swallowing improvement for strokes. J Speech Hear Disord, 7(2), 153-168 

  21. Logemann, J. A. (1998).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2nd Ed Austin: Pro-Ed 

  22. Marmun, K., & Lim, J. (2005). Role of nasogastric tube in preventing aspiration pneumonia in patients with dysphagia. Singapore Med J, 46(11), 627-631 

  23. Noh, D. W. (2004).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in improving swallowing ability of th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4. Park H. J. (2001) The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for ingestion in dysphgic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uwon 

  25. Ring, H., Feder, M., Schwartz, J., & Samuels, G. (1997). Functional measures of first-stroke rehabilitation in patients: Usefulnes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otal score with a clinical rationale. Arch Phys Med Rehabil, 78, 630-635 

  26. Rosenbek, J. C., Roecker, E. B., Wood, J. L., & Robbin, J. (1996). Thermal application reduces the duration of stage transition in dysphagia after stroke. Dysphgia, 11 (4), 225-233 

  27. Se, W. H., Oh, J. H., Nam, Y. H., & Sung, I. Y. (1994). Clinical Study of Aspiration Pneumonia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Rehabil Med, 18(1), 52-57 

  28. Shaker, R., Easterling, C., Kern, M., nitschke, T., Massey, B., Daniels, S., Grande, S. B., Kazandjian, M., & Dikeman, K. (2002). Rehabilitation of Swallowing by exercise in tube- fed patients with pharyngeal dysphagia secondary to abnormal UES opening. Gasroenterology, 122(5), 1314-1321 

  29. Wojner, A. W., & Alexandrov, A. V. (2000). Predictors of tube feeding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ACN Clin Issues, 11(4), 531-5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