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04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EBS 수능 강의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EBS의 협조를 얻어 EBS 수능 강의 시스템에 실제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즉, 강좌 개설 현황이나 강사 배치 현황, 회원 현황 등을 분석하였고, 강좌 이용 현황을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사설 온라인 학원의 수강료와 비교하여 EBS 수능 강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였다. 아울러, 게시판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상담원 배치의 적절성을 진단하였으며, 2008년 새 대입제도 도입에 따른 EBS의 대응 방안을 진단하기 위해 논술 이용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EBS 수능 강의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EBS의 협조를 얻어 EBS 수능 강의 시스템에 실제로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즉, 강좌 개설 현황이나 강사 배치 현황, 회원 현황 등을 분석하였고, 강좌 이용 현황을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사설 온라인 학원의 수강료와 비교하여 EBS 수능 강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였다. 아울러, 게시판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상담원 배치의 적절성을 진단하였으며, 2008년 새 대입제도 도입에 따른 EBS의 대응 방안을 진단하기 위해 논술 이용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EBS lecture program for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NSAE) that started from April 1, 2004. To this end, it obtained and analyzed related data which are archived in the EBS NSAE lecture system under the assistance from EBS. More spe...
This study aims at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EBS lecture program for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NSAE) that started from April 1, 2004. To this end, it obtained and analyzed related data which are archived in the EBS NSAE lecture system under the assistance from EBS. Mor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practices of lecturer placement and student members. Also, the practices of use of lectures were analyzed by years, and the economical value from the use of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was estim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tuitions for private online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diagnosed the properness in counselor place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e of the web forum, and analyzed the practices of the nonsul (essay-type examination)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oping strategies of EBS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for 2008 university entranc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ways to improve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This study aims at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EBS lecture program for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NSAE) that started from April 1, 2004. To this end, it obtained and analyzed related data which are archived in the EBS NSAE lecture system under the assistance from EBS. Mor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practices of lecturer placement and student members. Also, the practices of use of lectures were analyzed by years, and the economical value from the use of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was estimat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tuitions for private online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diagnosed the properness in counselor place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e of the web forum, and analyzed the practices of the nonsul (essay-type examination)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oping strategies of EBS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for 2008 university entranc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ways to improve the EBS NSAE lecture progra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나타났다(3)[4][5][10][11][12].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지난 2년간 추진되어 온 EBS 수능 강의 사업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올바른 평가를 위해 EBSi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능 강의 담당 강사와 현장 교원의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EBSi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타났다(3)[4][5][10][11][12].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지난 2년간 추진되어 온 EBS 수능 강의 사업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올바른 평가를 위해 EBSi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능 강의 담당 강사와 현장 교원의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EBSi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지난 2년간 추진되어 온 EBS 수능 강의 사업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올바른 평가를 위해 EBSi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능 강의 담당 강사와 현장 교원의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EBSi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BSi에 누적된 로그를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 출연 강사와 현장 교사에게 제시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앞서 제기한 바와 같이 학교 현장 교사가 EBS 수능 강의의 사무 보조원으로 전락하고 있다⑹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하지만, 정부에서는 EBS 수능 강의가 사교육비 경감 효과가 있음을 내세워 EBS 수능 서비스를 지속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쟁을 줄이기 위해 EBS 수능 강의에 대한 실제적인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고, EBS 수능 강의의 개선 방안을 EBS 강사와 현장 교사 면담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BSi에 탑재된 수능 강의를 유료화할 경우 실제 사용자가 지불해야할 수강료를 다음과 같이 추산하였다.
가설 설정
다섯째, 내신 강화를 위해 내신 강좌를 크게 증설해야 한다. EBS 수능 강의가 수능을 앞둔 고3이나 재수생뿐만 아니라 고1이나 예비 고등학생인 중학생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영역을 분석하여 중급 이상의 강좌뿐만 아니라 초급수준이나 기초 수준의 강좌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단순히 호기심에 의한 클릭이 아닌 학습을 위한 클릭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안 방법
이 중 핵심 과제는 사교육 수요를 단기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EBS 수능 방송과 인터넷 강의를 확대하여 수능 과외를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EBS 수능 강의 프로그램 제작 시 사전 기획 단계에서부터 수능 시험 출제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간밀히 협조하여 수능 강의를 제작. 방송하고, 방송한 내용이 수능 시험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EBS 수능 강의 프로그램 제작 시 사전 기획 단계에서부터 수능 시험 출제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간밀히 협조하여 수능 강의를 제작. 방송하고, 방송한 내용이 수능 시험의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EBS 수능 강의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요자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EBS 수능 강의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장에서는 EBS 협조를 통해 수능 강의가 시작된 2004년 4월부터 2006년 2월까지 23개월 간 EBSi 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와 로그 정보를 제공받은 후 이를 분석하여 수능 강의에 대한 이용현황과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진단하였다.
EBSi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EBS 수능 강의 출연 강사 2명(TV 강사, 인터넷 강사)과 현장 교원 3명(서울, 강원, 전남)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설문 조사는 설문 시기나 대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EBS 수능 강의 시스템인 EBSi의 로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6년 2월까지 787편의 강좌가 개설되어 100만 명이 넘는 고등학생이 활용하였으며, 사설 온라인 사이트의 수강료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한 결과 최소 381억 원 이상으로 밝혀졌다.
대상 데이터
EBS 수능 강의의 연도별 강사 배치 현황은 과 같이 총 516명의 강사가 배치되었다.
707만 건에 이르는 질문에 대해 상담원이 응답한 건수는 70만 건으로 99%의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게시판에 질문을 올린 사람은■ 총 25만 명에 달하였으며, 이는 1인당 3개의 글을 올린 것과 같다. 이에 비해 응답 글을 올린 사람은 4, 791명으로 1인당 149개의 글을 올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질문자보다 50배 많은 글을 올린 것이다.
중 . 고등교육 분야의 시장 점유율이 상위 5위 안에 속하는 온라인 입시 학원 중 비정액제로 운영하는 3개 사의 영역별 수강료를 분석하였다. 50분 단위의 강의당 평균 수강료는<표 11> 과 같이 2, 642원으로 계산되었다.
성능/효과
및 요구 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은 20% 이하, 교사는 30~40% 정도 반영되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는 EBS 수능이 을해만큼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2].
EBS 수능 강의의 활용률은 <그림 1>과 같이 조사 시기와 방법에 따라그 변동 폭이 매우 달랐다. 그리고 EBS 수능 강의 활용으로 인해 사교육비가 절감되었고, 수능시험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EBS 수능 강의에 대한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EBS 수능 강의 활용으로 인해 사교육비가 절감되었고, 수능시험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EBS 수능 강의에 대한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응답 글을 올린 사람은 4, 791명으로 1인당 149개의 글을 올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질문자보다 50배 많은 글을 올린 것이다. 전체 글의 조회 수는 1천만 건에 달하여 게시글 1건당 평균 7회 정도를 조회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9%에 달하였다. 특히 3시간 이내에 답변하는 경우는 25만 건으로 전체 응답의 36%를 차지하여 대체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응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 월별 논술 이용 추이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용자 대부분이 평상시에는 논술 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많지 않지만, 논술이 시행되는 시점에는 폭증함을 알 수 있었다
. 그러나 논술 능력은 단기간의 학습을 통해 향상될 수 없다.
특정 강좌 내에 있는 강의를 1회 이상 접속한 수강자 수를 대상으로 강의당 수강료를 지불하게 할 경우 1, 257억 원이 산출되었다. 이것은 수강할 목적이 아닌 단순히 맛보기 형태로 접속한 경우라도 강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과다하게 책정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회 이상 접속자를 대상으로 할 경우 수강료는 381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따라서 EBS 수능 강의는 최소 3&L억 원 이상의 사교육비 대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영역에 대해서 골고루 강좌를 개설하여 공공기관으로써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첫째, 내신 영역에서는 초급과 고급 수준의 강좌가 전혀 개설되어 있지 않으므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위한 초급 강좌와 학업 성취도 높은 학생을 위한 고급 강좌가 개설되어야 한다. 둘째, TV 강좌의 채널 한계로 강좌 수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으나, 인터넷 강좌는 시.
대입제도에 따른 내신 강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고1 학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초급 수준부터 고급 수준까지, 영역별로 고르게 강좌를 개설해야 한다.
넷째, 우수 강사를 유지. 확보하고, 진성 회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곱째, 논술 서비스를 시험 시기에게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평상시에도 강화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어내야 한다. 논술 서비스 이용자의 대부분이 평상시에는 논술 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많지 않지만, 논술 시험이 시행되는 시점에는 많은 이용자가 관심을 갖고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수성, 추천 및 평가 활동, 불량 게시물 및 오류 신고, 지식 및 자료 공유 등에 따라 포인트를 차등화하여 적립시키는 제도로서 긍정적인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포인트 차감제는 잘못된 답변이나 불량 게시물을 올릴 경우, 쓸데없이 글을 써다 삭제하는 경우, 질문에 대한 응답이 신속하지 못한 경우 등 경중에 따라 포인트를 차감함으로써 응답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답변을 하고, 부정적인 활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포인트 등급제는 각종 학습 활동이나 상담활동을 통해 얻은 포인트 점수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고, 해당 등급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현장 교원의 심층 면접 결과, EBS 수능 강의를 활용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시간이 없어서' 가 가장 많으므로 짧은 시간에 원하는 내용을 볼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50분 단위로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기보다는 소주제별로 구분하여 20분 이내로 제작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각각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지식 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EBSi의 로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6년 2월까지 787편의 강좌가 개설되어 100만 명이 넘는 고등학생이 활용하였으며, 사설 온라인 사이트의 수강료를 토대로 EBS 수능 강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한 결과 최소 381억 원 이상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EBS 수능 강의에 대한 학교 현장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첫째, 우수 강사를 확보하는 노력과 함께 강사의 브랜드화 전략을 통해 강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EBS 수능 강의는 강사 중심의 동영상 강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후속연구
셋째, 포인트 등급제는 각종 학습 활동이나 상담활동을 통해 얻은 포인트 점수에 따라 등급을 구분하고, 해당 등급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제한된 인원만으로 운영해야 하는 사이버 담임제나 1:1 논술 지도, 첨삭 지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각각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지식 맵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출된 학습 요소에 따라 동영상을 쪼개거나 인덱스를 부여하고, 각각의 학습 요소에 대한 설명 자료를 교육용 콘텐츠 메타데이터인 KEM(Korean Educational Metadata) 과같은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에 의해 설명됨으로써 교사나 학생이 원하는 자료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강의 청취뿐만 아니라 평가, 상담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함께, 학습 상담부터 입시 상담까지 병 행할 수 있는 사이버 담임제 운영 이 필요하다. 사이버 담임제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므로 포인트제를 운영하여 우수 회원을 선발하고, 그들을 중심으로 우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사교육비 억제뿐만 아니라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